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팬데믹 이후 1).jpg

세계적 전염병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과정은 험난하겠지만 대부분의 바이러스 학자들은 COVID-19도 결국에는 계절성 질병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광역시드니에 봉쇄 조치가 이어지단 지난 겨울, 로즈(Rhodes) 소재 Rhodes Foreshore Park에서 늦은 오후의 햇살을 즐기는 사람들.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바이러스 학자들, “COVID-19 근절 장담하지 못한다”... 장기간 지속 전망

 

지난해 3월, 세계적 유행병으로 선포된 COVID-19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를 만들어내면서 2년 가까이 지난 가운데, 이 바이러스가 과연 완전히 억제될 수 있을까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팬데믹 사태를 불러온 코로나 바이러스는 한 순간 인류에게 타격을 준 것으로 그치지 않고 장기간 또는 흔한 감기 바이러스처럼 인간과 함께 존재해나갈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시드니대학교 진화 바이러스 학자인 에디 홈스(Eddie Holmes) 교수는 “어느날 아침, 눈을 뜨고는 ‘아, 이제 끝이 났다’라고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이들이 이 질병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결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견이다.

 

사실 대부분의 전염병 전문가들은 근래 들어 ‘COVID-19를 근절하는 게 거의 확실하지 않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퀸즐랜드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바이러스 학자인 이안 맥케이(Ian Mackay) 박사는 “백신접종률이 크게 높은 상황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보면 아직 멀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이러스가 너무 많아 아무리 좋은 백신이라 해도 감염을 막는 데는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물론 집단면역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라도 백신은 심각한 질병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홈스 교수는 시간이 지나면서 COVID-19는 독감 등 다른 전염병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풍토병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이어 “백신접종률이 아주 높은 국가에서도 이 바이러스는 여전히 존재할 것”이라는 그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질병 부담을 크게 줄이는 일일 뿐, 그 이상도 아니다”고 설명했다.

 

 

세계적 전염병에서

풍토병으로 남을 것

 

방역 당국이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 방역 지침을 ‘리빙 위드 코비드(living with COVID)’로 전환하고 공공보건명령의 제한 규정을 완화함에 따라 호주도 싱가포르나 영국 등의 국가 사례처럼 앞으로 감염자 수가 다시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COVID-19와 관련된 한 증거에 따르면 이 바이러스는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이들 사이에서 가장 쉽게 전파되지만 감염에 대한 보호가 약화되고 백신 투여 이후 시간이 오래 지남에 따라 예방접종자들 사이에서도 감염 사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홈즈 교수는 “감염자 발생 수치를 신경 쓰지 말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부 모델링 결과를 보면, 방역을 위한 제한을 완화하는 경우 인구가 많은 NSW 및 빅토리아(Victoria) 주의 경우 하루 최대 2천 건의 새로운 감염사례가 나올 수도 있음을 경고한다.

 

종합(팬데믹 이후 2).jpg

‘팬데믹’으로 선포된 COVID-19가 언제쯤 ‘엔데믹’(endemic)이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단정하기 어렵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들의 말이다. 그 과정은 예방접종 비율, 전 인구의 면역력 형성 수준(감염 발생 포함), 바이러스 전파에 따라 달라진다. 사진은 봉쇄 조치에 다라 영업을 일시 중단한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 의 한 소매점.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반면 긍정적인 점은 ‘돌파 감염’(breakthrough infections. 이미 백신을 접종 받아 면역력이 형성되어 있는 사람에게도 전염병이 감염되는 일)이 덜 심각한 경향이 있으며, 대부분 국가에서 겪었던 병원 입원 및 사망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안 맥케이 박사는 여전히 면역력이 저하된 이들, 고령층을 포함해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들이 있다고 말한다. “백신을 맞을 수 없거나 면역체계가 잘 작동하지 않아 질병을 앓게 되는 이들을 계속 보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이어 “COVID-19가 이 모든 것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는 그는 ‘백신이 이 바이러스에 대항해 잘 작동되는가’라는 것에 ‘확신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리피스대학교(Griffith University)의 전염병 연구원인 라라 헤레로 박사는 이런 점에서 심각한 질병 위험에 처한 이들을 보호하고 또한 감염자로 인해 의료 시스템이 붕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한 완화를 천천히 시행하고 중요한 ‘COVID-safe’ 조치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면역력이 없는 이들이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것을 감안해 제한 완화를 늦출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면역력 약화 및 위험 수용

 

‘팬데믹’으로 선포된 COVID-19가 언제쯤 ‘엔데믹’(endemic)이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단정하기 어렵다”는 게 대부분 학자들의 의견이다. 그 과정은 국가마다 다를 수 있다. 즉 예방접종 비율, 전 인구의 면역력 형성 수준(감염 발생 포함), 바이러스 전파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한 데이터는, COVID-19 백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각한 질병에 대한 강력한 보호 기능을 제공하지만, 그 면역력이 약화된다는 증거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전체 인구의 면역력이 바뀔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추가접종(booster shots) 백신 가용성은 집단면역 강화의 핵심이 될 수 있다.

 

홈즈 교수는 현재 보건 전문가들이 COVID-19 방역과 관련하여 지난 9월 10일부터 모든 제한을 해제한 덴마크와 같은, 예방접종률이 높은 국가를 면밀히 주시하여 새로운 감염자 발생과 입원환자 수가 어떻게 되는지를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 한편 맥케이 박사는 ‘living with COVID-19’에 대해 “정부가 어떤 수준의 질병과 사망을 허용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일부 사람들에게 있어 ‘COVID-19와 함께 살아가기’라는 것은 입원과 사망 부담을 무디게 하기에 충분할 만큼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들과 함께 ‘그냥 놓아두는 것’(just letting it go)을 뜻하는 것으로 여기고 있다”면서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보다 높은 수준의 보호를 원하고 (바이러스) 감염을 막고자 노력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맥케이 박사는 “호흡기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 질병 및 경제적 측면에서 우리가 수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접근방식을 진정으로 바꾸지 않는 한 우리는 아마도 COVID-19를 견뎌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새로 발생되는 변이 바이러스는

 

국가 차원에서 향후 COVID-19의 위협을 관리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소는 바이러스 자체의 진화이다. 전 세계 많은 지역이 여전히 감염에 취약하기에(수십 억 명의 인구가 아직도 첫 번째 백신접종을 받지 못했다) 바이러스에게는 복제 또는 돌연변이 생성의 기회가 많다.

 

종합(팬데믹 이후 3).jpg

바이러스 학자들 가운데는 SARS-CoV-2가 계절성 독감과 유사해지는 시점이 시작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다만 계절성 질병으로 나타나지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진단이다. 사진은 방역 지침에 따라 특정 업소 출입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스마트폰으로 해당 업소의 QR 코드에 접속하는 한 고객.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홈즈 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 첫 18개월의 상황을 보면 전염성이 가장 강했던 변이 바이러스들이 성공적 변종들이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바이러스의 진화는 우리의 면역 반응을 더욱 잘 피할 수 있는 새로운 변종을 만들어낸 가능성이 있음을 뜻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홈즈 교수는 “의문스러운 것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면역력을 피할 수 있다고 해서 여전히 전염성을 갖고 있을까 하는 것”이라며 “(진화 생물학에서 보면) 이런 절충점이 있기에 실제로 모든 것을 잘 할 수는 없다”고 분석했다.

 

이런 점에서 “미래의 변이 바이러스는 더 전염성이 높거나 독성이 있을 수 있지만 그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생각”이라는 그는 “바이러스가 무엇을 하든 우리 모두가 백신을 접종받을 것이라는 사실, 그 면역 반응이 후속 감염을 약화시켜 사망자를 낮추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독감과 같은 COVID 치료

 

결국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홈즈 교수는 SARS-CoV-2가 계절성 독감과 유사해지는 시점이 시작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는 자신의 생각을 전제로, “온대 지역의 겨울, 계절성 질병이 될 것이며... 아마도 매우 자주 발생하리라 본다”고 말했다.

 

이어 홈즈 교수는 “그것은 바이러스가 순환하는 면역력을 더 많이 피해갈 수 있게 하는 새로운 돌연변이를 포착한 경우에 해당하며, 그런 일이 발생하면 백신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헤레로 박사도 풍토병(endemic)이 된 SARS-CoV-2가 독감과 같은 계절성 질병으로 폭넓게 나타날 수 있지만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한다.

 

그는 “또 다른 ‘팬데믹’ 사태가 발생되지 않도록 바이러스의 변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며 “대다수 사람들은 독감 백신이 매년 검토, 평가되며 필요한 경우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맥케이 박사는 또 하나의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로 “SARS-CoV-2가 결국에는 감기를 유발하는 고유의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행동하기 시작하는 것”을 제시했다.

 

이는 사람들이 유아기에 처음 감염된 이후 일생 동안 여러 차례 이 바이러스에 노출되며 일반적으로 경미한 증상만 경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맥케이 박사는 “우리는 이제 어린이의 면역체계가 많은 호흡기 바이러스로부터 상당히 보호된다는 더 나은 아이디어를 갖게 됐다”며 “아이들은 면역력을 가진 후 이 면역력이 평생 유지되며 나이가 들면서 완화되는 질병의 순환을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은 그것이 얼마나 오래 걸릴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팬데믹 이후 1).jpg (File Size:75.9KB/Download:13)
  2. 종합(팬데믹 이후 2).jpg (File Size:114.4KB/Download:17)
  3. 종합(팬데믹 이후 3).jpg (File Size:80.4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651 호주 호주 각 도시 임대주택 공실률, 지난 수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5650 호주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택가격 상승 지속 이유는 ‘백신에 대한 믿음’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5649 호주 지난 달 시드니-멜번 주택 경매 중간 낙찰가, 전월대비 하락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564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알렉산드리아 테라스 주택, 어렵게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5647 호주 “개발도상국의 백신접근 어려움... 오미크론으로 큰 문제 야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6 호주 5연임 이어가는 시드니 시티 클로버 무어 시장, ‘기후 문제’ 주력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5 호주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이유, ‘오미크론’이 지금 나온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4 호주 타스마니아 북부 도시 론세스톤, 유네스코의 ‘미식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3 호주 TGA, 5-11세 어린이 대상 COVID-19 백신접종 ‘잠정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2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성인 대상 부스터샷으로 모더나 백신도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1 호주 ATAGI, ‘오미크론 변이’ 긴장 속 “부스터 프로그램 변경 계획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40 호주 주거용 부동산 투자를 고려할 만한 호주 상위 20개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39 호주 11월 호주 주택가격, 상승세 이어져... 성장 속도는 다소 둔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38 호주 ‘Housing Affordability’ 문제, “사회주택기금으로 해결 가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3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랜드윅 소재 저택, 897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5636 호주 전 세계 긴장시킨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델타’만큼 확산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5 호주 유학생 및 여행자 호주 입국 허용, '오미크론 변이'로 2주 연기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4 호주 논란 많은 ‘자발적 조력 죽음’, NSW 주에서 합법화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3 호주 연방정부, 동성애 학생 및 교사 등 보호 위한 ‘종교차별 금지 법안’ 발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2 호주 NSW 주 정부, 접종률 95% 이후의 COVID-19 제한 완화 로드맵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1 호주 ‘living with COVID’ 전환 국가들, 호주 당국에 주는 조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30 호주 연방정부의 ‘긍정적 에너지 정책’, 공공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29 호주 주택가격 상승률 높은 시드니 지역은... 브론테, 연간 55.1%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28 호주 호주 각 주 도시에서 주택가격 저렴하고 살기 좋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2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늘어난 매물로 예비 구매자 선택 폭 넓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5626 호주 호주인 특유의 유머가 만들어낸 ‘Strollout’, ANDC의 ‘올해의 단어’에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5 호주 정부, 한국 등 여행자 포함해 유학생-숙련기술 근로자 받아들이기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4 호주 12세 미만 아동 백신접종 필요성은 ‘감염위험 및 전파 가능성’ 때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3 호주 밴 차량서 장기간 생활 호주 여성 증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2 호주 아시아 태평양 여행-관광산업 회복, 전년 대비 36% 이상 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1 호주 팬데믹 상황이 가져온 호주인의 지방 이주, 변혁적 아니면 일시적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5620 호주 코로나 팬데믹 20여 개월 500만 명 사망... 실제 사망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9 호주 봅 카 전 NSW 주 총리, “안티 백서들의 메디케어 박탈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8 호주 호주인들, 코로나19 제한 조치 완화 후 관련 질문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7 호주 봉쇄 조치 완화 불구 호주 실업률 6개월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6 호주 “2030년까지 NSW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차의 50%, 전기차가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5 호주 블루마운틴 서쪽 끝 부분, 새로운 생태관광-어드벤처 목적지로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4 호주 “11세 이하 어린이 COVID-19 예방접종, 내년 1월 전에는 힘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3 호주 퍼스 여성 에리카 로리, 1천 km ‘비불먼 트랙 달리기’ 새 기록 수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파이브덕 소재 주택, 3년 만에 180만 달러 수익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5611 호주 호주 코로나19 예방접종 80%... 제한 완화 설정 목표 도달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10 호주 연방정부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 시작... 접종 대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9 호주 호주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프로그램, 11월 8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8 호주 연방정부, ‘호주 입국’ 조건에 인도-중국의 또 다른 COVID-19 백신도 인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7 호주 코로나19 검역 절차 없이 호주인이 입국할 수 있는 해외 국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6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모든 농장 근로자에 최저임금 보장해야” 규정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5 호주 NSW 아웃백의 한 목장, 동식물 보호 위한 국립공원으로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4 호주 시드니 공항, 국제 컨소시엄과의 236억 달러 바이아웃 제안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3 호주 각 주 도시의 부동산 가격 급등, 임대주택 수익률은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5602 호주 시드니 각 학교 주변 주택가격, 1년 사이 두 자릿수 상승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