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기대수명 1).jpg

세계적 전염병이 시작된 지난 2020년, 호주인의 기대수명은 남녀 각 0.7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팬데믹 사태에서 국경 폐쇄와 이동 제한 등 적극적인 방역 조치로 사망자를 최소화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진 : Unsplash / Johnny Cohen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연구팀 조사... “봉쇄조치에 감사해야...”

 

지난 2020년 COVID-19의 세계적 전염병 사태 속에서도 호주인의 기대수명이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조사한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U) 연구원들은 팬데믹 상황에서 정부가 발 빠르게 취한 봉쇄 조치에 감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ANU 연구팀은 지난해 영국 옥스퍼드대학교(Oxford University) 연구팀이 완료한 연구에 호주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전염병 발병 이후 호주의 상대적 기대수명을 비교했다.

최근 ‘국제역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에 발표된 이 연구에 따르면 2019년에서 2020년 사이 호주인의 평균 기대수명은 남녀 모두 0.7년이 증가했다. 연구원들은 이처럼 길어진 기대수명에 대해 “1990년대 이후 관찰된 가장 큰 증가”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또한 NSW, 퀸즐랜드(Queensland), 빅토리아(Victoria) 주에서 각각 약 반 년의 기대수명 증가가 나타나 전국적으로 생존율이 거의 동등하게 늘어났음이 확인됐다.

 

COVID-19 록다운 및

이동 제한으로 사망 감소

 

2020년도 호주의 기대수명 증가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호주 다음으로 덴마크와 노르웨이가 남녀 모두 각 0.1년, 0.2년 늘어났다. 반면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후 높은 감염비율 및 수많은 사망자를 냈던 미국은 여성과 남성 기대수명이 각각 -1.7년, -2.2년 감소하면서 큰 폭의 하향세를 보였다.

ANU 연구팀은 기대수명에서 호주의 부상을 “2020년도 정부의 적극적인 COVID-19 대응”이라고 분석했다. 2019-2020년 여름 시즌, 호주 전역에 엄청난 피해를 불러온 최악의 ‘Black Summer 산불’로 인한 스트레스, 이어진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 사태에도 불구하고 호주는 국경 폐쇄와 국민들의 이동 제한 등의 방역 조치로 기대수명이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2020년에는 더 적은 수의 일반적 감염이 보고됐으며 폐렴 및 인플루엔자로 인한 사망자도 20%가 감소했다. 사람들이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집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조치로 인해 도로교통 사망자 또한 크게 줄었다.

이번 연구 보고서의 공동저자 중 하나인 블라디미르 카누다스-로모(Vladimir Canudas-Romo) 교수는 “1918년 스페인 독감 기간에도 국경 폐쇄 시도가 있었다”고 전제한 뒤 “일단 항구가 열리면(국경 개방이 지속되면) 백신이 없는 상태에서 바이러스는 치명적 영향을 미치며 빠르게 번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며 “호주는 이번 팬데믹에서 백신으로 치명적 운명을 벗어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카누다스-로모 교수에 따르면 2020년, 호주에서는 비감염성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도 감소했다.

 

종합(기대수명 2).jpg

공공보건 전문가들은 최근 발표된 2020년 호주인의 기대수명 증가에 대해 “COVID-19 감염을 우려해 기저질환자들이 적극적으로 병원 이용을 자제한 경우가 많기에 이런 양상이 향후 몇 년 동안 기대수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두고 봐야 한다”는 의견이다. 사진 : Unsplash / Eduardo Barrios

   

기대수명은

삶의 질에 따라 다르다

 

시드니대학교 공공보건대학원의 팀 드리스콜(Tim Driscoll) 교수는 ANU 연구팀의 연구에 대해 “COVID-19가 호주사회에 미친 파괴적 영향을 감안할 때 그 결과는 상당히 흥미롭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 모두는 COVID-19로 인해 많은 이들이 사망하거나 건강이 좋지 않으리라고 생각했을 것”이라며 “하지만 기대수명이 최근 몇 년 동안 예상했던 것보다 더욱 개선되었다는 것이 새삼스럽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드리스콜 교수는 “다만 우려되는 것은, COVID-19 감염을 우려해 병원을 기피하고 정기적으로 GP를 만나거나 검진을 덜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을 감안할 때 지난 2년 동안 많은 질병자가 확인되지 않았을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감염으로 인한 질병이 감소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는 그는 “실제로 인플루엔자를 예로 들면 COVID-19 발병 이후 호주 지역사회에서 인플루엔자 발병 건수와 사망자 수는 크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공공보건 관계자들은 사람들이 COVID-19 감염을 우려해 병원에 가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우려한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드리스콜 교수는 “의사방문 횟수의 감소가 향후 몇 년 동안 기대수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두고 봐야 한다”는 의견을 전했다. 또한 2020년 이후 나온 ‘델타’(Delta) 및 새로운 ‘오미크론’(Omicron) 변이 바이러스 발병 사례 및 사망자 수 증가로 의료 시스템은 상당히 약해졌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드리스콜 교수는 “ANU 연구팀 조사 결과는 봉쇄 조치로 인해 몇 가지 이점이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지역사회의 더 넓은 복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 하나로 팬데믹 기간 중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는 정신건강에 대한 영향이었지만 이를 통계로 정의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현재 공공보건 분야에서는) 많은 우려가 있다”는 그는 “팬데믹 초기, 정신건강 우려와 첫 번째 봉쇄 조치가 취해지면서 자살 위험이 높아졌을 수 있다”면서 “개인적으로 볼 때 그런 일이 일어났다는 증거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집에 갇혀 지내거나 고립되어 있던 이들의 정신건강 문제, 이로 인한 어려움이 없었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고 우려했다.

드리스콜 교수는 “궁극적으로 기대수명은 건강을 보여주는 유일한 지표는 아니며, 삶의 질을 보는 것도 아니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기대수명 1).jpg (File Size:59.5KB/Download:11)
  2. 종합(기대수명 2).jpg (File Size:62.7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01 호주 세계3대 요트대회 한국 첫출전 file 뉴스로_USA 17.01.01.
5700 호주 ‘인터넷 익스플로어’, 구글 ‘크롬’에 뒤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9 호주 “높아지는 임대료, 세입자 문제에도 주목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8 호주 지구온도 상승, 지난해 NSW 주 ‘살모넬라’ 등 극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7 호주 블루마운틴 일부 지역 ‘안작데이 퍼레이드’ 취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6 호주 NSW 기획부, 주택공급 확대 위한 개정법안 상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5 호주 ‘FIFA 월드컵’ 본선 출전국, 48개국으로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4 호주 호주 사상 최대 사법 케이스, 채임벌린씨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3 호주 NSW 주, 일부 업계 정치기부금 금지 규정 재검토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2 호주 부동산 전문가들이 보는 올해 시드니 시장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1 호주 The six best things about living in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0 호주 2017 시드니 부동산 시장, 최고 강세 예상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9 호주 퀸즐랜드 주, 임질-클라미디아 등 성병 감염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8 호주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곤충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7 호주 ‘내집 마련’의 꿈, ‘싱글들’에게는 더욱 요원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6 호주 배달 서비스 확대... 시드니 도심 교통정체 가중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5 호주 시드니 전역, 주거지 개발로 토지 가치 급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4 호주 부동산 시장... 올해도 주택가격 상승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3 호주 시드니 지역 사립학교 학비, 크게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2 호주 시드니 주민들, ‘이웃집 애완견과의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1 호주 Australia Day... 호주 최대 국경일, 기념행사 ‘풍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0 뉴질랜드 최저임금 4월1일부터 $15.75로 50C 오른다 선데이타임즈 17.01.25.
5679 뉴질랜드 내년 3월 '암웨이' 차이나 1만명 뉴질랜드 몰려온다 선데이타임즈 17.01.25.
5678 호주 2016년 12월 시드니 주말 경매시장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7 호주 소아 자폐증 증가, 가벼운 증상에도 ‘환자’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6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다소 하락, 2년 사이 수치는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5 호주 ‘Median Multiple 지수’로 본 시드니 주택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4 호주 시드니 도시 성장에 대학교 ‘도시계획학과’ 인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3 호주 고대 원주민 유적지,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2 호주 NSW 주 건축 붐, 배관기술 인력 크게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1 호주 시드니 지역 호텔 신증축 늘어, 관련 직업 급증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0 호주 베어드 주 수상 후임으로 베리지클리안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69 호주 정부 신뢰도 위기... 호주 국민들, “아무도 못 믿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68 호주 Sydney's best beer gardens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67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글리브 지역 주택시장 ‘활황’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6 호주 마틴 플레이스 인질범 모니스 파트너, 징역 44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5 호주 ‘에어비앤비 붐’, 모두가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4 호주 유닛 임대료 상승 가파른 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3 호주 헐리우드 영화 제작자들, ‘서부 호주’로 눈 돌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2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가계소득 상승의 2배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1 호주 줄리 비숍, 트럼프의 ‘반(反)이민 정책’ 옹호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0 호주 NSW 경찰청 내부, "대테러부는 조직 하나 늘린 것일 뿐”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9 호주 NSW 베레지클리안 주 수상, 정부 내각 대대적 개편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8 호주 Eight money tips for good fortune and prosperity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7 호주 “흥미로운 새 직업 세계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6 호주 호주인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5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강세... 시장 상황, 좀 더 지켜봐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4 호주 NSW 경찰청장 후임, 쿼드블리그 ABF 대장 유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3 호주 중국계 투자자, 부동산 시장 영향력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2 호주 호주판 ‘맹모삼천지교’... 유명 학군 주택가격 큰 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