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대신 집에서 자가격리' 10월말부터 시범, $1,000의 요금 지불

 

6f9deaa22f4cc91c13941c9f696a75e9_1633035410_578099.jpg
 

150명으로 시작하는 자가 격리 파일럿

 

백신 접종을 마친 뉴질랜드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 150명을 대상으로 귀국 시 격리시설(MIQ) 대신 집에서 자가격리할 수 있게 하는 시범사업(Self-Isolation Pilot)이 10월 말부터부터 시작된다. 이는 8월에 발표된 계획의 일환으로,국경을 안전하게 다시 개방하고 사람들이 여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집에서 격리하는 방법이 안전한지 검증해보는 과정이다.

 

참여 대상은 국내에서는 불가능한 업무 목적으로 해외를 방문해야 하는 사람으로, 신청자 중 추첨을 통해 150명이 선정될 예정이다. 국내에서 화이자 백신 2회 접종을 완료해야 하며, 방문 국가는 코로나19 위험도가 낮은 국가여야 한다. 그리고 신청자는 10월 30일(토)에서 12월 8일(수) 사이에 뉴질랜드에 귀국해야 하며, 12월 22일까지 격리를 종료해야한다.

 

신청은 오는 9월 30일(목) 오전 9시부터 10월 9일(토) 오후 5시까지 Expressions of Interest (EOI) 제출 방식으로 접수된다. 고용주가 자가격리에 참여할 직원을 대신해 신청해야 한다.따라서 고용주는 자격기준을 세심하게 점검하도록 권장된다.

 

공개된 추가 내용은 국제공항이 있는 오클랜드와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자가격리할 사람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으로 관리감독을 받게 되며, 정기적인 무작위 전화 통화를 통해 자가격리 규정을 준수하는지 확인이 이루어진다.수송비 등 관련 비용으로 자가격리자는 $1,000의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정부의 승인을 받은 집에서 14일 동안 자가격리해야 하며,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 독립된 집이어야 한다. 공동 환기 시설을 사용하는 곳은 적합하지 않다. 숙박 시설을 임대해야 하는 경우 개인 주택이어야 하며 MIQ가 공항에서 숙소까지 데려다 준다.

 

오클랜드 공항 또는  크라이스트처치 공항에서 육로로 50km 이내에 있어야 하며,휴대전화 통신 서비스 구역 내에 있어야 한다.또한 자가격리 중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방문하는 의료진및 응급 또는 기타 필수 서비스(예:소방,구급차,경찰,긴급 수리를 위한 상인)를 제외하고 방문자는 허용되지 않는다. 

 

비상시 또는 승인된 사람의 호위를 받는 경우가 아니면 언제든지 숙소를 떠날 수 없다.자가격리자는 식사, 식료품과 생활용품을 본인 부담으로 스스로 해결해야 하며 비대면 배달 서비스 이용은 허용된다.

 

출국 전 음성 확인서가 있어야 하며, 뉴질랜드 도착 시에는 코로나19 검사와 검역을 받게 된다. 그리고 모니터링 요구사항을 준수해야한다.

 

한편,정부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다양한 대중 시설과 장소에서 백신 접종자만 출입할 수 있게 하는 백신 접종 증명서(백신 여권) 제도를 시행하는 방법을 논의 중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651 호주 트럭 운전, 호주에서 가장 치명적 직업 중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0 호주 NSW 주 공립학교 입학생, 40년만에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49 호주 “호주, 제조업 활성화로 수입 의존도 낮추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48 호주 “부동산 상속세를 젊은 계층 보조금으로 활용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47 호주 The official GABS Hottest 100 Aussie craft bee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46 호주 부익부 빈익빈 확대... 저소득층 가계소득 더욱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45 호주 최고 무더위 불구, 시드니 주말 경매 ‘활황’ 이어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44 호주 NSW 주 내륙, 산불피해 극심... 마을 전체가 완전 파손되기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43 호주 “설탕세 도입하면 호주인 수명 2년 이상 연장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42 호주 세입자들, “집주인 무서워 수리비 청구 못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41 호주 2016년도 ‘온라인 데이트’ 사기 피해 2천50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40 호주 모스만, 시드니 지역 최고급 저택 지역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9 호주 호주 치매환자, 비용만 연간 수십억 달러 소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8 호주 NSW 주 정부, 지방 지역 카운슬 강제합병 포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7 호주 “시드니 지역 상위 공립학교 보내려면 150만 달러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6 호주 시드니 공립학교 입학생 수, 이례적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5 호주 원주민-비원주민 삶의 질 격차, “변한 것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4 호주 멜번-시드니, 가장 역동적인 전 세계 도시 중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3 호주 높아지는 청년 실업, 호주 젊은 세대 ‘좌절감’도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1830년대 코티지, 잠정가서 45만 달러 넘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31 호주 올해부터 뱅스타운 라인 ‘싱글덱’ 공사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30 호주 모스만 소재 주택, 올해 첫 ‘double-digit’ 가격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9 호주 NSW 주 정부, 부적절 직업학교에 보조금 중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8 호주 주택융자 ‘Deposit’ 없이 ‘내집 마련’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7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달러’ 새 디자인 지폐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6 호주 NSW 정부, IT 공무원직에 457 비자 소지자 고용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5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전 세계 상위 10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4 호주 NSW 주 정부, 파라마타 경전철 관련 16개 역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3 호주 Four things Australia could do to tackle the obesity crisi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2 호주 뉴타운, 진보적 경향 강하고 라켐바는 비관적 성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1 호주 낙찰률 80%... 2월 경매 통한 주택거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20 호주 “여성에 대한 폭력, 시작할 때 막읍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9 호주 호주 대도시 소재 대학 학생 증가, 시드니는 예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8 호주 관리자급 여성 늘어날수록 남녀 임금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7 호주 대학교 교내 성폭력 은폐, ‘솜방망이’ 처벌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6 호주 NSW 교육표준청, 12학년 필수 과목서 소설 및 시 제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5 호주 시드니 3개 지역, 호주 전체 GDP 성장 24% 기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4 호주 Top 10 best cycling trip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3 호주 서리힐 주택판매자, 부동산 시장 강세로 큰 이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12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11 호주 공공주택 대기자 6만, ‘거주 불가’ 주택 1천500여 가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10 호주 시드니 시티, 거리 예술로 도심 풍경 변화 모색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9 호주 이중국적 테러리스트 시민권 박탈 법안, 효용성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8 호주 시드니 공항그룹, 유료 주차 매출만 연간 1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7 호주 OECD, 호주 경기침체-주택가격 하락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6 호주 ATO, 일부 업종 대상 ‘현금경제와의 전쟁’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5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시드니,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4 호주 반테러 강화하는 호주, 미국식 안보전략 따라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3 호주 2017 세계 여성의 날- 호주인 남녀평등 의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2 호주 2017 세계 여성의 날- 여성권익 향상 방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