서호주의 농가는 올해의 수확으로 부터 약 60억 달러를 초과하는 수익를 낼것으로 보이며 이는 중국과의 고조된 무역분쟁과 유난히 건조했던 기후를 고려했을 때 상당한 성과로 보인다.

 

 서호주의 역사상 가장 대규모 곡물 수확량은 2016년으로 약 1,820만톤을 기록하였고, 곡물 수확에 따른 최대 수익은 2019년 기록한 70억 달러이며 지난 10년간 평균 수익은 45억 달러로 알려졌다.

 

서호주 곡물 산업 협회(The Grains Industry Association of WA) 마이클 래몬드 대표는 국제 곡물시장에서 평균곡물 가격이 역사상 최고치에 다다르고 있다는점을 감안할 때 올해의 수익은 6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서호주 곡물 산업 협회의 대표는 지난해 서호주 대부분의 지역이 가뭄으로 고생을 하였고 중국과의 무역분쟁에 따른 대중(對中) 수출감소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한 다양한 여파를 고려하였을 때 ‘엄청난’ 결과라고 말했다.

 

“우리가 몇 달전 올해의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던 곡물시장을 되돌아본다면 현재 우리가 바라보는 결과는 너무나 놀랍고도 대단한 결과입니다.”라고 서호주 곡물 산업 협회의 대표는 밝혔다.

 

“특히 예년에 비해 강수량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농가들이 서리나 폭염의 피해를 빗겨나간것은 곡물재배의 과정중 빗물이 꼭 필요한 시기에 비가 와준 행운도 뒤따랐다고 봅니다.”

 

한편 서호주 곡물 산업 협회의 대표는 서호주의 한층 발전되고 향상된 농업기술과 수확기술이 비교적 건조한 계절에도 불구하고 농가의 생산량을 극대화하도록 만들었다고 밝혔다.

 

“우리는 서호주 전역에 걸쳐 농업용수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 해왔으며 이는 지난 몇 년간 서호주 농가들이 진행해온 그다지 놀랍지 않은 일입니다.”

 

 서호주 거대 곡물처리기업인 CBH의 관리자 밴 맥나마라는 약 1,500만 톤이 서호주에서 호주 전역으로 전달되었다고 밝혔다.

 

CBH의 관리자는 올해 재배농가들의 기대 생산량이 약 10% 줄었던것을 고려했을 때 올해의 수확량과 수익은 모두를 놀라게하였다고 밝혔다.

 

이 모든 결과는 서호주의 곡물 산업이 구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CBH의 관리자는 남서부 알바니 지역인근이 가장 풍년을 이룬 지역중 하나라고 밝혔다.

 

CBH의 관리자는 강우량의 감소와 기후변화는 계속될 것이며 이에 따라 곡창지대의 농업용수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는데 상당한 비용을 지출해 왔다고 밝혔다.

 

“이러한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투자와 더불어 수송수단에 대한 투자는 서호주 곡물의 전세계적인 경쟁력을 높이는 필수 요소로 여겨지고 있으며  전체적인 기반시설에 대한 투자가 약 3년내지 5년내에 이루어져 서호주 곡물이 세계 곧곧으로 더 뻗어나가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번역 : 허영준

원문 : https://www.abc.net.au/news/rural/2021-01-08/wa-farmers-reap-huge-$6-billion-crop-as-harvest-surprises/13039572  

  • |
  1. 호중.jfif (File Size:12.0KB/Download:2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1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0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9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8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7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6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5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4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3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2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1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9 호주 조지 펠 추기경, 바티칸 재정장관 사임 밝힐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8 호주 비판 직면 ‘곤스키’ 교육개혁, 향후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7 호주 주식시장 회복... 상위 부자 자산, 빠르게 늘어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6 호주 시드니 폭풍, 콜라로이-나라빈 지역 ‘심각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유권자 조사, 노동당 지지도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 other signs-2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3 호주 한정된 공급, 주택구입자-투자자 가격경쟁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2 호주 뇌졸중 발병 요인, 국가 소득 수준 따라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1 호주 최근 개통 베넬롱 브릿지, 승용차 불법 운행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지역 추가 버스노선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9 호주 정규 과정서 제2외국어 선택 학생,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8 호주 빌 쇼튼 대표, “투표로 복지 축소 막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7 호주 “의료복지 예산 삭감, 그 피해는 우리들 모두...”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6 호주 “호주 정부, 지난 20년 넘게 유엔 아동협약 위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5 호주 “다문화 사회에서 반차별법의 축소나 변경은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4 호주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상당’... 평균 38%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대표의 선거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2 호주 대화의 기술... 직장 내에서 피해야 할 말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1 호주 모스만의 낡은 주택, 300만 달러도 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20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9 호주 “불명예 전역 간부후보생 자살은 교육대 가혹행위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8 호주 ATO, 업무용 경비 세금환급 부문 집중 조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7 호주 이너 웨스트 카운슬 행정관, ‘조기선거 가능’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6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실업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 주택정책이 판세 가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의 시드니 서부 관련 공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2 호주 NSW Budget- 기반시설 투자 집중...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1 호주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개장 2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브렉시트 불안감’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9 호주 왕립위원회, “군 내 성범죄는 국가적 망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8 호주 시드니 동부 역사적 건축물, 매각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7 호주 리드 지역구 후보들, 연방 정부 교육정책 토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6 호주 시드니 남서부 워윅팜 기차역서 승객 사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5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4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3 호주 호주 가정 음식 폐기물, 연간 8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2 호주 대중교통 시설의 갖가지 세균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