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드니워터 1).jpg

시드니 수도공사(Sydney Water)가 질 좋은 수돗물 활용으로 가계비용 절감 및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자고 당부했다. 사진 : Sydney Water

 

‘시드니워터’, 호주인의 한 해 생수 구입비용 6억 달러 이상

수돗물 이용시 상당한 비용 절감-수자원 환경 보전에도 기여

 

“알고 계십니까? 시드니 수돗물의 수질은 세계적으로 수준급입니다!”

광역시드니에 식수를 공급하는 ‘시드니수도공사’(Sydney Water. 이하 ‘시드니워터’)가 수돗물 활용으로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을 줄이자고 당부했다.

시드니워터는 각 소수민족 미디어에 보낸 보도자료를 통해 “뜨겁거나 따뜻한, 아니면 차가운 물을 원하시든, 모든 수돗물은 매일 깨끗하게 정수되어 수도꼭지에서 바로 마셔도 안전하다”며 “시드니워터에서 높은 수질의 수돗물을 가정과 업소, 레스토랑 등에 곧바로 공급하므로, 500만에 이르는 시민들은 세계적으로 좋은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 시드니 수돗물은 전 세계에서 엄격하기로 손꼽히는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수질 전문가들이 매일 24시간 모니터링하며 테스트하고 점검하고 있는 것이다.

시드니워터에 따르면 지난해 호주인들은 플라스틱 병에 든 생수 구입에 6억 달러 이상을 지출했다. 그에 비해 수돗물 비용은 1리터에 1센트도 채 되지 않는다.

시드니워터의 고객-전략 담당 마리앤 그레이엄(Maryanne Graham) 국장은 “수돗물은 물맛은 물론 환경과 가계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수돗물을 마시는 것이 가장 비용 효율적으로 수분을 유지하는 방법”이라는 그녀는 “특히 병에 든 생수 구매와 비교하면 리터당 2,000배 이상 절약할 수 있다”면서 “한 해 전체로 보면 상당한 비용 절감”이라고 덧붙였다.

 

종합(시드니워터 2).jpg

시드니워터에 따르면 시드니 전역 수로에서만 연간 100만 톤 이상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제거하고 있다. 사진 : 인스타그램 / sydneywater

 

호주인의 생수 구입이 연간 상당한 비용에 달하지만 식수 이용을 보면 광역시드니 인구의 86%가 수돗물을 활용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생수를 구입해 마시는 비율은 극히 작은 셈이다.

그레이엄 국장은 “수돗물을 이용하는 것이 환경 문제에도 바람직하다”고 강조하면서 “시드니 수돗물은 현지 수원에서 조달되어 포장재나 버려지는 쓰레기가 없으며, 생수보다 탄소 배출량도 더 낮다”고 설명했다.

현재 시드니워터는 광역시드니 전역의 수로에서만 연간 100만 톤이 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제거하고 있다. 이중 대부분이 플라스틱 생수병이다. 그레이엄 국장은 “이 플라스틱이 분해되려면 최대 1,000년이 소요되며, 많은 플라스틱은 재활용되지 않고 매립지나 수로에 버려진다”면서 안타까움을 전했다. “결국 수자원 환경과 해양 생물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시드니워터 1).jpg (File Size:73.2KB/Download:11)
  2. 종합(시드니워터 2).jpg (File Size:126.4KB/Download: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37 호주 전례 없은 ‘주거 위기’ 속, 호주 전역의 빈 주택 수 100만 채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36 호주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인한 한 개인의 ‘잔혹하게 현실적인’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35 호주 올 하반기의 호한경제협력위원회 회의, 핵심은 ‘녹색 에너지’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34 호주 지원 연장된 COVID 병가 보조금, 지급 대상과 신청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33 호주 15년 만의 정신건강 관련 국가 조사, 젊은 여성층에서 ‘가장 위험’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32 호주 재택근무자들, “더 긴 시간 일하고 효율성 떨어지며 체중 증가 경험” 토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31 호주 여행자 수요에 한정됐던 캐러밴, ‘임대 위기’ 상황 해결책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30 호주 COVID-19 감염자 확산... 정부, 재감염 시기 관련 조언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29 호주 인슐린 주사 필요성 없을 수도... 당뇨 환자들에게 ‘희소식 가능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28 호주 Northern Territory 원주민 기대수명 증가했지만... “더 많은 노력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27 호주 NSW 주 기술-훈련부, 100만 명 이상 대상 TAFE 기술교육 제공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26 호주 올해 5월까지 지난 1년 사이, 시드니 전역 주택 17채 가운데 1채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4425 호주 호주 상위기업 CEO들은 어떻게, 얼마나 많은 급여와 보너스를 챙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24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23 호주 2021년도 HSC 시험대상 학생들 부정행위, 이전년도 비해 27%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22 호주 서부호주 항구도시 프리맨틀, ‘World's top 50 travel destinations’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21 호주 6월 호주 실업률 3.5%로 하락... 거의 9만 개 일자리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20 호주 하루 필요한 양의 야채 섭취하는 호주 성인, 10명 가운데 1명도 안 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9 호주 6월 종료된 COVID-19 병가 보조금 지급, 9월 말까지 연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4418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 RAT 키트 무료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