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인지세 법안 1).jpg

NSW 주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주 총리가 재무장관 시절부터 구상했던 인지세 개혁안이 주 의회에서 승인됐다. 이로써 11월 12일부터 부동산을 구입하는 첫 주택구입자는 구입시 한꺼번에 납부하는 인지세(stamp duty) 대신 연간 토지세 납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됐다. 사진 : LJ Hooker

 

최대 150만 달러 부동산 대상... 기존 구입자, 토지세 선택시 납부한 인지세 환급

 

도미닉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NSW 주 정부가 추진하는 인지세 개혁안이 노동당 및 녹색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과반 이상 찬성으로 주 의회를 통과했다.

이로써 10월 12일(토)부터 NSW 주 전역의 천 주택구입자는 부동산 구입시 한꺼번에 납부하는 인지세(stamp duty)를 지불하거나 비용 부담이 적되 매년 납부하는 토지세(land tax)를 선택할 수 있다.

페로테트 주 총리의 인지세 개혁 추진 계획은 지난 6월 공식 발표되었으며, 이후 야당에서는 이에 반대해 왔다. NSW 주 의회 회기를 얼마 남겨두지 않는 지난 11월 10일(목), 주 상원에서의 법안 결정 과정에서 노동당 및 녹색당은 반대했지만 군소 정당인 ‘Shooters, Fishers and Farmers’, 한나라당(One Nation Party) 및 프레드 나일(Fred Nile) 목사의 기독민주당(Christian Democratic Party)이 지지함에 따라 법안이 승인됐다.

새 법에 따르면 11월 12일부터 첫 주택구입자는 인지세를 선불로 납부하거나 매년 토지세(토지세율 400달러에 토지 가치의 0.3%를 더한 금액)로 납부하는 방법의 선택이 가능해졌다.

다만 이 인지세 개혁은 최대 150만 달러의 비용이 소요된 부동산 또는 최대 80만 달러의 빈 토지가 적용 대상이 된다. 아울러 ‘First Home Buyer Choice’라는 이름의 이 계획은 내년 1월 16일까지 시행되지 않으므로 그 이전에 부동산을 구입한 이들이 토지세 옵션을 선택하면 이미 납부한 인지세를 환불받을 수 있다.

이 법안이 승인된 후 ABC 방송이 분석한 내용을 보면, 가령 시드니 서부 퍼스(Perth)에서 150만 달러의 부동산을 구입할 경우 인지세는 약 6만7,000달러인 반면 토지세를 선택하게 되면 매년 약 2,500달러를 내게 된다. 남서부 캠시(Campsie)에서 80만 달러의 아파트를 구입했다면 인지세는 거의 3만4,000달러, 토지세는 연 800달러 선이다.

 

종합(인지세 법안 2).jpg

인지세 개혁 법안의 의회 심사 과정에서 페로테트 주 총리는 크로스벤처에 양보 사항이 있었는지는 밝히지 않았으나 '건설적 논의'가 있었음은 인정했다. 사진은 지난 6월 13일, 미디어 론치에서 개혁 계획을 밝히는 페로테트 주 총리.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NSW 재무부 데이터에 따르면 누군가 100만 달러 주택을 구입하고 토지세를 선택해 납부하다 10년 후 매각하면 그 동안 매년 납부한 토지세는 1만9,881달러(현재 가치 기준)가 되며, 선불로 납부하는 인지세는 4만90달러가 되어 2만209달러를 절약하게 된다.

NSW 재무부 매트 킨(Matt Kean) 장관은 “이렇게 할 경우 주택 구입에 필요한 보증금 저축 시간을 약 2년 정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관은 “우리(정부)는 거주민들의 재정 상황에 가장 적합한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결정하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주 정부는 부동산 잠재 구매자가 본인에게 더 나은 방법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온라인 계산기’를 이미 내놓은 바 있다. 현재까지 정부 사이트에 접속, 이 온라인 계산기를 이용한 이들 가운데는 그랜빌(Granville), 혹스베리(Hawkesbury), 리버스톤(Riverstone), 쿠링가이(Ku-ring gai), 세븐힐(Seven Hills), 파라마타(Paramatta), 쿠지(Coogee) 거주민들이 특히 많았다.

한편 지난 몇 주 동안 노동당과 녹색당은 이 법안을 내년 NSW 주 선거 정책으로 연기해야 한다고 촉구했으며, 또한 토지세에 대해 “주택구입을 어렵게 만드는 ‘영원한 세금’일 뿐”이라고 주장해 왔다.

NSW 노동당의 크리스 민스(Chris Minns) 대표는 이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자 “토지세는 임금이 정체됨에 따라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주택 가치를 기반으로 하기에 구매자들 입장에서는 더 나쁜 세금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스 대표는 “우리(야당)의 우려는 향후 정부가 토지 세율을 인상하리라는 것”이라며 “만약 여러분이 이미 회전목마에 타고 있다면 현 주 총리와 미래의 모든 주 총리가 주거용 주택에 대한 토지 세율을 인상하는 일이 없기를 바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페로테트 주 총리는 반대로 “노동당이 이에 대한 ‘공포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면서 “이번 법안은 연간 토지 세율을 4%로 제한하고 있으며, 또한 이 계획은 사람들이 ‘영원한 주택’이 아닌 ‘처음으로 내집 마련을 하려는 이들’를 돕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올해 의회 회기 안에 이 법안을 통과시키고자 했던 페로테트 주 총리는 이를 위해 크로스벤치와 양보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지만 ‘건설적 논의’가 있었음은 시인했다.

이 계획에 따라 NSW 주 정부 입장에서는 향후 4년간 7억2,860억 달러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노동당은 내년 3월 25일로 예정된 주 선거에서 승리, 정권을 잡을 경우 이 법안을 폐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인지세 법안 1).jpg (File Size:101.0KB/Download:16)
  2. 종합(인지세 법안 2).jpg (File Size:54.5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617 호주 호주에서 최고 수익을 거두는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4616 호주 Top 10 city-based adventure activities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4615 호주 캘러브리안 마피아와 ‘친구 먹은’ 연방 의원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4614 호주 도심 지역 대부분 주택들, 잠정가격 이상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13 호주 호주 광산재벌, 강대국에 ‘노동착취’ 근절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12 호주 직장서 ‘커피 마셨다’ 이유로 해고... “부당하다” 결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11 호주 ‘스타트업 비즈니스’, 비용 높아지고 경쟁도 ‘치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10 호주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최저 임금 2.4% 인상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9 호주 NSW 주 정부의 카운슬 강제 합병, 첫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8 호주 “호주의 미래가 위험하다”... 호주 교사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7 호주 ‘메리톤’ 사 트리거보프 대표, 호주 ‘최고 부자’ 등극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6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5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추진 정책에 시민들 격렬 항의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4 호주 Australia’s strangest road signs...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4603 호주 안젤로 치레카스, 시장 상징하는 ‘로브’ 벗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4602 호주 시드니 지역 폭풍우 불구, 경매 현장 구매자들 ‘북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4601 호주 부동산 구매시 인지세 관련 비용 25% 추가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4600 호주 NSW 주 정부, ‘세수’ 유지 위해 도박문제 ‘쉬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4599 호주 “호주 대학들, 교내 성범죄 처리 원활치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
4598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