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지나 라인하트 1).jpg

호주 최고 부자 중 한 명인 광산재벌 지나 라인하트(Gina Rinehart). 그의 철광석 회사인 ‘Hancock Prospecting’이 서부 호주 및 남부 호주, 퀸즐랜드에 걸쳐 있는 남한 면적 규모의 목축농장 ‘키드먼 앤 코’(S.Kidman & Co.)의 지분 3분 2를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라인하트의 ‘핸콕’ 사, ‘키드먼 앤 코’ 지분 매입

 

호주 최고의 부호 자리를 다퉈 온 광산 재벌 지나 라인하트(Gina Rinehart)가 호주에서 가장 큰 축산회사인 ‘키드먼 앤 코’(S.Kidman & Co.)를 중국계 회사와 함께 3억6,500만 달러에 인수했다고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지난 일요일(9일) 보도했다.

지나 라인하트의 광산회사인 ‘핸콕 프로스펙팅’(Hancock Prospecting)은 중국계 회사인 상하이 ‘CRED Real Estate Stock’과 파트너십을 맺고 ‘키드먼 앤 코’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분을 매입했다.

‘키드먼 앤 코’는 10개의 축산 목장을 포함, 12개의 기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19개의 부동산을 가지고 있다. 축산 목장은 서부 호주의 킴벌리(Kimberley)에서부터 남부 호주와 노던 테리토리, 퀸즐랜드 주에 이르기까지 드넓게 포진된, 남한 면적 규모의 세계 최대 단일 목축농장이다.

핸콕 프로스펙팅의 이번 구매 건은 재무부 산하 ‘ 주 외국투자심의위원회’(Foreign Investment Review Board. FIRB)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키드먼 앤 코’는 지난 4월 중국계 회사인 ‘다캉 오스트레일리아’(Dakang Australia Holdings)에 3억7100만 달러에 매각을 추진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

연방 재무부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장관은 당시 ‘국가적 이익’이란 명목으로 ‘키드먼 앤 코’의 매각을 허가하지 않았다. 모리슨 장관은 “키드먼 앤 코의 규모, 이 회사가 가진 포트폴리오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80%의 지분을 ‘다캉 오스트레일리아’에게 넘기는 것은 국가적인 이익에 반하는 것으로, 심히 우려된다”고 말했었다.

‘키드먼 앤 코’는 호주에서 가장 큰 소고기 생산회사로 평균 18만 마리의 육우를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호주의 대표적 육류생산 회사가 외국 기업에 매각되는 것에 대해 야당은 물론 정부와 호주 기업들도 크게 반발했으며, 특히 호주 기업인들은 외국 투자자본에 매각하는 것을 “정신 나간 행동”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은주 객원기자

 

  • |
  1. 종합(지나 라인하트 1).jpg (File Size:34.1KB/Download:5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7 호주 배우 겸 코미디언 하미시 블레이크씨, 호주 방송대상(‘Gold Logi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6 호주 NSW budget 2022- 주 정부 예산적자, 113억 달러로 3배 이상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5 호주 NSW budget 2022- 다문화 커뮤니티 문화 행사 지원 예산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4 호주 NSW budget 2022- 새 예산 계획의 Winner and Loser는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3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국가 최저임금 5.2% 인상 결정... 주 $4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2 호주 ‘Shared Equity Scheme’으로 일부 계층의 주택구매, 한결 수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1 호주 NSW 주 정부의 토지세 개혁, 광범위한 이점은 아직 부족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0 호주 NSW 주, 스몰비즈니스 관련 이벤트 개최 단체에 보조금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9 호주 세금신고 준비... “직종에 따라 법적으로 청구 가능한 항목들 많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8 호주 NSW 주, 불법 파업단체에 대한 처벌 강화... 노사관계법 개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7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6 호주 Census 2021... 호주, 무종교 인구 증가-문화적 다양성은 더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5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4 호주 NSW 주, 7월 17일까지 무료 독감 예방접종 ‘연장’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3 호주 NSW 주의 도로 통행료 경감 프로그램, 이달 1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2 호주 독감 또는 COVID-19 증상이 느껴진다면... ‘복합 바이러스 검사’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1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9 호주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호주의 빈 주택, 전체의 10% 달하는 100만 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8 호주 호주의 COVID-19 사망자, 1만 명 넘어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