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연방 선거 1).jpg

올해 연방 선거 승리를 통해 정치적 기반을 확고히 하려는 집권 여당의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수상(왼쪽)이 기존 의석 지키기에 주력하는 가운데 노동당의 빌 쇼튼(Bill Shorten) 대표는 연립 강세지역에서의 캠페인 전개라는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기존 의석 지키려는 연립, 보다 공격적인 노동당

올해 연방 선거, 양당 선거캠페인을 통해 보는 핵심 전략은...

 

올해 연방 총선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현재 재집권을 노리는 자유-국민 연립은 법인세 삭감 정책을 내세운 경제 살리기 우선으로 유권자들을 설득하고 있으며, 노동당은 현 집권당의 복지 및 학교 예산 삭감에 반대하며 폭넓은 복지 서비스 제공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 현 연립 여당이 기존 의석에서 15석을 잃을 경우 항복을 선언하겠지만 노동당이 온전한 집권을 위해서는 호주 전역에서 21석을 확보해야 한다.

올해 조기 선거가 확정되고 연방 예산안이 발표된 이후 페어팩스-입소스 여론조사(Fairfax-Ipsos poll)에서 턴불(Malcolm Turnbull) 수상에 대한 지지도 이탈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는 가운데, 노동당 빌 쇼튼(Bill Shorten) 대표는 유권자들의 이탈 표를 잡기 위해 안간힘을 다하고 있다.

금주 수요일(15일), ABC 방송은 선거 관련 기사를 통해 양당 대표들이 어느 지역을 특히 공략하고 있는지를 보면 각 당의 전략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턴불(자유당)과 쇼튼(노동당) 대표의 선거 캠페인을 전했다.

 

1. 양당, 목표 지역 동일

호주 전국에서 실시되는 연방 선거임에도 불구, 일부 지역에서는 각 당 대표의 쇼핑센터 등의 방문을 더 자주 목격할 수 있다. 그만큼 특정 지역의 경우 예상이 불가능할 만큼 치열한 접전지역이라는 의미이다.

현 시점에서 우열을 가늠하기 어려운 도시는 시드니, 멜번, 브리즈번이 꼽히며, 지역으로는 애들레이드(Adelaide) 일부와 퀸즐랜드 북부 지역에서 양당 후보들이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2. NSW와 QLD의 최대 격전지는?

현재 대부분 지역구의 경우 각 정당별로 의석 확보가 어느 정도 예상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예측이 불가능한 상황. 현재 선거 캠페인에 몰두하고 있는 양당의 마음속 ‘만트라’(mantra. 기도나 명상을 할 때 외는 주문)는 ‘만약 퀸즐랜드에서 후보 선호도 변화가 있다면 그 유권자들이 우리에게 오게 해 달라’는 것이다.

자유-국민 강세 지역인 퀸즐랜드에서 노동당은 9개의 의석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기존 유권자 표심을 지키려는 자유-국민 연립과 이들 표를 끌어오려는 노동당 대표 또는 부대표들이 퀸즐랜드 전역에 상당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시드니의 경우 많은 인구를 감안해 다른 도시에 비해 조금 더 많은 의석이 있는 가운데 각 당의 시선은 의석 확보가 불안한(marginal seats) 시드니 서부 및 남서부 지역 선거구에 쏠려 있다.

 

3. 노동당, 연립 강세지역에 더 집중

선거캠페인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말콤 턴불 수상은 자유당과 가까운 지역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표 지키기에 집중해 왔다. 퀸즐랜드의 자유국민당(Liberal National Party. LNP), 노던 테러토리(Northern Territory)의 국가자유당(Country Liberal Party. CLP) 지역구가 그곳들이다. 이들 정당 또한 자유당과 연립을 구성하는 정당들이다.

반면 노동당은 현 연립 여당에 비해 보다 공격적인 캠페인을 전개해 왔다. 노동당의 전체 선거운동 가운데 절반 이상은 노동당이 불리한 지역구에 할애됐으며, 이들 선거구에서 노동당은 의석을 확보할 것으로 믿고 있다.

이는 양 선거 캠프의 전략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즉 연립 정당은 기존 확보하고 있던 지역구 의석을 굳게 움켜쥐려는 것이며, 반면 노동당은 연립이 갖고 있는 지역구 의석을 뺏어오기 위한 것이다.

 

4. 불안정 지역구서 승패 갈릴 듯

이런 가운데 선거가 임박하면서 양 당은 의석 확보가 불안한 지역구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이 지역구에서 최소한 6% 이상의 우세를 점해야 한다는 전략이다.

시드니의 경우 자유당 입장에서 불안정한 지역구로 꼽히는 매카서(Macarthur. 시드니 남서부 지역)에 턴불과 쇼튼 대표가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이다.

자유당 부대표이자 외교부를 맡고 있는 비숍(Julie Bishop) 장관은 불안정 지역구로 꼽히는 남부 호주(South Australia) 애들레이드, 빅토리아(Victoria) 던클리(Dunkley) 및 멜번 남부 모닝턴 페닌슐라(Mornington Peninsula)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노동당 부대표인 타냐 필버세크(Tanya Plibersek) 의원은 자유당 강세 지역인 퀸즐랜드 캠페인에 주력해 왔다. 특히 필버세크 의원은 퀸즐랜드 자유국민당(LNP) 강세 지역인 허버트(Herbert), 카프리코니아(Capricornia), 타운스빌(Townsville) 및 록햄턴(Rockhampton) 선거구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 양당의 지역별 선거캠페인 할애 비율

(자유당 / 노동당)

-NSW : 30% / 36%

-QLD : 20% / 22%

-VIC : 18% / 18%

-WA : 12% / 6%

-SA : 10% / 7%

-NT : 2% / 4%

-TAS : 2% / 3%

-ACT : 1% / 2%

 

■ 양당 대표의 지역구 방문 비율

*자유-국민 연립

-기존 지역구 : 76%

-야당 지역구 : 24%

 

*노동당

-기존 지역구 : 41%

-연립 여당 지역구 : 59%

 

■ 양당 대표의 (불)안정 지역구 방문 비율

*자유-국민 연립

-불안정 지역구 : 69%

-안정 지역구 : 31%

 

*노동당

-불안정 지역구 : 66%

-안정 지역구 : 34%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연방 선거 1).jpg (File Size:35.6KB/Download:3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37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6 호주 대형 트럭 운전기사 부족... 일부 회사들, 연봉 15만 달러까지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5 호주 1천만 달러 이상 호화주택 거래, 지난 2년 사이 두 배로 늘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4 호주 호주 연간 인플레이션 상승률, 7월 7%에서 8월 6.8%로 소폭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3 호주 가계생활비 압박 가중 지속... 슈퍼마켓 물품 절도행각도 빠르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2 호주 정부, ‘COVID 의무 격리’ 해제... ‘팬데믹 병가 지원금’ 제공도 종료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1 호주 팬데믹 사태에서 직종별 근무 상황 제각각... ‘주 4일 근무제’ 관심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0 호주 임시비자 상태의 호주 내 숙련 기술자들, ‘스폰서’ 회사 내에서의 문제 털어놓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29 호주 빅토리아 자유당, 주 선거 앞두고 ‘대중교통 요금 극적 할인’ 파격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8 호주 냉각된 부동산 시장... 주택판매 수가 급격히 감소한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7 호주 2022년도 NSW 주 HSC 시험 시작.. 18일간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6 호주 NSW 주, 인지세 개혁 단계서 ‘online calculator’까지 선보였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5 호주 호주, 첫 ‘복합 COVID 부스터’ 프로그램 시작... ‘모더나’ 오미크론 백신 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4 호주 호주 가정이 겪는 높은 생활비 압박감, ‘COVID-19로 인한 스트레스’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3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2 호주 Work has changed... NSW 노동당, ‘긱 경제’ 노동자에게도 보상-휴가 약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1 호주 내년 1월 1일부터 NSW 주 전역서 모바일 과속 단속 경고판 다시 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0 호주 광역시드니 각 지방의회, 규제당국 설정 이상의 카운슬 비용 인상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19 호주 ‘COVID 기원’ 국제 조사팀, “동물성 전염병일 가능성 가장 높다” 결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18 호주 NSW 법무부, ‘Coercive control’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새 법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