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프랑스 입국).jpg

프랑스는 유럽 국가들 가운데 비교적 일찍 ‘COVID-19 health pass’를 운용해 왔으며, 현재 이 백신접종 증명서는 유럽연합의 백신여권(‘EU Digital COVID Certificate’)과 상호 운용이 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백신접종을 마친 호주인들도 프랑스 건강패스를 신청할 수 있다. 사진은 파리의 한 레스토랑에서 건강패스에 접속하는 고객들. 사진 : France 24 TV방송 뉴스 화면 캡쳐

 

유럽 각국 여행 가능… 18세 이상 성인, 유럽의약청 승인 백신접종자 대상

 

EU를 비롯해 일부 국가들에서의 ‘백신여권’이 보편화되고 있다. 프랑스는 앞서 자체적으로 ‘COVID-19 health pass’를 발행, 자국민들에게 여행과 엔터테인먼트 사이트 출입을 허용해 왔다.

호주 또한 백신접종을 완료한 이들에게 현재의 공공보건 명령을 상당 부분 완화한다는 계획을 내놓으면서 백신접종을 장려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호주에서 COVID-19 예방접종을 마친 경우 프랑스 정부가 제공하는 프랑스 ‘COVID-19 health pass’ 신청이 가능하다고 최근 호주 여행 매거진 ‘Traveller’가 전했다.

현재 프랑스는 항공기나 도시간 장거리 기차에 탑승하는 경우, 그리고 카페나 레스토랑, 갤러리, 박물관 입장 조건으로 ‘COVID-19 health pass’를 요구하고 있다.

‘Traveller’에 따르면, 호주인의 프랑스 COVID 건강패스 신청 대상은 18세 이상 성인으로, 이를 신청하기 7일 전 유럽의약청(European Medicine Agency. EMA)이 승인한  백신의 2회 접종을 마친 이들이다.

현재 호주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화이자(Pfizer), 모더나(Moderna)을 접종 중에 있으며, 이들 모두 EMA가 인정한 COVID-19 백신이다.

프랑스는 만 12세에서 17세 사이 청소년에게 ‘COVID-19 health pass’를 요구하지 않지만 이달 말부터는 이들 청소년에게도 이를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12세 미만 아동은 건강패스 적용에서 제외된다.

프랑스의 ‘COVID-19 health pass’는 특정 장소에 입찰할 때 스캔할 수 있도록 QR 코드를 담은 디지털 형식, ‘TousAntiCovid’ 앱(app) 또는 인쇄물 형식으로 제공된다.

온라인으로 이를 원한다면 포털사이트 ‘구글’(Google)에 접속, ‘외국인을 위한 프랑스 COVID 증명서 신청’(apply for French covid certificate for foreigners) 페이지를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온라인 신청서는 프랑스어와 영어로 되어 있으며 비교적 간단하게 되어 있다. 온라인 상에서 ‘프랑스에 입국할 날짜를 입력하십시오’(the date you intend to arrive in France)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는데, 이 부분에는 ‘며칠 이내’(within the coming days)라고 입력하면 무난하다. 

프랑스 정부가 외국인에게 제공하는 ‘COVID-19 health pass’는 프랑스 국민이 이용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하다.

프랑스 정부가 활용하는 이 건강패스는 EU,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산마리노, 스위스, 바티칸을 여행할 수 있는 ‘EU Digital COVID Certificate’와 상호 운용이 가능하다.

이들 국가는 레스토랑과 문화 공간, 심지어 호텔 출입 조건으로 백신접종 증명을 더욱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EU Digital COVID Certificate’가 없으면 현재 상황에서 유럽을 여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셈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프랑스 입국).jpg (File Size:84.3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51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0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9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8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7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6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45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4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3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2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1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4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9 호주 조지 펠 추기경, 바티칸 재정장관 사임 밝힐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8 호주 비판 직면 ‘곤스키’ 교육개혁, 향후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7 호주 주식시장 회복... 상위 부자 자산, 빠르게 늘어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6 호주 시드니 폭풍, 콜라로이-나라빈 지역 ‘심각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유권자 조사, 노동당 지지도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 other signs-2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6033 호주 한정된 공급, 주택구입자-투자자 가격경쟁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2 호주 뇌졸중 발병 요인, 국가 소득 수준 따라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1 호주 최근 개통 베넬롱 브릿지, 승용차 불법 운행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지역 추가 버스노선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9 호주 정규 과정서 제2외국어 선택 학생,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8 호주 빌 쇼튼 대표, “투표로 복지 축소 막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7 호주 “의료복지 예산 삭감, 그 피해는 우리들 모두...”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6 호주 “호주 정부, 지난 20년 넘게 유엔 아동협약 위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5 호주 “다문화 사회에서 반차별법의 축소나 변경은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4 호주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 ‘상당’... 평균 38% 차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대표의 선거 캠페인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2 호주 대화의 기술... 직장 내에서 피해야 할 말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16.
6021 호주 모스만의 낡은 주택, 300만 달러도 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20 호주 호주인 골다공증 심각, 3분에 한 명 골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9 호주 “불명예 전역 간부후보생 자살은 교육대 가혹행위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8 호주 ATO, 업무용 경비 세금환급 부문 집중 조사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7 호주 이너 웨스트 카운슬 행정관, ‘조기선거 가능’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6 호주 광역 시드니 주택부족 심화... 공급 한계 이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실업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 주택정책이 판세 가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3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 양당의 시드니 서부 관련 공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2 호주 NSW Budget- 기반시설 투자 집중...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1 호주 로얄 보타닉 가든(Royal Botanic Garden) 개장 200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23.
60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브렉시트 불안감’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9 호주 왕립위원회, “군 내 성범죄는 국가적 망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8 호주 시드니 동부 역사적 건축물, 매각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7 호주 리드 지역구 후보들, 연방 정부 교육정책 토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6 호주 시드니 남서부 워윅팜 기차역서 승객 사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5 호주 “공립 교육 확대를 위한 예산-변화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4 호주 호주인 스마트폰 의존, 갈수록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3 호주 호주 가정 음식 폐기물, 연간 8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2 호주 대중교통 시설의 갖가지 세균에 대한 불편한 진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