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gender pay gap 1).jpg

호주의 남녀 임금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최근 관련 당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특히 45-64세 여성의 임금은 남성에 비해 연간 거의 4만 달러 차이를 보인다. 사진은 아침 출근 시간대의 한 사무용 건물. 사진 : Pixabay / StockSnap

 

46-65세 근로자 임금 약 4만 달러 차이, 간부직 여성은 거의 10만 달러 적어

 

호주의 성별 임금격차가 좁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45세에서 65세 사이 여성 근로자는 연간 약 4만 달러가 적으며 고위 간부직 여성의 경우에는 남성에 비해 거의 10만 달러나 적은 임금을 받고 있다.

연방정부의 직장 내 성 평등 기관인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WGEA)가 최근 분석한 호주 전역의 성별 임금격차는 여성 근로자들에게 암울한 그림을 보여준다는 진단이다.

최근 WGEA가 내놓은 ‘Wages and Ages: Mapping the Gender Pay Gap by Age’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 근로자의 경우 30대 중반이 되면 남성에 비해 임금격차가 더욱 벌어져 남성 10달러를 기준으로 여성은 7.78달러에 수준에 머물고 있다. 특히 이 격차는 이후 20년간 더욱 악화되다가 65세 이후 연령대에서 다소 좁혀지기는 하지만 결코 동등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현재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밀레니엄 세대 여성의 수입은 45세가 될 때까지 남성 임금의 70% 수준에 머물게 된다.

이와 관련, WGEA의 매리 우드릿지(Mary Wooldridge) 위원장은 “여러 요인들이 임금격차를 유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에 따르면 돌봄 서비스(care)나 교육 부문의 많은 저임금 일자리가 대부분 여성들로 채워지고 있지만 이는 실질적으로 임금격차 문제의 약 20%에 불과할 뿐이다. WGEA는 더 큰 요인으로 차별과 함께 여성들이 아이나 가족을 돌보기 위해 직장 밖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를 보면, 더 높은 임금의 일자리는 대부분 정규직으로 배정되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정규직으로 일하는 여성은 절반이 채 되지 않는다.

우드릿지 위원장은 “일부 여성은 자신의 필요에 의해 적은 근무시간을 선택하지만, 대부분 여성의 경우에는 대안이 없다는(적은 시간을 일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남성 중심의 정규직 업무...

여성들, 파트타임 배정

 

우드릿지 위원장은 “많은 경우 이는 진정한 선택(여성들 본인의 자발적 선택)이 아니다”고 말했다. “아이를 돌보는 보육시설을 이용할 수 없거나 직장으로 복귀하려 해도 선택권 행사에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어 그녀는 “우리가 원하는 것은, 여성의 재능을 활용하는 차원에서 그들이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은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고위 경영진의 파트타임 역할에 대해서도 진정으로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0년 빅토리아(Victoria) 주 테드 베일류(Ted Baillieu) 정부 당시 정신건강 및 여성부 장관직을 맡은 바 있는 우드릿지 위원장은 당시 자유당 주 정부 내 주요 요직에 일정 비율의 여성 의원을 할당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이제 그녀는 호주 기업들이 젠더 기반 목표들 달성하고 그 자료를 공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종합(gender pay gap 2).jpg

성별 임금격차 보고서를 내놓은 호주 직장 내 성 평등 기구인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의 매리 우드릿지(Mary Wooldridge) 위원장은 여성의 고위직 보장을 위해서는 직업 공유와 같은 유연한 근무 옵션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사진 : Nine Network 뉴스 화면 캡쳐

   

우드릿지 위원장은 “각 기업은 성별 임금격차가 어디에서 시작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며, 지속적으로 그 성과를 확인하여 이를 이사회에 보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Philips Electronics’ 사에서 서비스 광고 관리자로 일하는 코니 크라파로타(Connie Craparotta)씨는 30대 초반의 나이가 되었을 때 선택의 갈림길에 서게 됐다. 모든 여성들처럼 육아와 경력 가운데 하나를 택해야 했던 것이다.

“가족과 직업 모두를 가질 수 없다는 사회적 압박이 있다”는 그녀는 “나는 내 경력을 소중하게 생각했고, 그래서 회사에 남고 싶었다”고 털어놓았다. 그녀가 회사로부터 더 높은 임금을 보장받는 고위 관리직 제안을 받았을 때, 그 고민은 더욱 혹독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그 업무는 세 자녀를 키우면서 감당하기에 너무 벅찬 정규직이었다.

대부분의 여성들이 경력을 포기했을 터이지만 크라파로타씨는 나름의 계획을 세웠다. 그것은 동료와 역할을 공유하는 것이었고, 이런 제안에 회사는 6개월간의 시범적 시행에 동의했다. 그리고 그 기간 안에 이들은 목표를 초과 달성했고, 그 직책을 정식으로 인정받았다.

 

최고 소득능력 연령에서

임금 격차 가장 두드러져

 

WGEA의 이번 보고서는 호주 전역 300만 명 이상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나온 것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여성은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에 비해 적은 임금을 받지만 특히 최고 소득능력에 이르는 45세-64세 사이에서 가장 큰 임금격차를 드러냈다. 이 연령대의 임금격차는 약 40%, 연간 4만1,000달러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이 계층의 관리자 10명 가운데 6명 이상이 남성이었다. 55세 이상 고위직이나 최고경영자(CEO) 역할에서의 임금격차는 더욱 벌어져 평균적으로 남성보다 약 9만3,000달러가 적었다.

우드릿지 위원장은 “고위직에서 더욱 크게 벌어지는 남녀간 임금격차는 여성에 대한 뿌리 깊은 편견의 또 다른 증거”라고 말했다. “이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게 평가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우드릿지 위원장은 여성이 고위 직책으로 승진하기 위해서는 직업 공유와 같은 유연한 근무 옵션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또한 남녀(부모)에게 동일하게 제공되는 유급 육아휴직, 저렴한 보육시설 이용 지원 등 성별 임금격차 해결을 위한 일련의 정책 중 하나라는 것이다.

 

■ 성별 임금격차

(남성 임금 10달러 대비 여성 소득)

24세 미만 : 9.75

25-34세 : 8.75

35-44세 : 7.78

45-54세 : 6.98

55-64세 : 6.81

65세 이상 : 7.47

Source: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gender pay gap 1).jpg (File Size:138.7KB/Download:13)
  2. 종합(gender pay gap 2).jpg (File Size:72.6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01 호주 호주 정부의 총기환매 이후 자살-살인율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0 호주 연방 이민부 내부 부정 내부 고발... 거센 후폭풍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5999 호주 Federal Elaction 2016- 의료 민영화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5998 호주 Federal Elaction 2016- 페어팩스 미디어 ‘YourVote’ 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5997 호주 Australia's most bizarre laws that make no sense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5996 호주 연방 선거일 불구, 시드니 경매 낙찰률 73.5%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5 호주 NSW 주 대중교통, 종이승차권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4 호주 시드니-NSW 예술대학 합병에 학생들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3 호주 NSW 주 정부의 ‘여성보호소 운영’, 부실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2 호주 봅 카, 전 주 수상, ‘아이스 흡입실’ 시험적용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1 호주 엽산-요오드 첨가 빵, 건강 혜택 가져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0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 임대주택 계약 조기해약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9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성장, “아직 절정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8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새 역사 쓴 린다 버니 의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7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의석 확대, 노동당 전략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6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턴불, 책임 감수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연립, 76석 확보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4 호주 11 things Australians get wrong about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3 호주 더블 베이 주택, 잠정가보다 100만 달러 상승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82 호주 포커머신 세금 감면 누적액, 135억 달러에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81 호주 NSW 주, 43년 만에 ‘스트라타 법’ 개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80 호주 파라마타 초고층 빌딩, 고도제한으로 개발 어려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9 호주 ‘크라운그룹’, 또 하나의 유명 건축 부문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8 호주 호주 원주민 기혼 여성, 사망 위험 매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7 호주 Southern Ocean Lodge, 전 세계 Top 4위 호텔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6 호주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불만 많았던 광고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5 호주 록스 인근 밀러스 포인트, ‘Airbnb’ 숙소로 급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4 호주 거대 기업들의 개인 신원확인, 과연 적절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3 호주 케빈 러드의 UN 사무총장 꿈, 난항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2 호주 사망-중상자 기준,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직업군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1 호주 올 연방 선거, 20년 만에 여성의원 수 ‘최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0 호주 NSW 주 정부, 그레이하운드 경주 ‘금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69 호주 알렉산드리아 창고, 잠정가보다 100만 달러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8 호주 시드니 시티 카운슬, 차기 시장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7 호주 호주 성인 절반, ‘내집 마련’ 기회 더욱 멀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6 호주 ‘배리 험프리스의 초상’, 올해 아치볼드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5 호주 러드, ‘UN 사무총장 후보’ 호주 정부 지원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4 호주 “고층만이 해결 방안...”, 시드니 도심 개발 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3 호주 NSW 교육부, HSC 시험서 ‘수리’ 시험 의무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2 호주 “일반의 진료비 개인 납부, 다시 고려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1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연립 내각 일부 개편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0 호주 10 weirdest outback experience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59 호주 NSW 주립미술관 ‘2016 아치볼드’ 전시회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8 호주 도심 인근 주택 ‘프리미엄’, 낙찰가 강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7 호주 치솟는 주택가격... 시드니 아파트도 ‘100만 달러’ 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6 호주 ‘미니루스’, 5개국 청소년 여자축구교실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5 호주 80년 역사 목조 에스컬레이터, 사라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4 호주 미국 노선 호주 항공사들, ‘좌석 업그레이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3 호주 12월부터 ‘P’ 면허증 소지자 운전 규정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2 호주 17년 이래 인플레 최저 수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