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Back to School 바우처).jpg

이달 12일(월)부터 NSW 주 전역의 학부모(기타 보호자)는 주 정부가 총 1억9.300만 달러를 책정한 ‘Back to School’ 바우처를 신청할 수 있다. 사진은 관련 정보를 담은 ‘Service NSW’ 웹사이트의 해당 페이지 메인 화면.

 

12월 12일부터 $50 바우처 3매 신청 가능, 내년 6월 30일까지 사용

‘Service NSW’ 앱-전화-서비스센터 방문 신청... 총 1억9,300만 달러 지원

 

NSW 주 전역의 학부모들은 NSW 주 정부가 선보인 ‘Back to School’ 프로그램을 통해 12월 12일(월)부터 총 $150의 바우처를 신청할 수 있다. 주 정부가 제공하는 이 바우처는 학령기 자녀(킨더가튼에서 하이스쿨 재학 학생)의 교과서나 교복, 제반 학용품 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여 가계 예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는 취지이다.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주 총리는 “여름 방학 기간은 학령기 자녀가 있는 가정이 새 학년도에 필요한 제반 물품을 구입하는 시기로, 이 바우처 프로그램은 그 비용을 충당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주 총리는 이어 “모든 학생들로 하여금 최상의 학업 성취를 얻을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 NSW 정부의 우선 과제”라며 “학부모, 법정 후견인, 위탁 양육자를 포함한 모든 학생 보호자는 $50의 바우처 3매를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바우처는 등록된 업체에서 학습에 필요한 물품, 신발, 가방, 런치박스 등을 구입할 수 있으며 한 번에 1매 이상의 바우처 사용이 가능하다.

주 정부에 따르면 이 바우처 프로그램에는 총 1억9,300만 달러가 책정되어 있다. 현재 이 바우처 수용을 등록한 NSW 전역의 학용품 관련 업체는 500개 이상이며, 내년 6월 30일까지 사용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이 업체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NSW 재무부 매트 킨(Matt Kean) 장관은 “이 바우처는 각 가계 재정을 지원할 뿐 아니라 우리 주 스몰 비즈니스에게도 실질적 도움을 주게 된다”고 말했다.

‘Back to School’ 프로그램 바우처는 ‘Service NSW’ 앱이나 전화 또는 각 지역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또한 학부모 등 바우처를 받은 모든 보호자는 주 정부의 ‘Business Finder’ 툴을 이용해 바우처 수용을 등록한 각 지역별 업체들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바우처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Service NSW’ 웹사이트 해당 페이지(www.service.nsw.gov.au/back-to-school-vouchers) 또는 전화(13 77 88)나 각 지역의 ‘Service NSW’ 사무실을 방문하여 문의할 수 있다.

아울러 이 바우처 사용이 가능한 등록 업체에 대해 학부모들은 이의 정보를 담은 온라인 페이지(https://vouchers.service.nsw.gov.au/vouchers/providers-search)에서 검색이 가능하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Back to School 바우처).jpg (File Size:65.6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677 호주 호주 상위 대학들, 교내 성폭력 문화 대응 ‘총력전’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76 호주 “여행객들의 울룰루 바위 등반을 인정해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75 호주 호주 테라스 주택, 1천300만 달러 판매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74 호주 시드니대학 조교, 중국계 학생 ‘돼지’ 비하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73 호주 호주 10대, 2013-14 회계연도 50만 달러 이상 세금 납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72 호주 서부 지역 비즈니스, 교통 혼잡으로 영업 손실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71 호주 올해 연방 총선, 여야 ‘막상막하’ 대결구도 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70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오는 7월 조기선거 추진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69 호주 Top 10 most unusual attractions in shopping malls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1.
4668 호주 부동산 시장 둔화 불구, 이너 시티 주택 ‘경매 대박’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4667 호주 포츠 포인트 ‘주차장 크기’의 유닛, 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4666 호주 호주 여행자들이 선정한 지구촌 ‘최고의 섬 여행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4665 호주 Anzac Day 2016... 호주 전역서 기념행사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4664 호주 “성교육 프로그램 ‘YEAM’ 폐지는 이데올로기적 사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4663 호주 2013년 이후 차량등록 미갱신 적발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4662 호주 시드니, 전 세계 주택가격 상승 최상위 5개 도시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4661 호주 카운슬 합병 관련, 컨설팅 회사의 ‘이상한’ 자문 보고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4660 호주 ‘구인광고’서 드러난, 평균 임금 높은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4659 호주 ‘네거티브 기어링’ 올해 총선 최대 이슈 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4658 호주 Things that only happen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