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동성애).jpg

최근 동성결혼 문제가 새롭게 부각된 상황에서 호주의 한 보험사가 직장 내 다양성과 진보적 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조사 결과 동성애자를 비롯해 양성애 등 이성애가 아닌 성적 취향자들(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intersex, and questioning. LGBTIQ)의 절반가량이 직장 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성애자 40% 차별 경험... 성차별 없는 회사 생산성 15% 높아

 

레즈비언(여성 동성연애자), 게이(남성 동성연애자), 양성애자, 성전환자 등 이성애가 아닌 성적 취향자들(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intersex, and questioning. LGBTIQ)의 절반 이상이 직장 내에서 자신의 성적 정체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고 금주 수요일(28일) ABC 방송이 보도했다.

호주 보험사 로이드(Lloyd)가 창시한 국제 페스티벌 ‘다이브인’(Dive In) 일환으로 실시된 이번 연구는 직장 내 다양성의 진보와 활동, 포용성 등에 대해 조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인들 중 성적 취향이 이성애가 아닌 사람들(LGBTIQ) 중 40%가 직장에서 이와 관련된 언어폭력을 받은 적이 있으며, 20%는 물리적 폭력까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드의 한 관계자는 “직장에서 이성애가 아닌 자신의 성적 취향을 공개한 사업장 직원의 경우 생산성은 15-30%, 직장 유지율은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직장 내 다른 여러 요인의 차별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직장 내에서 일할 때 원어민이 아닌 사람들은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들에 비해 3배 이상의 어려움을 경험했다.

로이드의 한 관계자는 “호주는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다문화 국가로 지난 70년 동안 이민자를 받아왔고, 이들의 수는 전체 호주인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또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일을 할 수 있게 되면 10년 동안 호주 국내총생산(GDP)에 430억 달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55세 이상 호주인들이 유급직을 찾는다면 250억 달러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호주의 장애우 취업률은 OECD 29개 국가들 중 21위로 매우 낮은 편이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여러 가지 차별 요인들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직장 내 성차별이다. 남녀 성차별에 진보적인 회사들은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보통의 회사들보다 생산성이 15%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은주 객원기자

 

  • |
  1. 종합(동성애).jpg (File Size:55.9KB/Download:3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7 호주 배우 겸 코미디언 하미시 블레이크씨, 호주 방송대상(‘Gold Logi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6 호주 NSW budget 2022- 주 정부 예산적자, 113억 달러로 3배 이상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5 호주 NSW budget 2022- 다문화 커뮤니티 문화 행사 지원 예산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4 호주 NSW budget 2022- 새 예산 계획의 Winner and Loser는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3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국가 최저임금 5.2% 인상 결정... 주 $4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2 호주 ‘Shared Equity Scheme’으로 일부 계층의 주택구매, 한결 수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1 호주 NSW 주 정부의 토지세 개혁, 광범위한 이점은 아직 부족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0 호주 NSW 주, 스몰비즈니스 관련 이벤트 개최 단체에 보조금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9 호주 세금신고 준비... “직종에 따라 법적으로 청구 가능한 항목들 많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8 호주 NSW 주, 불법 파업단체에 대한 처벌 강화... 노사관계법 개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7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6 호주 Census 2021... 호주, 무종교 인구 증가-문화적 다양성은 더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5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4 호주 NSW 주, 7월 17일까지 무료 독감 예방접종 ‘연장’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3 호주 NSW 주의 도로 통행료 경감 프로그램, 이달 1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2 호주 독감 또는 COVID-19 증상이 느껴진다면... ‘복합 바이러스 검사’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1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9 호주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호주의 빈 주택, 전체의 10% 달하는 100만 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8 호주 호주의 COVID-19 사망자, 1만 명 넘어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