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금서 1).jpg

일반적으로 ‘금서’는 기존의 정치, 안보, 규범, 사상, 신앙, 풍속 등의 저해를 이유로, 국가 차원에서 법률이나 명령에 의해 간행-발매-소유-열람을 금지한 서적을 말한다. 호주 또한 ‘외설-불경-선동적 내용’ 등 세 가지 도덕적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 유지해 왔다.

 

‘외설-불경-선동적 내용’ 등 세 가지 도덕적 기준 유지

인터넷 기반의 오픈 정보시대, 디지털 콘텐츠 검열 갈수록 어려워

 

호주 어린이 도서협회(CBCA - The Children's book Council of Australia)에서는 1945년부터 연례행사로 매년 1주일을 도서주간(CBCA Book Week)으로 정하고 호주 전역의 초중고 학교들과 도서관들에서 협회가 선정한 호주 도서들과 작가들, 삽화가들에 대한 홍보와 행사들을 벌이면서 청소년들에게 독서를 장려한다. 지난 8월17~23일 동안 치러진 올해 도서주간의 주제는 ‘책은 우리의 삶을 밝혀준다’(Books light up our lives)였다. 올해 독서주간 마지막 날인 지난주 8월23일 ABC 방송에서 호주의 도서 검열과 금지 정책을 집중적으로 다뤄 눈길을 끌었다.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무라카미 류), <어머니>(막심 고리키), <노동계급의 민족이론>, <반제반파쇼운동론>, <한국사회구성체논쟁>, <다시 쓰는 한국현대사>(박세길), <신식민지국가 독점자본주의 논쟁>, <마르크스주의란 무엇인가>, <마르크스, 엥겔스의 문학예술론>, <철학의 기초>(블라소바),    <사회구성체 비판과 사회과학방법론>(이진경)...

한국에서 1970/80년대 단골 서점 주인에게 은밀히 부탁하거나 ‘운동권’에 있었던 이들이라면 선배들의 ‘명령’으로 정독하고 토론을 펼쳤던 기억을 떠올릴 것이다. 이 서적들은 한국 군부정권 당시 대표적인 ‘금서’ 목록에 올랐던 일부 제목일 뿐이다.

 

일반적으로 금서는 기존의 정치, 안보, 규범, 사상, 신앙, 풍속 등의 저해를 이유로, 정부 당국의 법률이나 명령에 의해 간행-발매-소유-열람을 금지한 서적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금서는 오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다. 이미 중세 시기인 1559년 교황 파울루스 4세가 금서목록을 펴낸 바 있다. 바티칸공의회 이후 1966년에 폐지될 때까지 42회나 개정, 증보된 이 목록에 수록된 책은 모두 4,126권이나 되었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루소의 <사회계약설>, 베르그송의 <창조적 진화>, 플로베르의 <보봐리 부인>을 포함해 데카르트, 홉스, 흄, 로크, 밀, 몽테뉴, 몽테스키외 등 서양 철학과 문화계를 대표하는 지성들의 저술이 포함돼 있었다.

 

한국에서도 조선왕조 시대에 이미 금서가 있었다. 태종, 세조, 성종 등은 혹세무민하는 도참서와 음양서를 압수하도록 지시하였고 양명학, 노장사상, 불교 관련 서적들을 포함, 조선 후기 들어서는 서학(천주교)에 대한 책들도 금서로 지정했다. 연산군은 자신을 비난하는 투서가 한글(언문)로 쓰여졌다는 이유로 한글로 된 책들을 모조리 금서로 지정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서 가장 유명한 금서는 아마 <정감록>일 터이다.

 

유신 정권의 박정희와 전두환-노태우로 이어진 군부 독재 당시는 금서와 관련해서 웃지 못할 일들이 많았다. 80년대 중반 김포공항에서 벌어진 에피소드가 대표적 사례이다. 외국 학술대회에 참석한 한 교수가 원서 몇 권을 들고 돌아왔는데, 거기에는 <프로테스탄트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쓴 막스 베버(Max Weber)의 저서도 있었다. 공항 세관원은 ‘막스’의 책은 금서이므로 압수하겠다고 했다. 교수는 “이 책은 ‘그 막스(Karl Marx)’가 아니라 다른 막스”라고 설명했으나 세관원은 요지부동이었다. “어쨌든 막스는 안 된다”는 이유였다.

학생운동이 활발하던 당시 군부 정권은 금서를 단속하고 학생운동 인사를 잡기 위해서 각 대학 교문 앞에 경찰을 배치했다. 진을 치고 있던 경찰들은 의심 가는 학생을 붙잡고 가방을 뒤지기도 했다. 이때 나온 에피소드도 유사했다. 막스 베버의 저서를 보고 “이거 막스(칼 막스) 책이잖아? 너 빨갱이지?”라며 경찰서로 연행했다는 이야기는 널리 알려진 ‘도시전설’ 중 하나이다.

당시 한국의 금서 목록에 대한 흔한 농담 중 하나로, 정권에 의해 ‘금서’로 지정된 책의 저자는 맨부커-공쿠르-세르반테스-퓰리처-횔덜린-노벨문학상에 버금가는 영예라는 자조적인 말도 있었다.

 

종합(금서 2).jpg

아일랜드 출신의 세계적 작가인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가 고향인 수도 더블린을 소재로 한 ‘더블린 사람들’은 그곳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그린 15편의 단편소설을 담은 책이지만 신성을 모독한다는 이유로 호주에서 금서 목록에 오르기도 했다.

 

호주, 도서유통 제한에

엄격한 도덕적 기준 적용

 

국가 차원에서 금지된 서적 목록을 작성해 특정 서적의 유통 열람을 막았던 것은 호주 또한 예외가 아니다. 호주는 상대적으로 짧은 국가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두드러진 이념 논쟁이 덜했고, ‘금서’를 정하는 기준도 한국의 군부 독재 시절과 크게 달랐지만 도덕적 기준은 상당히 엄격해 의외로 많은 도서들이 판매 금지 목록에 올랐다.

호주의 문학 연구자들은 20세기 서구 국가들 가운데 호주가 도서 검열에서 가장 엄격한 도덕적 잣대를 적용했다는 것에 동의하는 편이다.

성적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거나, 쾌락을 추구하는 도서의 경우, 호주 도서 검열법에 따라 음란도서로 간주돼 호주 세관을 통과할 수 없었다.

D.H 로렌스의 <채털리 부인의 사랑>(1928), 재키 콜린스(Jackie Collins)의 <The Stud>(1969), 브렛 이스턴 엘리스(Bret Easton Ellis)의 <American Psycho>(1991)는 한때 호주에서 금지된 도서들이었으며, 이외에도 수백 권의 도서들이 ‘금지목록’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보편화에 따른 정보 개방시대를 살아가는 요즈음, 도서자료를 검열하는 당국의 방침은 구식처럼 보이거나 혹은 방침이 없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과연 특정 도서의 ‘금지’는 여전히 시행되고 있는 것일까? 그렇다면 그것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질까?

지난 8월17일부터 23일까지는 호주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독서를 권장하는 이른바 ‘Book Week’였다. 독서주간 마지막 날인 지난 주 금요일(23일) ABC 방송은 NSW대학교 문학연구원인 니콜 무어(Nicole Moore) 교수를 통해 호주의 도서 검열과 금지 정책을 집중적으로 다뤄 눈길을 끌었다.

무어 교수에 따르면 호주 세관(Australian Customs)은 이제까지 사회보호 명목으로 호주로 반입되는 도서들을 검열해왔는데, 이는 국가 질서를 위협하는 세 가지 법적 기준인 외설과 신성모독(불경), 선동적 내용으로부터 일반 시민들을 보호하고 도덕적 기준을 유지한다는 취지였다.

 

종합(금서 3).jpg

성적 음란성을 이유로 금서가 됐던 블라디미르 노바코프(Vladimir Nabokov)의 소설 <로리타>(Lolita). 로리타는 성적 매력이 있는 사춘기의 소녀라는 뜻하며, 이 작품은 중년 남성이 어린 소녀의 섹시한 매력에 이끌리게 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종합(금서 5).jpg

데이빗 그린후드(David Greenhood)의 <Love in Dishevelment>는 지나치게 음탕한 내용이 들어 있다는 이유로 1920년부터 80년까지 ‘금지’ 목록에 있었던 소설이다.

 

“deeply and extremely disgusting...”

 

1991년 출간된 이스턴 엘리스의 <American Psycho>는 뉴욕의 잘나가는 한 ‘여피’가 벌이는 잔인하고 엽기적인 살인행각이 소재이다. ‘사이코’라는 제목이 암시하듯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 과장된 남성성의 뒤틀린 단면을 그려낸 소설로서 영화로도 제작됐다.

출간 이후 이 작품은 영국 시인이자 소설가, 맨부커상 심사위원장을 역임한 앤드류 모션(Andrew Motion)으로부터 “deeply and extremely disgusting”이라는 혹평을 받은 바 있다.

심각한 정신분열증을 보여주는 주인공의 끔찍한 살인행각을 묘사한 이 작품은 호주 도서검열법에 따라 불경, 외설, 음란 내용에 해당된다 하여 ‘R18 등급’(R18 classification - ‘Australian Classification Board’의 도서 및 영화관람 기준)으로 분류됐다. 지금까지도 이 작품은 서점에서 구매하거나 온라인으로 주문하면 제목이 보이지 않도록 포장되어 고객에게 전해진다.

무어 교수는 “1933년 도서검열위원회(Book Censorship Board)가 설립되어 호주 세관의 힘이 줄어들었지만 도서금지 기준은 여전히 엄격하게 적용되어 왔으며 금지된 도서를 소지한 이들은 범죄자로 기소될 수도 있었다”며, 이어 “외설적 내용을 담은 도서들이 몰래 들어옴에 따라 반입금지에 그치지 않고 경찰, 수사요원, 우편규제, 민-형사 기소까지 강하게 통제됐다. 금지도서 목록이 미디어에 명시되는 것 또한 일상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인터넷 환경 속에서도

도서 검열 및 통제 여전

 

호주는 여전히 정부가 정한 기준을 위배하는 도서에 대해 제한을 두고 있다. 무어 교수는 “하지만 오늘날 도서금지가 현대적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매우 혼란스럽고 어려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호주의 독서 대중에게 전달되는 특정 도서에 대한 제한과 통제 의무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인터넷을 규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는 것이다. 오늘날, 이전에 검열을 받았던 도서나 디지털 콘텐츠를 모니터링 하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하지만 호주는 관련법에 따라 여전히 특정 도서를 ‘금지’ 또는 특정 연령 이상으로 유통 및 판매를 ‘제한’시킬 수 있으며, 이런 도서들은 계속 나오고 있다. “영화 및 도서분류위원회(Film and Literature Classification Board)가 관리하는 규정에 따라 도서를 포함한 모든 출판물들이 통제받고 있다”는 것이 무어 교수의 설명이다.

 

종합(금서 4).jpg

시드니 남부, 사우스코스트 지역(South Coast region)의 공공도서관인 나우라(Nowra) 소재 숄헤이븐 도서관(Shoalhaven Library. 사진)은 올해 ‘Book Week’를 기해 한때 금서가 됐던 도서들을 진열, 소개하는 이벤트를 열었다.

 

<배트맨>도 ‘금지’ 목록에 있었다

 

시드니 남부, 사우스코스트 지역(South Coast region)의 공공도서관인 나우라(Nowra) 소재 숄헤이븐 도서관(Shoalhaven Library)은 올해 ‘도서주간’을 기해 흥미 있는 이벤트를 만들었다. 이전에 ‘금지 도서’로 분류된 바 있던 40권의 책들을 같은 색깔의 포장지에 가린 채 특정 공간에 진열해 놓은 것이다.

이 아이디어는 도서관 이용자들로 구성된 북클럽이 제안한 것으로, 도서관의 자료들 가운데 금서로 지정된 바 있었던 도서를 선택하여 읽은 뒤 북클럽 모임에서 독서토론을 가지자는 것이며 또한 많은 이들에게 이런 도서들을 읽어보도록 권장하기 위한 취지이었다.

진열된 도서는 오늘날의 도덕적 기준에 비추어 신성모독, 음란, 불경스런 내용이 덜한 책들로 선정됐다. 도서대출자들은 책들이 같은 색깔의 포장지에 가려져 있기에 안에 어떤 책이 있는지 모르게 돼 있는데, 숄헤이븐 공공도서관 도서관리 매니저인 젬마 럭스포드(Gemma Luxford)씨는 “기본적으로 이 아이디어는 전 세계 어딘가에서, 언젠가 한 차례 이상 ‘금지도서’ 목록에 올라갔던 도서를 읽어보도록 권장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번에 포장, 진열해 놓은 책들 중에는 <Frankenstein>, <Brave New World>, <The Dubliners>, <Lolita>가 있으며, 한때 영국에서 금지 목록에 올랐던 <Batman>도 있다”고 밝혔다.

이 이벤트에 대해 무어 교수는 “이전에 검열된 바 있던 도서자료를 전시하는 것이 독서 증진에 도움이 된다면, 이는 좋은 방법”이라는 의견이다. “우리(호주)는 투명한 규제 시스템을 갖고 있다”는 무어 교수는 “독자들이 이런 책들을 읽어봄으로써 ‘금지’시킨 이유를 이해하게 되고 또 그런 결정이 과연 합리적인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올해 호주 어린이 도서협회(The Children's book Council of Australia)에서 정한 장려도서들의 목록(CBCA 2019 Short List)은 동 협회 웹사이트에서 검색할 수 있다. https://cbca.org.au/shortlist-2019)

 

역사를 통해 본 도서 검열 기준

-음란물 및 성적 대화(sexual dialogue)

-동성애

-폭력

-마법(사악한 목적의)

-불경스러운 대화

-안락사

-산아 제한(Birth control)

-낙태

-정치적 편향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금서 1).jpg (File Size:56.8KB/Download:18)
  2. 종합(금서 2).jpg (File Size:42.2KB/Download:17)
  3. 종합(금서 3).jpg (File Size:47.3KB/Download:21)
  4. 종합(금서 4).jpg (File Size:54.6KB/Download:17)
  5. 종합(금서 5).jpg (File Size:42.7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56 호주 사라 핸슨-영, ‘막말’ 파동 레이욘헬름 전 상원의원 상대 명예훼손 승소 톱뉴스 19.11.26.
4755 호주 ‘Get our priorities right’... 시드니 새해맞이 불꽃놀이 취소 청원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54 호주 “2020년 시드니-멜번 주택 가격, 두 자릿수 성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53 호주 “부동산 시장 회복 탄력 받았다”... 주택 가격 크게 반등해 가는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52 호주 호주 정부, 인공지능(AI) 가이드라인 만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51 호주 호주 최고 디자인의 레스토랑-카페-바-호텔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50 호주 ‘Drive’ 사, ‘Electric Vehicle of the Year’에 ‘Model 3’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49 호주 주택 임대보다 구입이 저렴한 전국 각 도시별 지역 수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48 호주 운이 좋으면 숨어있던 금화가 나타나 “날 좀 보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4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Dolly Doctor’의 그레이즈빌 소재 코티지, 169만 달러에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46 호주 제40차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시드니서 개최…‘쌍무적 관계의 새로운 도표’ 톱뉴스 19.11.19.
4745 호주 [종합] NSW주 ‘산불 비상 사태’…정치권은 기후변화 ‘설전’ 톱뉴스 19.11.19.
4744 호주 “호주 예비역 자살률 왜 높을까” 톱뉴스 19.11.19.
4743 호주 탈레반 포로-피납 호주인 교환 난항…"아프간 평화 촉진 차질" 톱뉴스 19.11.19.
4742 호주 “산불사태 원인은 동성결혼과 낙태 허용 때문” 톱뉴스 19.11.19.
4741 호주 막내린 2019 HSC 시험... "모두들 휴식을 즐기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40 호주 NSW 정부, 이스라엘과 '물길' 잇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9 호주 호주대학들 내 중국 학생단체, 중국 정부 공관과 연계 의혹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8 호주 마틴 플레이스 트리 점등으로 2019 크리스마스 시즌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7 호주 ‘흡연의 위험’ 관한 잘못된 인식, 바로잡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채스우드의 204만 달러 세미하우스 낙찰 받은 구매자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5 호주 호주 AAP 편집국장 "언론 위기 극복의 정답은 팩트체크 강화” 톱뉴스 19.11.12.
4734 호주 NSW•QLD 내륙 산불, 3명 사망에 주민 6천여 명 대피 톱뉴스 19.11.12.
4733 호주 NSW주 ‘산불 비상 사태’…정치권은 기후변화 ‘설전’ 톱뉴스 19.11.12.
4732 호주 소방당국, ‘산불 재앙 경보’ 시드니 광역권 안전수칙 발표 톱뉴스 19.11.12.
4731 호주 호주 역대 최고가 마천루 펜트하우스 탄생…부동산 업계 ‘술렁’ 톱뉴스 19.11.07.
4730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필요시 추가 완화" 톱뉴스 19.11.07.
4729 호주 159회 멜버른컵 주인공: ‘보우 앤드 디클레어’와 기수 크레이그 윌리엄스 톱뉴스 19.11.07.
4728 호주 노인 복지 강국 호주에서 벌어지는 충격적 ‘노인 홀대’ 톱뉴스 19.11.07.
4727 호주 울룰루 등반 금지, 다른 ‘원주민 성역’으로 확대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6 호주 휴가시즌 앞두고 센트럴코스트 테리갈 비치, 수질 악화 ‘비상’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5 호주 ‘기네스’ 세계 기록 화제- 캐러밴이 만든 9.5km의 ‘모터홈’ 라인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4 호주 호주 젊은이들 3명 중 1명, “외롭지만 친구 사귀기 힘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3 호주 현대자동차 ‘코나’, ‘Drive’ 사의 ‘Small SUV of the Year’에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2 호주 부동산 투자 유형 분석... 3분의 2가 실수하는 것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1 호주 공급과잉-수요약화 우려 불구, 시드니 아파트 가격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공급 부족으로 특정 매물 경매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19 호주 NSW 주 한 해 포커머신 수익, 남태평양 국가 GDP에 버금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8 호주 콴타스, 뉴욕에서 시드니까지 19시간 ‘논스톱’ 시험 비행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7 호주 울룰루 바위 등반, 영구적 금지 시행... 10월 26일부터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6 호주 호주 최악의 연쇄살인마 아이반 밀랏, 일요일(27일) 감옥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5 호주 올 상반기 전 세계 관광산업, 중동 및 아시아 국가들이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지난해 유찰됐던 타운하우스, 잠정가 보다 17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3 호주 2019 HSC 확 바뀐 영어 시험...엇갈린 반응 톱뉴스 19.10.30.
4712 호주 ‘호주의 심장부’ 울루루 등반 '영구적' 금지...지역 토착 원주민들 '환호' 톱뉴스 19.10.30.
4711 호주 호주 젯스타·제주항공, 12월 인천∼골드코스트 취항…’파격적 항공료’ 톱뉴스 19.10.30.
4710 호주 과격 시위에 시름하는 QLD주…시위 규제 강화 톱뉴스 19.10.30.
4709 호주 호주 최악의 연쇄 살인마 아이반 밀랏의 최후의 몇 마디... 톱뉴스 19.10.30.
4708 호주 NSW주 디지털 운전 면허증 발급 착수…스마트폰 신분증 시대 도래 톱뉴스 19.10.30.
4707 호주 전문가들, “호주인 혈액암 발병 및 사망률, 과소평가” 지적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