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안작 1).jpg

호주 및 뉴질랜드 연합군으로 구성된 안작 부대의 갈리폴리 반도 상륙일(1915년 4월25일)을 기념하는 안작 데이(ANZAC Day)는 오늘날 전 세계 모든 전장에서 희생된 호주 참전 군인들을 추모하는 기념일로 자리 잡았다.


‘안작’의 유산은 고난의 시기에 서로를 돕는 ‘동료 의식’



오늘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호주 및 뉴질랜드 젊은이들로 급조된 안작 부대(Australian and New Zealand Army Corps) 군단이 터키 갈리폴리 반도(Gallipoli Peninsular)에 상륙한 지 꼬박 99년이 되는, 안작 데이(ANZAC Day)이다. 실패한 전쟁을 통해 오히려 호주인의 단결과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됐던 이 날은 오늘날 호주인들이 가장 의미를 두는 국가 기념일이기도 하다. 안작 데이를 맞아 ‘안작’ 관련 몇 가지를 짚어본다.



■ 안작의 뜻은...


안작(ANZAC)은 ‘Australian and New Zealand Army Corps’의 머리글자를 따 붙인 명칭으로 호주 및 뉴질랜드 육군 군단을 뜻한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짧은 시간, 영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군에 이름을 남긴 ‘안작’은 이후 호주 군인은 물론 국민들의 자부심이 되고 있다.



■ 안작 데이는 무슨 날...


호주 및 뉴질랜드 군인들로 구성된 ‘안작 부대’가 영국군 사령부의 요청에 따라 터키 갈리폴리 반도(Gallipoli Peninsular) 반도에 상륙한 날(1915년 4월25일)을 기념한다. 호주는 영국 식민지 시절(1901년 호주 연방이 구성되기 이전)부터 전 세계 주요 전쟁에 참전해 왔으며, 뉴질랜드와 연합군을 구성해 작전에 참전한 것은 처음이다.



■ 호주인들에게 안작 데이가 주는 특별한 의미는...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당시 호주는 연방국가로 출발한 지 13년에 불과했다. 호주의 연방 정부는 전 세계 국가들에게 ‘호주’라는 이름을 확고히 하고자 했다. 이런 즈음, 영국-프랑스 연합군으로부터 지원 요청이 접수됐다. 이전부터 영국 왕실에 대한 충성도가 높았던 호주는 뉴질랜드 군과 함께 안작 부대를 구성했다. 하지만 이 부대는 이번부터 훈련되어 온 직업 군인들이 아니라 급조된 군단으로, 제대로 된 훈련 기회도 없이 이집트를 거쳐 연합군의 요청에 따라 터키 갈리폴리 반도에 투입됐다. 안작 부대에 떨어진 명령은 독일을 중심으로 한 동맹국 터키 군이 지키는 이 반도를 차지하는 것이었다.


영국-프랑스 연합군의 지원부대로 참전한 안작은 갈리폴리에서 독립된 작전구역을 할당받았다. 하지만 이 작전은 본래 영국 사령부의 무모한 작전이었다. 거의 절벽으로 이루어진 갈리폴리 반도의 산꼭대기에는 이미 터키군의 위력적인 화포가 준비되어 있었다. 참호 하나 없는 이 반도를 올라 터키 방어군을 제압한다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능했는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명령에 따라 상륙작전을 개시한 안작 부대는 적의 화력에 무수히 목숨을 잃었다. 8개월여에 걸친 작전 수행 기간 동안 호주 군은 무려 8천명이 전사했으며 부상자도 엄청났다. 이 전쟁 소식은 호주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고, 영국군 사령부의 잘못된 작전 계획으로 젊은이들이 희생되자 영국을 모국으로 생각했던 호주인들 사이에 강한 국가 정체성이 싹트기 시작했다.


뿐 아니라 8개월여의 전투에서 안작부대 군인들 간에 싹튼 진한 전우애는 죄수 유배시절부터 이어온 동료의식을 더욱 단단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작전은 실패했고 안작 부대는 갈리폴리에서 철수했다. 실패한 작전, 참해한 전쟁이지만 이를 통해 호주는 고난의 시기에 서로를 돕는 진한 동료의식(Mateship)을 키우게 됐고, 이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오는 안작의 전통이며 또한 호주인들에게 남긴 정신적 유산이기도 하다.



■ 안작 데이 기념행사는...


안작 부대가 갈리폴리 반도에 상륙한 4월25일은 작전 이듬해인 1916년 공식적으로 ‘Anzac Day’로 명명됐고 런던시가지 행진, 이집트 호주군 캠프에서의 행사 등 다양한 기념행사가 개최되기 시작했다. 1916년 런던에서 최초로 안작 부대 시가 행진이 열리자 영국의 한 일간지는 갈리폴리에서의 안작 부대의 용맹성을 인정, ‘갈리폴리의 기사들’(the knights of Gallipoli)이라는 제목을 달기도 했다. 호주에서도 부상을 입고 귀국한 참전 군인들을 선두로 퍼레이드를 시작했고, 또한 군인 모집을 비롯해 국가에 대한 애국심을 고취하는 행사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20년, 안작 데이는 비단 제1차 세계대전에 뉴질랜드 연합군과 함께 참석한 전쟁 기념에서, 나아가 이전까지 호주가 참전한 모든 전쟁에서 희생된 6만여 호주 군인들을 기리는 국가 현충일로 의미가 확대됐다.


이어 1927년 호주의 모든 주(state)에서 안작 데이를 공휴일로 선포했으며, 오늘날과 같은 안작 데이 기념행사(집회, 도심 퍼레이드, 희생자 추도식 등)는 1930년대 중반 굳어졌다.



자료 소스 : Australian War Memorial(www.awm.gov.au/commemoration/anzac-day/)


정리 :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7 호주 NSW, ‘강압적 통제’를 ‘범죄’로 명시한 법안 통과... 정부관할 구역 중 최초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56 호주 시드니 시티, 2025년 중반까지 야외 테이블 설치, ‘무료 허용’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55 호주 저소득 계층-이민자-태평양 도서민들... 팬데믹 사태의 가장 큰 희생자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54 호주 캔터베리 지역 예술가들이 모색한 ‘불확실성 시대에서 찾은 기쁨’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53 호주 NSW 주 정부, 구직 사이트 ‘Seek’와 공조해 유학생 일자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52 호주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공공건물, NSW 주 의회 의사당 200년의 이야기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51 호주 “이제는 생활비 상승으로 인해”... ‘tree-changer’들의 도시 탈출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50 호주 호주 주택위기 지속... “2041년까지 100만 채의 커뮤니티 주택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49 호주 가계 생활비 부담? “초과시간 근무 보상으로 어느 정도 해결 가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48 호주 호주인들, “여행 계획에 시간 낭비하지 않는다”... 여행업, 빠르게 회복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47 호주 올해 연방선거의 새 바람 ‘teal’, ACDC의 ‘올해의 단어’에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46 호주 본다이에서 바이런으로... 광역시드니 부유 교외지역 인구, 점차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45 호주 CB 카운슬의 새 도시계획, ‘Australian Urban Design Awards’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44 호주 NSW 주 반려견들, “보다 공격적”... 무책임한 사육자-COVID 상황서 기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43 호주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아직 견고하지만... 생활비 상승에는 여전히 뒤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42 호주 호주 중앙은행, 8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현금 이자율 3.1%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41 호주 시드니, 전 세계 172개 도시 중 ‘생활비 가장 높은 도시’ 열 번째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40 호주 NSW 주 정부 ‘농업관광’ 관련 규제 완화... 농장주들, 추가 수입 가능해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39 호주 주택시장 침체 1년... 내년에는 가격 오를까? “답은 이자율에 달려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38 호주 영어 외 언어로 된 구인광고 절반 이상의 제시 급여, 최저임금에 못 미쳐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