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1(2019 변화).jpg

올해 1월1일부터 여성 위생제품에 대한 GST 세금이 사라지며 일부 주(State)에서는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된다.

 

여성 위생용품, 세금 제외... NSW 주, 신생아에 아이용품 지급

에너지 사용 요금 할인 제공, ACT-QLD-멜번 등 대중교통 요금 인상

 

올해부터 탐폰 세금이 없어지고 멜번, 브리즈번, ACT 등 일부 도시의 교통비는 다소 인상된다. 또한 신용카드 사용에도 보다 강화된 규제가 적용된다.

2019년부터 달라지는 항목들을 알아본다.

 

 

▲ ‘굿바이’ 탐폰 세금= 그 동안 10%의 세금이 부과되던 탐폰(tampon. 삽입형 생리대) 세금이 올해 1월1일부터 사라진다. 각 주 및 테러토리 정부는 지난 18년간 지속되어 오던 위생 제품에 대해 GST(Goods and services tax)를 면제하기로 지난해 합의, 올해부터 시행키로 했다.

올해부터 GST가 면제되는 품목은 탐폰 생리대를 비롯해 패드 류, 생리컵(Menstrual cups), 임산부용 패드(Maternity pads), 리크 프루프 속옷(Leak-proof underwear) 등이다.

 

종합 2(tampon tax).jpg

올해 1월1일부터 지난 18년간 지속돼온 여성 위생용품에 대한 10%의 GST 세금이 사라진다. 사진은 여성용 생리대 중 하나인 탐폰(tampon).

 

 

▲ 동부 일부 도시의 교통비 상승= ACT, 퀸즐랜드(Queensland), 멜번 거주자들은 지난해에 비해 더 많은 교통비를 부담해야 한다. ACT의 대중교통 요금은 올해 1월5일부터 최대 2.5% 인상됐다. 편도 요금은 현재 2.40달러에서 2.50달러가 된다. 이는 지난 2년 사이 요금이 오르지 않은 가운데 이 기간의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것이다.

퀸즐랜드 주의 버스 이용자들도 소비자 물가지수에 따라 지난해보다 1.8% 오른 요금을 부담해야 한다. 퀸즐랜드 대중교통 당국인 ‘TransLink’의 매튜 롱랜드(Matthew Longland) 최고 책임자는 대부분 구간에서 6~11센트가 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케언즈(Cairns)의 ‘1 zone’ 편도 요금은 2.30달러이다. 하지만 퀸즐랜드의 다른 도시나 지역에서는 이보다 더 높은 요금이 부과돼 ‘2 zone’의 경우 2.90달러가 된다.

멜번 또한 2.2%가 올랐다. 다만 학생들은 특별 할인카드 대신 학교에 재학 중임을 입증하는 신분증으로 할인 가격을 적용받을 수 있다.

 

종합 3(Transport prices).jpg

올해부터 멜번, 퀸즐랜드 및 ACT 지역 버스나 기차 등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됐다. 사진은 멜번의 ‘Metro train’.

 

 

▲ 신용카드 발급, 까다로워진다= 올해 1월1일부터 호주 증권투자위원회(Australian Securities & Investments Commission. ASIC)의 조치에 따라 신용 제공자는 소비자가 3년 이내 상환할 수 없는 신용한도를 크레딧 카드에 부여해서는 안 된다.

이는 은행에 대한 로얄 커미션(Royal Commission)의 조사 결과 호주의 부채 문제와 크레딧 카드의 잘못된 발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이다.

ASIC는 최근 보고서에서 10개 은행 중 9개 사가 신용카드 결제를 할 수 없는 소비자를 지원하기 위한 사전조치(proactive steps)를 취하기로 동의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일부 대출기관은 또한 신규 구매 시 무이자 기간을 허용하고 소비자의 신용한도 초과 금액을 10%로 제한하게 된다.

 

종합 4(credit card).jpg

올해부터 은행들이 제공하는 신용한도에 제한된다. 이는 호주 소비자들의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조치이다. 사진 : aap

 

 

▲ interest-only loans, 재융자 수월= 신용자산관리국인 ‘Australian Prudential Regulation Authority’(APRA)은 주택담보 대출에 대해 30% 이내로 제한하는 interest-only loan(일정 기간, 융자금에 대해 이자만 부담하는 대출) 규제를 해제하기로 했다.

APRA의 이 같은 결정에 대해 부동산 및 경제 컨설팅 사인 코어로직(CoreLogic)의 캐머론 쿠셔(Cameron Kusher) 연구원은 “거치식 이자 대출 기간이 끝나 원금을 상환해야 하거나 혹은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다른 대출 상품으로 융자를 받는 것이 수월해짐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종합 5(loans to refinance).jpg

주택을 구입하면서 interest-only loan 대출상품을 이용했던 이들이 금융 부담이 줄일 수 있게 됐다. 사진은 NSW 내륙 도시 아미데일(Armidale)의 주택가.

 

 

▲ NAB 은행 고객, 2달러 인출 수수료 부담= 호주 4대 메이저 은행 중 하나인 NAB는 올해 1월1일부터 ‘Cuscal’이 운영하는 ‘rediATM’ 네트워크의 일원이 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는 NAB 고객이 호주 전역의 ‘rediATM’을 사용할 경우 2달러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NAB는 커먼웰스(Commonwealth), 웨스트팩(Westpac), ANZ 등 ‘Big 4’ 은행이 속한 무료 수수료 ATM 기기를 이용할 것을 고객들에게 권고했다.

 

종합 6(NAB).jpg

올해부터 ‘rediATM’ 기기를 이용해 예금액을 인출하는 고객들은 2달러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

 

 

▲ 전기료 할인= NSW, ACT, 퀸즐랜드, 남부 호주(South Australia) 주의 경우 연체된 컨세션 카드 소지자 또는 비할인 카드 소유자는 1월1일부터 자동적으로 전기로 할인을 받는 된다.

‘Origin Energy’ 사는 NSW를 비롯한 3개 주 및 테러토리에서 스탠딩 오퍼(standing offers) 또는 비할인 플랜에 대해 자동적으로 10%의 전기료 할인을 제공하며 ‘EnergyAustralia’는 해당 컨세션 카드 소지자에게 자동으로 15% 할인을 적용한다.

‘EnergyAustralia’는 또한 올해부터 빅토리아(Victoria), NSW, 남부 호주(SA), ACT에서 균일한 전기료를 적용하며, 퀸즐랜드 전기 사용자에게 가격 인하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수만 가구에 이르는 빅토리아 주 고객들은 거대 에너지 회사인 EnergyAustralia, Origin, AGL로부터 새로운 전력 리베이트를 받을 수 있다. 수백 달러의 가치가 있는 리베이트는 스탠딩 오퍼 또는 ‘expired market’ 오퍼 고객에게 제공된다.

 

종합 7(Power price).jpg

거대 에너지 회사인 EnergyAustralia, Origin, AGL이 NSW 주를 비롯해 빅토리아, ACT, 퀸즐랜드 고객에게 전기 및 가스 사용요금 할인을 제공한다.

 

 

▲ 빅토리아 주, 일부 TAFE 코스 무료 시행= 빅토리아(Victoria) 주 거주자들에게 좋은 소식은, 기술교육-직업훈련 기관인 TAFE의 30개 과정 및 18개 사전 전공과정(pre-apprenticeship) 비용을 주 정부가 제공한다는 것이다.

다만 이는 호주 또는 뉴질랜드 시민으로, 20세 미만, 비기술자이며 직업을 갖지 않은 이들 또는 직업을 바꾸려는 이들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주 정부가 부담하는 TAFE의 우선순위 코스는 회계(Accounting), 고령자 지원(Ageing Support), 농업, 치과 보조, 커뮤니티 서비스, 간호, 용접 코스이다.

 

 

▲ NSW 주 부모들, ‘베이비 번들’ 받는다= 지난해 6월, NSW 주 정부는 아이를 출산한 부모가 병원에서 퇴원할 때 육아 용품을 모은 ‘베이비 번들’(baby bundle) 제공을 위해 760만 달러를 배정했다고 밝혔다. 이 ‘베이비 번들’의 소매 가치는 약 300달러이다.

‘베이비 번들’에는 침낭, 다용도 매트, 면직물 랩(muslin wrap), 욕조 및 실내 온도계, 신생아용 칫솔, 가슴 패드, 비상약품 상자, 교육용 그림책, 유아용 면포, 아이용 물티슈, 손 소독액, 피부보호 크림(Barrier cream)이 들어 있다.

뿐 아니라 학령기 자녀들의 예술 강좌, 댄스, 드라마 수업을 위해 자녀 1명당 100달러의 보조금이 지급된다. 주 정부는 이미 지난해 스포츠 활동을 위해 자녀 1명당 100달러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주 정부는 3살 이상 자녀들이 주 2일간 유치원에 갈 수 있도록 보조금을 지급한다. 지난해까지 이 보조금은 킨더가튼에 입학하기 전 한 해 동안만 제공됐다. 또 교사, 간호사, 경찰을 포함한 NSW 주 공무원들은 매년 10일 간의 유급의 가정폭력 병가를 가질 수 있게 됐다. 이로써 NSW 공무원의 복지는 민간 기업과 같아졌다.

 

종합 8(baby bundles).jpg

올해부터 NSW 주 정부는 신생아 부모들에게 다양한 육아 용품이 들어 있는 ‘베이비 번들’(baby bundle. 사진)을 지급한다. 또 3살의 자녀들이 일주일에 2일간 유치원에 갈 수 있도록 보조금을 제공한다.

 

 

▲ 서부 호주(WA) 주, 백신 접종 의무화= 올해 1월1일부터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주에서는 ‘no jab, no play’(보육원이나 학교에 백신 접종 없는 아이들을 제외하도록 허용하거나 요구하는 정부 정책)에 따라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 킨더가튼(kindergarten)에 갈 수 없다.

이러한 새 규정은 킨더가든이나 초등학교, 차일드케어 센터가 아이들의 예방접종 상태를 확인하고 보고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 보건부의 이 같은 규정에 따라, 만약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어린이의 입학을 허용하는 경우 학교장에게는 1천 달러의 벌금이 부과된다.

 

종합 9(Unvaccinated).jpg

올해 1월1일부터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 주에서는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아린이의 경우 차일드케어 센터, 킨더가든, 초등학교에 갈 수 없는 규정이 시행된다.

 

 

▲ 남부 호주, 위탁 아동 지원기간 확대= 남부 호주(South Australia) 주에서는 올해부터 위탁 아동에 대한 지원을 21세까지로 확대한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위탁 아동은 만 18세까지만 주 정부 지원을 받았다.

또한 ‘페이롤 세금’(payroll tax. 고용자 임금에 대해 과세되는 지불급여세) 대상 기업으로, 연 수익 150만 달러 미만인 경우에는 이 세금이 면제된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 1(2019 변화).jpg (File Size:103.5KB/Download:5)
  2. 종합 2(tampon tax).jpg (File Size:56.3KB/Download:9)
  3. 종합 3(Transport prices).jpg (File Size:58.6KB/Download:7)
  4. 종합 4(credit card).jpg (File Size:48.4KB/Download:7)
  5. 종합 5(loans to refinance).jpg (File Size:93.5KB/Download:11)
  6. 종합 6(NAB).jpg (File Size:41.7KB/Download:6)
  7. 종합 7(Power price).jpg (File Size:71.0KB/Download:8)
  8. 종합 8(baby bundles).jpg (File Size:95.2KB/Download:7)
  9. 종합 9(Unvaccinated).jpg (File Size:48.9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654 호주 뮌헨의 유명 축제 ‘Oktoberfest’를 시드니에서 즐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0.03.
4653 호주 Vanpooling 공유 차량, 출퇴근길 ‘악몽’ 풀어줄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10.03.
4652 호주 시드니 주택 시장, 회복세 따라 부동산 가격 상승세 file 호주한국신문 19.10.03.
465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매물 부족 여전, 예비 구매자들 ‘입찰 경쟁’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9.10.03.
4650 호주 트럼프-모리슨, 미·호 정상 13년만의 국빈만찬 톱뉴스 19.10.01.
4649 호주 호주 등 전 세계 수백만 학생들 기후변화대응 촉구 톱뉴스 19.10.01.
4648 호주 NSW주, 비상차량 통과 시속 위반 차량 과태료 인상 톱뉴스 19.10.01.
4647 호주 이민자 신원조회 강화법안 연방하원 통과 톱뉴스 19.10.01.
4646 호주 호주·한국 정상회담, 국방·방산·자원개발 협력 강화 합의 톱뉴스 19.10.01.
4645 호주 호주, 해외 유학 산업 ‘장악’…전 세계 유학생 10% 호주로 톱뉴스 19.10.01.
4644 호주 NSW 낙태 허용법 마침내 통과…119년만에 형사 처벌 제외 톱뉴스 19.10.01.
4643 호주 뉴질랜드 야생에서의 5개월, 그것이 40대 여성에게 준 것은...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4642 호주 연방 예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균형’ 인접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4641 호주 8월 호주 실업률, 5.3%로 높아져... 12개월 만에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4640 호주 호주 로또 사상 최고 잭폿 터졌다! 1억5천 만 달러 돈벼락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4639 호주 현대자동차 호주 법인, ‘유트’ 차량으로 호주 시장 확대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4638 호주 ‘Upsizing’ 원한다... 수요 많으나 공급은 크게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4637 호주 호주 여행 중국인들, “휴가 및 주거용 부동산 구매 계획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4636 호주 시드니 14개 ‘통계 구역’ 중 5개 지역, 2001년 이후 인구 50%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463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부족한 매물에 예비 구매자들, 끈질긴 입찰 경쟁 file 호주한국신문 19.09.26.
4634 호주 호주한인총연합회, 차세대 한인들 정계진출 욕망 일깨워 톱뉴스 19.09.24.
4633 호주 시드니서 '한글사랑 도서관' 10주년 후원 음악회 개최 톱뉴스 19.09.24.
4632 호주 시드니 다문화 지원팀 구성…의료 정보 제공 톱뉴스 19.09.24.
4631 호주 홍경일 변호사, 가장 영향력 있는 아시아계 호주인 40인에 선정 톱뉴스 19.09.24.
4630 호주 태권도·사물놀이 등 한국 전통 공연에 '리틀 코리아' 분위기 '후끈' 톱뉴스 19.09.24.
4629 호주 NSW 주 공립학교, 지난해 ‘정학’ 징계 학생 수 3만2천 명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4628 호주 “지나친 ‘중국’ 논쟁, 호주 백호주의 사고 자극할 수도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4627 호주 전 세계 안전한 도시‘... 시드니는 5위, 멜번은 10위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4626 호주 시드니 주부들 ‘보톡스-명품’ 때문에 매춘에 나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4625 호주 “환자 10명 중 1명이 병원서 감염”... Hospitals make us sicker!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4624 호주 Spring festival & events in Bluemountain 2019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4623 호주 NSW 주 ‘바이런 베이’, 2014년 이래 집값 117% ‘껑충’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462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봄 시즌, 주택시장 활기... 매물은 크게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4621 호주 NSW 낙태 허용법 결사 반대 의원 3인 ‘당권 표결 발의’ 계획 백지화 톱뉴스 19.09.17.
4620 호주 호주의 첫 중국계 여성 연방의원 글래디스 리우 ‘구설수’ 확산 톱뉴스 19.09.17.
4619 호주 복지수당 수급자 약물 테스트 법안 재상정 ‘가시화’ 톱뉴스 19.09.17.
4618 호주 시드니 시내 일대 유흥업소 심야영업제한조치 폐지될 듯 톱뉴스 19.09.17.
4617 호주 연방정부, 기술이민대상 직업군 재분류…내년 3월 갱신 예정 톱뉴스 19.09.17.
4616 호주 NSW 베레지클리안 정부, “시드니 야간 경제 살려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4615 호주 “정치 비용 지나치다”... 일부 의원들, 선거비 수백 만 달러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4614 호주 ‘한 주’의 시작... 일요일? 아니면 월요일을 기준으로 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4613 호주 아시아 ‘큰손’들 경기 침체로 울상 짓는 ‘The Star’ 카지노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4612 호주 지난 달 자동차 판매 순위... ‘Hyundai i30’, 2813대로 네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4611 호주 늘어난 중국 유학생들, 호주 ‘정치 요람’을 지배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4610 호주 8월 시드니-멜번 주택 가격 상승, 부동산 시장 성장 이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4609 호주 비싸게 팔리는 퀸즐랜드 휴양지 아파트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460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봄 시즌 9월 첫 주말 경매, 81.9%의 높은 낙찰률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2.
4607 호주 호주, 대북제재 감시용 해상 초계기 일본 근해 배치 톱뉴스 19.09.10.
4606 호주 시드니 노숙자 증가…비상 숙소 ‘포화’ 톱뉴스 19.09.10.
4605 호주 호주 44년만의 첫 경상흑자 기록…2분기에 $59억 흑자 톱뉴스 1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