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Harmony Australia 1).jpg

이민 정책에서 백호주의 정책(White Australia Policy)을 고수하던 호주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점차 이를 철폐하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이주자를 받아들였다. 사진은 1956년 호주로 들어오는 이민자들. 사진 :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전체의 30%, 해외 출생... 첫 영국인 도착 이후 1천 만 명 이상 이민자 받아들여

영국인 우선의 이민 정책,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인력 부족 사태와 함께 점차 해체

 

호주는 전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다문화 국가로 평가받는다. 현재 호주 인구 중 30%는 해외에서 출생한 이들이며, 첫 영국인 도착, 그리고 호주라는 국가 형성 이후 약 1천 만 명의 이민자를 받아들였다.

1901년 호주 연방이 구성된 이후의 호주 역사는 문화적 다양성, 이민에 대한 정책과 태도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로 가득 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호주는 다양한 국가의 사람들을 받아들였고 때론 거부하기도 했다.

 

‘White Australia’은

중국인 유입에 대한 불안에서 시작

 

유럽 백인들로 국가를 만들어가려는 호주의 백호주의 정책(White Australia Policy), 공식적으로 ‘이민 제한법’(Immigration Restriction Act)은 19세기 골드러시(gold rush) 당시 대규모로 호주에 유입된 중국인에 대한 불안의 대응으로 호주가 연방 국가를 구성한 1901년 도입됐다.

이 정책은 호주로 이주하려는 영국민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했고 또한 호주 지역사회의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백인 호주’를 표방한 이민 정책은 점차 해체되기 시작했다.

전후 호주는 심각한 노동력 부족을 겪었고, 수천 명의 난민이 호주로 향했을 때 정부는 이들을 통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해외에서의 유입을 받아들여) 인구를 채울 것인가 아니면 소멸한 것인가’라는 ‘Populate or Perish’는 1945년에서 1965년 사이, 약 200만 명의 이민자가 호주로 들어온 대규모 노동력 확보 캠페인의 구호였다.

 

종합(Harmony Australia 2).jpg

백인 이민자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호주의 ‘이민 제한법’(Immigration Restriction Act), 일명 ‘White Australia’는 19세기 골드러시(gold rush) 당시 대규모로 호주에 유입된 중국인에 대한 불안에서 호주가 연방 국가를 구성한 1901년 도입됐다.

   

라 트로보대학교(La Trobe University) 정치학과 부교수인 그웬다 타반(Gwenda Tavan) 박사는 “우리 모두는 오늘, 어제, 그 이전의 이민자로, 호주는 이민 국가이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전제한 뒤 “우리 역사에서 ‘Populate or Perish’는 아주 중요한 순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녀는 “기본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은 호주의 현실이며, 이는 두려워하지 않고 축하해야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문화적 다양성이 호주라는 국가에 긍정적”이라는 것이다.

타반 박사에 따르면 1970년대는 새로 유입되는 이들로 하여금 호주 사회에 통합되도록 지원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에 정책적 초점을 두었다. 그녀는 “1945년에서 1970년대 사이에 이주한 많은 이민자들은 기술 수준이 낮았다”면서 “비영어권 배경에 기술이 없는 경우 사회적 불평등을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게 분명해졌다”고 설명했다.

 

종합(Harmony Australia 3).jpg

말콤 프레이저(Malcolm Fraser. 자유당) 총리가 재임하던 1975년에서 1983년 사이에는 5만여 명의 베트남 난민이 호주로 유입됐다. 이후 프레이저 정부는 점차 다양해지는 다문화 커뮤니티에 부응하는 정책을 펼쳤다. 사진은 1979년 다문화 특별 방송인 SBS 방송 3EA를 방문한 이안 맥피(Ian MacPhee. 사진 오른쪽) 이민부 장관. 사진 :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지나친 변화? 80년대

‘Thatcherism’ 이후의 문화전쟁

 

1975년에서 1983년까지 집권한 말콤 프레이저(Malcolm Fraser. 자유당) 총리 재임 기간에는 5만 명 이상의 베트남 난민이 호주에 정착했다. 이와 함께 다문화 특별 방송 서비스인 SBS 방송을 포함, 점차 다양해지는 다문화 커뮤니티에 부응하고자 일련의 기관이 설립됐다.

UTS 사회학과 앤드류 자쿠보위츠(Andrew Jakubowicz) 교수는 “제법 준수한 준-커뮤니티 라디오 방송(quasi-community radio station)들이 전문화되었고, 이는 전문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모나시대학교 국제-역사-철학 대학원의 앤드류 마커스(Andrew Markus) 명예교수는 이 같은 정책적 변화가 사회적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고 말했다. 그는 이에 대해 “변화가 지나치다는 사회적 반응으로 이어졌다”면서 “(다문화 이민자들에게) 너무 많은 양보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사회적 감정은 1980년대 영국 ‘대처주의’(Thatcherism)와 미국 레이건(Ronald Reagan) 행정부의 보수적 성향이 호주사회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이른바 ‘문화전쟁’으로 이어졌다.

 

종합(Harmony Australia 4).jpg

말콤 프레이저(Malcolm Fraser. 자유당) 정부 당시 다문화를 위한 여러 정책 및 관련 기관들이 설립됐다. 사진은 1985년 남부호주(South Australia) 주의 한 시민권 수여식에 참석한 프레이저 전 총리. 사진 :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1988년에 나온 ‘FitzGerald Report on Immigration Policy’에 따르면 일부 호주인들은 노동당이 유권자 수를 늘리고자 다문화 정책을 활용했다는 우려를 갖고 있었다.

그웬다 타반 박사는 “노동당은 역사적으로 민족 공동체와 더 긴밀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녀에 따르면 이는 1983년 집권한 노동당 밥 호크(Bob Hawke) 정부가 다문화 호주 국가를 지향한 국가적 정책 ‘National Agenda for a Multicultural Australia’로 설명할 수 있다. 그녀는 “이민자들의 요구, 문화적 표현에 대한 이민자 권리를 강조하는 것에서 벗어나 ‘모든 호주인이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서의 다문화라는 개념’으로의 정책적 전환”이라고 말했다.

 

존 하워드 정부,

엄격한 난민 정책 표방

 

1996년 자유당 대표인 존 하워드(John Howard) 정부가 구성되었을 때 하워드 총리가 가장 먼저 취한 조치 중 하나는 정부 예산에서 다문화 기금을 철폐한 것이었다.

그는 1996년 연방 선거 당시, 총리였던 노동당 폴 키팅(Paul Keating)과의 선거전에서 ‘일부의 호주인이 아닌, 모든 호주인을 위한’(for all of us, not just for some)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면서 이민에 대한 엄격한 정책을 암시했고, 집권 후에는 망명신청자, 난민자들에 대해 강경한 정책을 이어갔다.

 

종합(Harmony Australia 5).jpg

1996년 집권한 자유당 존 하워드(John Howard. 사진) 총리는 ‘일부의 호주인이 아닌, 모든 호주인을 위한’(for all of us, not just for some)이라는 기치로 엄격한 이민 정책을 펼쳤다. 사진 :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그해, 퀸즐랜드 입스위치(Ipswich, Queensland)에서 부모가 운영하던 피시앤칩스(fish and chip) 가게 점원으로 일하던 폴린 핸슨(Paulin Hanson)이 느닷없이 ‘반 이민, 반 아시안’ 기치의 한나라당(One Nation Party)을 창당하며 정계에 등장했고, 그녀의 정치적 이념은 호주사회 일부 우파 대중을 사로잡았다.

마커스 명예 교수는 “당시 아시아 갱단, 마약 등에 대해 많은 미디어의 지나친 보도가 있었고, 이는 충분히 많은 수의 사람들로 하여금 변화를 두려워하게 만들었다”고 진단했다.

타반 박사는 이민 국가로서의 호주와 관련해 “현재, 그리고 이후에도 호주는 새로 유입되는 정착민 문제와 씨름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적, 문화적 작업은 결코 끝나지 않는다”는 그녀는 “사람을 통합하는 방법, 과거 현재 미래를 조화시키는 방안과 이를 위한 대화는 (호주 사회에서) 여전히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Harmony Week’로 다문화 포용

 

매년 3월 21일은 유엔(UN)이 정한 '인종차별 철폐의 날'(International Day for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이다. 호주는 특히 이 날을 자체적으로 ‘Harmony Day’라 명명하고 다민족, 다문화의 조화를 위한 이벤트를 전개하며, 또한 이 날이 들어 있는 한 주간(week)을 ‘Harmony Week’(올해는 3월 20일~26일)로 정해 이와 관련된 다양한 행사를 펼치고 있다. 이는 수많은 민족, 그 문화적 다양성이 호주라는 국가를 더욱 풍요롭게 한 방식을 축하하는 것이며, 이를 더욱 견고하게 이어가자는 취지의 기념 주간이다.

 

종합(Harmony Australia 6).jpg

라 트로보대학교(La Trobe University) 정치학과 그웬다 타반(Gwenda Tavan) 부교수. 그녀는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은 국가 입장에서 매우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사진 : ANU School of History

   

호주가 1999년 ‘Harmony Day’를 시작한 이래, 이 날은 호주 전역의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관련 이벤트가 열리는 국가적 일정으로 자리 잡았다.

존 하워드 정부에서 ‘Harmony Day’를 도입했을 때 호주사회 일각에서는 “호주의 다문화주의에 관한 서술을 바꾸려는 보다 광범위한 계획의 일부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타반 박사는 “당시 하워드 총리는 호주의 인종차별(racism), 기타 차별(discrimination)에 대한 비판이 너무 부정적이라고 느꼈다”면서 “호주사회가 과거의 부정적 측면을 부각하기보다는 이제까지의 성과를 축하하고자 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Harmony Australia 1).jpg (File Size:99.8KB/Download:17)
  2. 종합(Harmony Australia 2).jpg (File Size:129.2KB/Download:17)
  3. 종합(Harmony Australia 3).jpg (File Size:80.2KB/Download:19)
  4. 종합(Harmony Australia 4).jpg (File Size:74.5KB/Download:14)
  5. 종합(Harmony Australia 5).jpg (File Size:30.8KB/Download:18)
  6. 종합(Harmony Australia 6).jpg (File Size:52.8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77 호주 ‘앵무새 죽이기’ 저자 하퍼 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6 호주 동성애자 탄압... NSW 정부, 38년만에 공식 사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5 호주 “100달러 고액권, 범죄자들의 탈세로 이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4 호주 호주 프리랜서 보도사진가, ‘세계 보도사진 대전’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773 호주 주말 시드니 경매, 일부 지역 낙찰가 폭등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72 호주 “호주인들, 비만 관련해 탄산음료 업계에 불만 제기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71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둔화, “성급한 전망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70 호주 고령자 케어-보건 분야, 향후 새 직업군 창출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9 호주 AFP, 향후 10년 내 경찰 인력 절반 ‘여성’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8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7 호주 의료 목적의 대마초 재배 법안, 연방의회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6 호주 원주민 출신 정치인 린다 버니의 ‘역사 만들기’는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5 호주 다량 유통 50달러 위조지폐, 은행도 속을 만큼 정교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4 호주 전 세계 ‘Powerful Passports’ 순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3 호주 NSW, VIC에 비해 주정차위반 벌금액 3배 비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2 호주 The books that changed 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476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대 화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4760 호주 시드니 자산가 늘어, 초호화 저택 수요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4759 호주 NSW 주, 모든 공무원에 탄력근무제 적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4758 호주 시드니 남서부 잉글번서 총기 난사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