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TAFE NSW).jpg

NSW 주 정부가 향후 3년간 100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기술-훈련 교육을 제공, 전문인력 부족에 대처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사진은 시드니 도심 인근에 있는 TAFE NSW Sydney Institute 중 하나. 사진 : Sydney TAFE가 업로드한 YouTube 영상 캡쳐

 

‘TAFE NSW Strategic Plan 2022-25’... 기술 및 고용 목표 달성 지원 위해

 

NSW 주 정부가 3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100만 명 이상에게 기술 및 고용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는 전문인력 부족에 시달리는 경제 부분의 기술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TAFE NSW Strategic Plan 2022-25’ 전략에 따라 향후 3년간 전문 인력을 집중 양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주 정부 기술-훈련부의 앨리스터 헨켄스(Alister Henskens) 장관은 이 전략에 대해 “현재는 물론 미래 숙련 기술 인력을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업계와 연계된 로드맵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는 전통적 산업 부문은 물론 신산업, 새로이 부상하는 기술 분야에 걸쳐 미래지향적이고 적응력이 뛰어난 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된다.

헨켄스 장관은 “이 전략은 2022-23년 NSW 주 예산의 일환으로 TAFE NSW에 20억 달러의 반복 투자와 3억1,000만 달러의 자본투자로 뒷받침될 것”이라며 “정부가 입안한 ‘NSW 2040 Economic Blueprin’와 연계된 영역을 포함해 우선순위 기술 부분에서 교육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관은 “TAFE NSW는 우리의 미래 산업을 위한 매우 중요한 기술훈련교육 기관이며 주 정부는 교사 및 직원을 지원하여 사람들이 원하는 직종의 기술을 교육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주 정부의 ‘TAFE NSW Strategic Plan 2022-25’의 핵심 요소에는 보다 나은 학습자 경험 제공, 업계와의 혁신적 파트너십 형성, TAFE 인력의 역량 강화, 서비스 개선을 위한 디지털 기술 채택이 포함된다.

TAFE NSW의 스티븐 브래디(Stephen Brady) 학장은 “주 정부의 이 계획은 양질의 접근 가능한 직업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고 국가 선도 훈련제공 기관으로서의 TAFE NSW의 비전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급변하는 직업의 특성, 디지털 경제 확대, 유연한 직업교육 경로에 대한 수요 증가는 TAFE NSW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며 “특히 이 계획은 ‘National Agreement on Closing the Gap’(원주민과 비원주민 사이의 불평등을 극복하고 모든 호주인이 동등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정부 계획) 이행을 포함해 불이익을 겪는 이들의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있어 TAFE NSW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정부의 ‘TAFE NSW Strategic Plan 2022-25’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TAFE NSW 웹사이트 관련 페이지(www.tafensw.edu.au/about/strategic-plan)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TAFE NSW).jpg (File Size:105.0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01 호주 호주 정부의 총기환매 이후 자살-살인율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000 호주 연방 이민부 내부 부정 내부 고발... 거센 후폭풍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5999 호주 Federal Elaction 2016- 의료 민영화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5998 호주 Federal Elaction 2016- 페어팩스 미디어 ‘YourVote’ 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5997 호주 Australia's most bizarre laws that make no sense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5996 호주 연방 선거일 불구, 시드니 경매 낙찰률 73.5%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5 호주 NSW 주 대중교통, 종이승차권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4 호주 시드니-NSW 예술대학 합병에 학생들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3 호주 NSW 주 정부의 ‘여성보호소 운영’, 부실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2 호주 봅 카, 전 주 수상, ‘아이스 흡입실’ 시험적용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1 호주 엽산-요오드 첨가 빵, 건강 혜택 가져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90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 임대주택 계약 조기해약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9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성장, “아직 절정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8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새 역사 쓴 린다 버니 의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7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의석 확대, 노동당 전략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6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턴불, 책임 감수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연립, 76석 확보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4 호주 11 things Australians get wrong about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5983 호주 더블 베이 주택, 잠정가보다 100만 달러 상승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82 호주 포커머신 세금 감면 누적액, 135억 달러에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81 호주 NSW 주, 43년 만에 ‘스트라타 법’ 개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80 호주 파라마타 초고층 빌딩, 고도제한으로 개발 어려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9 호주 ‘크라운그룹’, 또 하나의 유명 건축 부문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8 호주 호주 원주민 기혼 여성, 사망 위험 매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7 호주 Southern Ocean Lodge, 전 세계 Top 4위 호텔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6 호주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불만 많았던 광고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5 호주 록스 인근 밀러스 포인트, ‘Airbnb’ 숙소로 급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4 호주 거대 기업들의 개인 신원확인, 과연 적절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3 호주 케빈 러드의 UN 사무총장 꿈, 난항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2 호주 사망-중상자 기준,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직업군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1 호주 올 연방 선거, 20년 만에 여성의원 수 ‘최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70 호주 NSW 주 정부, 그레이하운드 경주 ‘금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5969 호주 알렉산드리아 창고, 잠정가보다 100만 달러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8 호주 시드니 시티 카운슬, 차기 시장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7 호주 호주 성인 절반, ‘내집 마련’ 기회 더욱 멀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6 호주 ‘배리 험프리스의 초상’, 올해 아치볼드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5 호주 러드, ‘UN 사무총장 후보’ 호주 정부 지원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4 호주 “고층만이 해결 방안...”, 시드니 도심 개발 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3 호주 NSW 교육부, HSC 시험서 ‘수리’ 시험 의무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2 호주 “일반의 진료비 개인 납부, 다시 고려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1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연립 내각 일부 개편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60 호주 10 weirdest outback experience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5959 호주 NSW 주립미술관 ‘2016 아치볼드’ 전시회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8 호주 도심 인근 주택 ‘프리미엄’, 낙찰가 강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7 호주 치솟는 주택가격... 시드니 아파트도 ‘100만 달러’ 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6 호주 ‘미니루스’, 5개국 청소년 여자축구교실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5 호주 80년 역사 목조 에스컬레이터, 사라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4 호주 미국 노선 호주 항공사들, ‘좌석 업그레이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3 호주 12월부터 ‘P’ 면허증 소지자 운전 규정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5952 호주 17년 이래 인플레 최저 수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