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델타 바이러스 1).jpg

호주의 전염병 대처 방식을 바꾸어 놓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공포스러울 만큼 빠르고 강한 전파력을 갖고 있지만 현재까지 연구 결과 치명률은 본래 '우한' 균주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COVID의 변이 바이러슬 설명하는 ABC 방송 보도. 사진 : ABC 방송 화면 캡쳐

 

‘우한’ 균주 비해 50% 전염성 강해... 치명률은 크게 낮은 편

 

빅토리아(Victoria) 주에서 감염자가 발생한 이후 호주 각 지역으로 번진 인도발 변이 ‘델타’ 바이러스가 특히 광역시드니를 강타한 상황이다. 지난해 우한(Wuhan)에서의 코로나 바이러스 균주가 퍼질 당시 호주 전역을 대상으로 동시에 실시된 록다운 이후 NSW 주는 ‘델타’ 변이로 인해 광역시드니 및 일부 지방정부 지역을 대상으로 첫 봉쇄 조치를 단행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델타’ 바이러스 상황을 보면, 우선 이번 전염병 사태에 대한 호주의 대처 방식을 바꾸어 놓았다는 진단이다. 전파력이 강하고 빠른 데다 초기의 코로나 바이러스와 다른 증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정치인들 사이에서는 ‘까다로운 골칫거리’(tricky bugger) 또는 ‘게릴라 전사’(guerilla fighter)로 묘사되기도 했다.

현재 전문가들은 ‘델타’ 변이의 발생과 호주에서도 감염자가 나옴에 따라 이 바이러스의 작동 방식에 집중하고 있다. 공포스러울 만큼 빠르고 강한 전파력을 갖고 있는 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현재까지 나온 연구는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 전염성은 얼마나 강한가= 지난해 나온 우한 바이러스에 비해 훨씬 더 강하다는 것은 의심의 여기가 없다. 인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이 변이 바이러스는 지난 4월 영국에서 감염자가 발생했고, 곧바로 지배적인 바이러스 형태로 자리잡았다.

우한에서 발생한 본래 코로나 바이러스에 비해 약 50% 점염성이 높았던 ‘알파’ 변이가 있지만 전문가들은 ‘알파’보다 더 강한 전파력을 가진 것으로 추정한다.

의학연구기관 ‘커비 연구소’(Kirby Institute. NSW대학교와 제휴를 맺은 연구기관으로, 동 대학교 켄싱턴 캠퍼스에 있다)의 바이러스 전문가 스튜어트 터빌(Stuart Turville) 교수는 “본래 균주(우한 바이러스)에 비해 ‘델타’ 균주는 전염성이 2배 더 높다”고 말했다. 또한 “누군가로부터 감염된 사람이 다른 이를 감염시킬 위험도 더 크다”는 게 터빌 교수의 말이다.

그는 이어 “(영국발) ‘알파’ 균주의 경우 100명이 ‘알파’ 감염자와 접촉할 경우 8~9명이 감염될 수 있지만 ‘델타’ 균주는 12명을 감염시킬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 주의해야 할 ‘델타’ 변이의 증상은= 역학자들은 여전히 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연구하는 상태로 현재까지의 결론을 보면, ‘델타 감염자의 경우 본래 코로나 바이러스와는 다른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에는 발열, 지속적인 기침, 미각 및 후각 상실이 주의해야 할 주요 증상이었다.

 

종합(델타 바이러스 2).jpg

맨처음 인도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델타' 변이는 현재 전 세계의 지배적인 바이러스 형태로 자리잡았다. 사진은 COVID 검사를 받고자 드라이브 스루 검사소로 들어서는 차량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하지만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두통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이어 인후통, 콧물 및 발열이다.

터빌 교수는 “우리는 ‘ZOE’라는 이름의, 영국에서 실시한 연구를 통해 얻은 첫 데이터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ZOE’는 코로나 비이러스에 감염된 이들로 하여금 어던 증상이 나타나는지를 직접 보고한 것이다.

그에 따르면 후각을 느끼지 못하고 숨가뿜 현상이 나타나는 등 심각한 질병 증상이 발견되었지만 ‘델터’ 변에 감염자에게서 이런 증상은 덜 흔해졌다. 대신 콧물, 임후염 등 감기와 같은 증상이 많다. 이미 바이러스 백신접종을 받은 이들에게서는 발열이 보고되기도 했다.

 

▲ ‘델타’ 변이가 더 치명적인가= 본래 코로나 바이러스에 비해 너무 새로운 바이러스라는 점에서, 현재까지 연구는 초기 단계이다. 다만 터빌 교수는 지금까지 사망률 데이터는 기본 바이러스에 비해 더 유망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감염 후 28일간의 후속조치를 보면, 본래 바이러스의 치명률은 1.9%였다”며 “지금까지 ‘델타’ 변이는 0.3%의 사망률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터빌 교수는 “이는 매우 고무적”이라면서도 “지금까지의 초기 징후는 유망해보이지만 결정적인 것으로 보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덧붙였다.

 

▲ 아동 및 청소년에 미치는 위험도는= 젊은이들이 고령자에 비해 감염 위험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해외 연구가 있다. 다만 영국과 같이 ‘델타’ 연구가 시작된 국가들에서는 고령층의 완전 접종 비율이 많기에 해당 연구 결과는 왜곡될 수도 있다.

터빌 교수는 “우리(전문가들)는 아동들에게서 더 많이 감염된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아동의 경우 대개는 아직 접종을 받지 않은 상태이기에 ‘델타’ 변이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가늠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게다가 록다운 상황에서, 아동들은 학교에 가야 하는 등 이동이 많은 편이리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터빌 교수는 “ 때문에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려면 감염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며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델타’ 변이가 모든 이들에게 더 전염성이 높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현재의 백신은 ‘델타’ 변이에 얼마나 효과적인까= 호주가 접종을 시작한 ‘화이자’(Pfizer) 및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백신 모두 ‘델타’ 변이에 대해 보호를 제공한다. 터빌 교수는 “흥미로운 것은, ‘델타’ 변이가 더 전염성이 높지만 이에 대한 백신 반응이 매우 좋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공공보건 데이터에 따르면 COVID-19 백신을 2회 접종한 경우 ‘델타’ 균주의 증상 발생에 대한 유효성은 79%, ‘알파’ 변이에 대한 유효성은 89%에 달한다.

또한 백신은 ‘알파’ 균주의 93%에 비해 ‘델타’ 변이로 감염돼 심각한 질병을 앓고 병원에 입원해야 하는 것으로부터 96%까지 보호한다.

터빌 교수는 “이 같은 데이터는 정말로 유망하고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어떤 백신이든 심각한 COVID 증상과 입원을 피하는 등 최상의 보호를 받으려면 두 차례의 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멜번 소재 RMIT대학교(Royal Melbourne Institute of Technology) 연구원인 카일리 퀸(Kylie Quinn) 박사는 “백신이야말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강력한 도구”라고 강조했다.

퀸 박사 또한 “백신은 우리의 공공보건 대응에서 정말 뛰어난 백업”이라며 “명심해야 할 핵심은, 두 가지 백신(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모두 두 차례의 접종이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차례 접종으로 끝날 경우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은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종합(델타 바이러스 3).jpg

전염병 전문가들에 따르면 비록 '델타'의 전파력이 강하지만 현재 접종을 실시하고 있는 백신을 투여받은 경우 효과적인 면역력을 보인다. 단 2회 접종이 필수적이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 ‘델타’ 변이는 어떻게 생겨났나= 바이러스는 누군가를 감염시킬 때마다 수천 개의 복사본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때론 복사 정보가 잘못돼 약간의 유전자 코드가 변경되거나 교체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 복사 과정의 ‘실수’는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때로는 바이러스의 작동 방식을 변경하기도 한다. ‘델타’ 변이의 코드 변경은 바이러스 외부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영향을 끼쳤다. 이 두가지 주요 변화로 인해 ‘델타’ 변이는 ‘이중 돌연변이’로 불리기도 한다.

문제는, 이 두 가지 변화를 통해 ‘델타’ 변이가 인체 세포에 더 잘 결합하게 되었고, 보다 쉬운 감염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델타’ 변이의 전염력이 강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며 각 지역으로 빠르게 번지는 이유이다.

바이러스 전문가들은 “이 변이가 그렇다 하도라도 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것은, 백신은 우리 인체가 자연적으로 하는 것보다 훨씬 더 강력한 반응(면역력)을 제공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한다. 게다가 지금까지 그 어떤 변이 바이러스도 인간이 만든 백신을 이길 수 없었다는 것이다.

 

■ WHO가 명명한

COVID의 변이들

-B.1.1.7 : Alpha

-B.1.351 : Beta

-P.1 : Gamma

-B.1.429 : Epsilon

-B.1.526 : Iota

-B.1.617.1 : Kappa

-B.1.617.2 : Delta

*세계보건기구는 ‘변이’ 발생 초기 ‘영국발, 인도발, 브라질발 변이’ 등으로 불렸던 변이 코롼 바이러스 명칭을, 그리스 문자를 활용한 새 이름으로 칭하기로 했다. 변이가 발생된 국가 이름을 붙일 경우 차별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델타 바이러스 1).jpg (File Size:51.7KB/Download:15)
  2. 종합(델타 바이러스 2).jpg (File Size:79.8KB/Download:12)
  3. 종합(델타 바이러스 3).jpg (File Size:49.9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451 뉴질랜드 뉴질랜드, 전국적으로 주택 시장 냉각 계속 NZ코리아포.. 17.06.02.
5450 뉴질랜드 가출 14개월 만에 주인과 다시 상봉한 반려견 NZ코리아포.. 17.06.02.
5449 뉴질랜드 5억 달러어치 마약밀수범 “22년 징역형 선고” NZ코리아포.. 17.06.02.
5448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저가형 주택 이제 거의 사라져 NZ코리아포.. 17.06.05.
5447 뉴질랜드 토마토 씨앗 밀반입 한국 여행객 ‘입국 거부 후 강제 출국” NZ코리아포.. 17.06.07.
5446 뉴질랜드 어린이와 청소년, 항우울제 처방 10년 사이 거의 두 배 NZ코리아포.. 17.06.07.
5445 뉴질랜드 뉴질랜드, 이번 주부터 스키 시즌 시작 NZ코리아포.. 17.06.07.
5444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다섯 달 동안 계속 강세 NZ코리아포.. 17.06.08.
5443 뉴질랜드 18세 이하, 5명 중 1명 항우울증약 복용 NZ코리아포.. 17.06.08.
5442 호주 ‘6월’ 주말경매 매물 주택, 올해 첫 주 789채 ‘등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41 호주 “나이가 많다고? 나는 정직한 노동자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40 호주 호주 청량음료, 높은 포도당 수치로 당뇨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9 호주 시드니 경전철 공사 또 지연, 주변 상가들 피해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8 호주 ‘식량위기’ 불안감 속, 가구당 음식물 낭비 3천800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7 호주 국세청, “ATO 사칭 세금 사기 조심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6 호주 적정가격 주택, 시드니 도심서 75킬로미터 벗어나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5 호주 NSW, 첫 주택구입자 인지세 면제 범위 확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4 호주 발리 마약사범 샤펠 코비는 호주로 돌아왔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3 호주 호주 7개 대학, QS 대학평가서 100권 내 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2 호주 호주인 10명 중 7명, “자녀의 삶, 더 악화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1 호주 멜번서 총기 인질극... 호주, 테러 공포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5430 뉴질랜드 뉴질랜드 안락사 합법화 법안 추진, 국회의원들 결정에 고민 NZ코리아포.. 17.06.09.
5429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 가장 아름다운 호수 10 군데. NZ코리아포.. 17.06.09.
5428 뉴질랜드 뉴질랜드 부채 $528.7 billion, 여전히 상승 중 NZ코리아포.. 17.06.11.
5427 뉴질랜드 뉴질랜드, 2008년부터 북한에 지원했던 지원금 2016년부터 중단한 이유는? NZ코리아포.. 17.06.12.
5426 뉴질랜드 뉴질랜드 노동당, 순 이민자 수 제한 정책 제시 NZ코리아포.. 17.06.12.
5425 뉴질랜드 불 날 뻔했던 소방서 “사명감 강한 젊은 소방관이 막았다” NZ코리아포.. 17.06.12.
5424 뉴질랜드 시각장애 가진 외국 출신 여아 “비자 연장 거부 결정 정당하다” NZ코리아포.. 17.06.12.
5423 뉴질랜드 [포토뉴스] 10일 개장한 퀸스타운 리마커블스 스키장 NZ코리아포.. 17.06.12.
5422 뉴질랜드 뉴질랜드 요트팀, 스웨덴 제치고 최종결승 진출 NZ코리아포.. 17.06.14.
5421 뉴질랜드 키위달러, 향후 12개월간 미 달러에 강세 예상 NZ코리아포.. 17.06.15.
5420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가격 상승폭, 전국 상승폭보다 낮아 NZ코리아포.. 17.06.15.
5419 호주 ‘Queen’s Birthday’ 연휴로 6월 2주 경매, 다소 침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8 호주 ‘Careers Australia’ 파산... 두 학과, 타 학교에 매각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7 호주 ‘F6 터널’ 환기설비, 학교 인근 설치로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6 호주 중국 거대자본, 호주 교육-정치계 개입 우려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5 호주 호주인들이 강변 주택에 매료되는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4 호주 고령자 운전면허 필수 테스트, “연령 차별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3 호주 NSW 주 정부, 테러 대비해 경찰 공권력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2 호주 지난해 호주 주택가격 상승, 전 세계 평균치보다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1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100년 전을 들여다보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10 호주 “빈부격차 확대, 호주 경제 전반의 걸림돌”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09 호주 미리 보는 NSW 주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5408 뉴질랜드 런던 고층 아파트 화재, 불안에 떠는 NZ아파트 거주자들 NZ코리아포.. 17.06.16.
5407 뉴질랜드 뉴질랜드인 3명 중 1명, 도난 경험 NZ코리아포.. 17.06.16.
5406 뉴질랜드 오클랜드 기차, 무임 승차로 골치 NZ코리아포.. 17.06.16.
5405 뉴질랜드 로토루아에서 7,700명 참가 하카 이벤트, 세계적 기록 NZ코리아포.. 17.06.18.
5404 뉴질랜드 지난해 7만 6천 5백명 학생, 학교 결석 NZ코리아포.. 17.06.20.
5403 뉴질랜드 런던 화재 그렌펠 타워 외장 자재 ,오클랜드 100채 이내 건물만... NZ코리아포.. 17.06.20.
5402 뉴질랜드 키위 의대생, 대출 한도로 학위 마칠 수 없어 NZ코리아포.. 17.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