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원주민 보건 1).jpg

호주 보건복지연구원(AIHW)이 지난 2011년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호주 원주민 건강 실태가 비원주민들에 비해 크게 나아진 것이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호주 원주민 공식 기(旗).

 

호주 보건복지연구원 보고서... 사망률 2.3배 높아

 

원주민들의 건강 상태가 일반적인 인식보다 더욱 악화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금주 월요일(26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호주 보건복지연구원(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IHW) 보고서를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원주민 사망 및 질병 발병률은 비원주민 호주인에 대해 2.3배가 높았다.

원주민과 비원주민 호주인들 사이의 이 같은 건강 격차는 일부 부분에서 더욱 벌어지고 있으며, 특히 원주민 커뮤니티의 높은 가정폭력 비율도 하나의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AIHW 보고서는 원주민을 대상으로 연간 사망자 수와 질병 및 장애발생 수를 결합, 건강에 대한 총 부담을 조사했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지난 2011년일 기준으로 하여 원주민 1천 명 당 조기사망 또는 질병이나 장애를 갖고 살아감으로써 발생되는 인생 손실(disability-adjusted life year)은 무려 284년에 달했다.

원주민들의 질병 부담은 2003년 이래 총 부담은 5% 떨어졌지만 비치명적 부담은 4%가 증가했다.

AIHW 원주민 및 아동부 책임자인 파드와 알 야만(Fadwa Al-Yaman) 국장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조기사망보다는 질병을 갖고 있더라도 더 긴 수명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정책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것을 권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AIHW 조사 결과 정신건강 및 보조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장애는 원주민 남성은 물론 여성 모두가 겪는 가장 큰 부담(19%)이었다. 자살 등을 포함한 부상 또한 남성 원주민들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부담(19%)이었으며 여성은 심혈관계 질환(11%), 각종 부상 및 근골격계 장애가 각 10%로 뒤를 이었다.

원주민들이 안고 있는 가장 큰 질병, 즉 정신건강과 근골격계 장애, 호흡기 질환은 이들이 겪는 비치명적 질환의 3분 2를 차지했다.

각 질환의 발생 지역을 보면, 대도시에 거주하는 원주민들의 가장 큰 질환은 정신건강 및 보조수단을 활용해야 하는 장애였으며, 반면 내륙의 지방, 또는 아주 먼 외딴 지역 원주민 커뮤니티에서는 정신건강보다 갖가지 부상, 자살이 더 큰 비중을 차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담배, 술, 체질량, 육체적 활동, 고혈압 등 5가지의 고위험 요소를 포함해 원주민들이 안고 있는 질환의 3분의 1 이상은 충분히 예방 가능한 질환들이었다.

특히 흡연과 음주는 원주민들을 사망에 이르게 하거나 장애를 가져오는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원주민 아동부 국장인 알 야만(Al-Yaman) 박사는 “원주민들로 하여금 흡연과 음주를 줄이도록 한다면 전반적 건강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녀는 이어 “심혈관계 질병이라는 치명적 질환 부문에서의 상당한 개선을 포함해 일부 긍정적인 면도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원주민들의 질환개선은 비원주민 호주인들처럼 빠르게 개선되지는 않아 치명적 질환에서는 16%, 비치명적 질환은 4%가 감소하는 데 그쳤다고 덧붙였다.

지난 2011년도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이번 보고서는 원주민과 비원주민 호주인들의 기대수명에 큰 격차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AIHW의 가장 최근 자료에 따르면 원주민 기대수명은 비원주민에 비해 남성 10.6년, 여성은 9.5년이 적다.

이 같은 건강상의 격차 해소를 약속한 여야당은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성과는 두드러지지 않고 있는 상황으로, 지난 2005년에 비해 2012년 자료의 원주민 기대수명은 12개월이 늘어나는 데 그쳤다.

야당 내각의 원주민 보건 담당인 워렌 스노던(Warren Snowdon) 의원은 “일부 나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예방 가능한 질환으로 인한 원주민들의 부담은 끔찍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 원주민들의 질환 비율

(질병 및 장애로 인한 인생 손실)

종합(원주민 보건 2).jpg

-Source :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원주민 보건 1).jpg (File Size:48.4KB/Download:38)
  2. 종합(원주민 보건 2).jpg (File Size:33.1KB/Download:3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7 호주 배우 겸 코미디언 하미시 블레이크씨, 호주 방송대상(‘Gold Logi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6 호주 NSW budget 2022- 주 정부 예산적자, 113억 달러로 3배 이상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5 호주 NSW budget 2022- 다문화 커뮤니티 문화 행사 지원 예산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4 호주 NSW budget 2022- 새 예산 계획의 Winner and Loser는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3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국가 최저임금 5.2% 인상 결정... 주 $4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2 호주 ‘Shared Equity Scheme’으로 일부 계층의 주택구매, 한결 수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1 호주 NSW 주 정부의 토지세 개혁, 광범위한 이점은 아직 부족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0 호주 NSW 주, 스몰비즈니스 관련 이벤트 개최 단체에 보조금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9 호주 세금신고 준비... “직종에 따라 법적으로 청구 가능한 항목들 많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8 호주 NSW 주, 불법 파업단체에 대한 처벌 강화... 노사관계법 개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7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6 호주 Census 2021... 호주, 무종교 인구 증가-문화적 다양성은 더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5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4 호주 NSW 주, 7월 17일까지 무료 독감 예방접종 ‘연장’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3 호주 NSW 주의 도로 통행료 경감 프로그램, 이달 1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2 호주 독감 또는 COVID-19 증상이 느껴진다면... ‘복합 바이러스 검사’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1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9 호주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호주의 빈 주택, 전체의 10% 달하는 100만 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8 호주 호주의 COVID-19 사망자, 1만 명 넘어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