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인구).jpg

사회-경제-환경 정책 컨설팅 사인 ‘SGS Economics and Planning’이 호주 통계청(ABS) 인구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광역시드니 14개 통계구역 가운데 5개 지역은 지난 20년 사이 인구가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아침 출근 시간대의 한 기차역.

 

‘SGS Economics and Planning’ 분석... 파라마타 거주지, 14만 명 이상 늘어나

 

시드니의 도시 혼잡 및 주택 가격 상승 문제의 근본 원인인 인구 증가율을 도시 인프라가 그만큼 따라주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 20년 사이 광역시드니 14개 인구통계 구역 중 5개 지역이 증가된 인구의 50% 이상을 흡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라마타(Parramatta)의 경우 지난 2001년에서 2018년 사이 증가한 인구는 14만6천 명으로, 이 같은 증가율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높으며, 남부 서덜랜드 지역(Sutherland district) 인구 증가의 8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시드니 시티와 그린 스퀘어(Green Square- 시드니 남부 Alexandria, Zetland, Waterloo, Roseberry, Beaconsfield 등을 포함하는 지역), 시드니 공항 등을 포함하는 시티 및 이너 사우스(city and inner south)는 같은 기간 13만8천 명이 증가, 두 번째로 높은 인구 증가를 보였으며, 허스트빌(Hurstville)과 캔터베리-뱅스타운(Canterbury-Bankstown)을 포함하는 이너 사우스-웨스트(inner south-west)가 12만3천 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율이 낮은 곳은 남부 서덜랜드(Sutherland. 1만7천 명), outer-west 및 Blue Mountains(3만7천 명), 노던 비치(northern beaches. 4만1천 명)였다.

광역시드니의 지역별 인구 변화는 사회-경제-환경 정책 컨설팅 사인 ‘SGS Economics and Planning’에서 9월초에 내놓은 것으로, SGS의 경제학자 테리 론슬리(Terry Rawnsley) 연구원은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구분한 광역시드니 주요 14개 통계구역 자료를 기반으로 각 지역별 인구 변화를 분석했다.

 

SGS의 이번 결과는 14개 통계구역의 인구 분포가 2001년에 비해 훨씬 고르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론슬리 연구원은 인구 증가의 불균형한 분포에 대해 “교통 등 기본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지역이 다른 지역에 배당되어야 할 인구를 흡수한 때문”이라며 “각 지역별 성장 패턴이 고르게 나타날 때, 보다 나은 도시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드니 일부 지역은 인구 증가율이 매우 높은 반면 크게 낮은 지역도 있다”며 “이는 도시 전체의 균형 발전 측면에서 결코 좋은 결과가 아니다”고 밝혔다.

 

2018년 현재, 시드니 인구통계 구역에서 가장 많은 수가 거주하는 지역은 inner south-west로 62만 명이며 파라마타가 49만3천 명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통계 구역 가운데 인구가 적은 지역은 라이드(20만 명)와 서덜랜드(22만9천 명)로 조사됐다.

 

간호사로 일하는 에린 코긴스(Erin Coggins)씨에게 있어 파라마타의 문화적 다양성은 그녀가 이 지역을 거주지로 선택한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코긴스씨는 파라마타 공원(North Parramatta) 맞은편에 살고 있으며 남편 앤드류(Andrew)씨와 함께 웨스트미트 병원(Westmead Hospital)에서 일하고 있다.

코긴스씨는 “파라마타의 다문화 환경을 좋아한다”며 “시드니 동부나 다른 지역에 가면 흥미로운 다양성을 느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아이들은 차일드케어(Child Care) 센터에서 여러 친구들과 어울리는데, 이들 중에는 인도와 중국 등 여러 나라 출신 아이들이 있다”면서 “다른 문화 배경에 대해 편견이 없고 차이를 생각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코긴스씨는 그러나 파라마타가 날로 발전하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지나치게 높은 인구 증가는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종합(인구2).jpg

 

시드니의 인구 정책,

주요 정치적 과제로 부상

 

지난 2001년에서 2018년 사이, 광역시드니 인구는 113만 명이 증가했다. 이 가운데 파라마타와 도심 및 이너사우스(city and inner south), 이너 사우스-웨스트(inner south-west), 사우스-웨스트(south-west), 블랙타운(Blacktown) 등 5개 통계 구역에서 늘어난 인구는 61만7천 명으로, 전체 증가율의 55%에 달한다. 공식 인구 추정에 따르면 광역시드니 인구는 2016년 중반 500만 명을 돌파했으며 현재는 520만 명에 이른다.

 

광역시드니 인구는 특히 지난 5년 사이 크게 성장했으며, 2016-17년 증가 비율은 2.1%로 가장 높았다. 인구 증가에 따른 혼잡과 무분별한 도시 개발에 대한 거주민의 우려가 커지면서 이 문제는 이제 정치적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NSW 주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는 NSW 주로 유입되는 해외 이민자 수용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언급하면서 “이 도시(시드니)는 이제 숨을 쉴 필요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NSW 주 ‘인프라-교통-지방경제 통계국’(Bureau of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Regional Economics) 자료에 따르면 광역시드니 거주민들의 출퇴근 시간은 2006년에서 2016년 사이 8%가 늘어나 평균 38분에 달한다.

 

해외 유입 이민자,

최다 출신 국가는...

 

호주 통계청 ABS가 매 5년마다 시행하는 가장 최근의 2016년 센서스에 따르면 인구 성장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파라타마는 호주 태생의 거주민 비율이 44%로, 광역시드니 전체 지역(ABS의 인구통계 구역 구분)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였다. 파라마타 거주민 가운데 인도 태생은 8.4%, 중국 출신은 7.4%에 달한다.

반면 서덜랜드 지역은 호주 태생 거주민 비율이 78%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 비율도 2001년 이전에 비해 1% 낮아진 것이다.

 

문화적 배경에서도 서덜랜드는 노던비치(northern beaches) 지역과 함께 문화적 다양성이 가장 낮았으며 호주 현지 태생, 영국 및 뉴질랜드 이민자가 상위 3개 출신 국가였다.

중국 출신 이민자 비율은 2001년에서 2016년까지 15년 동안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드니 14개 통계구역 가운데 중국 이민자 거주 인구가 상위 네 번째를 차지하는 곳은 10개 지역에 달했다.

남서부(south-west)는 동남아 국가(South-East Asia) 및 중동(Middle East) 국가 출신들이 높은 거주 비율을 보였다. 2016년 센서스 결과 베트남, 이라크, 캄보디아 출신 이민자 비율은 남서부 전체 주민의 18%에 달했다.

 

올해 57세로, 남서부 외 지역에서 거주해본 적이 없다는 그렉 코만(Greg Coman)씨는 사우스-웨스트에 대해 “큰 시골 마을”이라는 말로 표현했다. 혼잡하지 않고 한적한 삶을 즐길 수 있었다는 것이다.

세 자녀를 둔 그는, “하지만 광역시드니 인구 증가로 이제는 인구 밀도가 낮았던 자기 집 문 앞까지 혼잡이 느껴지고 있어 걱정이 된다”고 전했다. “아침 시간에 도심으로 가려면 혼잡한 도로교통, 늘어난 신호등으로 한 시간 이상이 더 소요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지난 20년 사이, 광역시드니 대부분 지역의 인구 변화와 함께 다문화가 두드러졌지만 코만씨는 남서부 지역의 이 같은 다양성은 여전히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만씨는 “변화의 속도는 더디지만 지역사회에서 문화적 다양성은 충분히 감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어린 시절 외식을 하게 되면, 갈 수 있는 곳으로는 스테이크 레스토랑, 피자헛, 중국 식당이 고작이었지만 지금은 멕시코, 이탈리아, 태국 음식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종합(인구3).jpg

지난 2001년에서 2018년 사이, 광역시드니 인구는 113만 명이 증가했다. 시드니의 도시 혼잡 및 주택 가격 상승 문제는 점점 심각해져서 이제 정치문제로 까지 등장하고 있다. 사진은 시드니 도심의 모습. 사진은 Pixabay 자료사진.

 

강한 인구 증가,

경제 성장과는 무관

 

지역경제 측면에서 지난 5년 사이 가장 발전한 곳으로는 라이드(Ryde)가 꼽혔다. 이 지역의 경제 생산은 2013년에서 2018년 사이 연평균 5% 성장으로, 이 지역 인구증가율의 두 배 이상이었다.

SGS의 론슬리 연구원은 라이드의 강한 성장 동인으로, 매콰리 파크(Macquarie Park)가 경제 허브로 부상된 점을 꼽았다.

라이드에 이어 ‘Norwest Business Park’가 자리한 버큼힐스-혹스베리(Baulkham Hills-Hawkesbury)가 연평균 4.8%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노스시드니 및 혼스비(North Sydney and Hornsby)가 4.6%로 뒤를 이었다.

 

시드니 도심(CBD) 및 이너사우스 지역(city and inner south region)의 경제 생산 액수는 지난 2017-18년 1,530억 달러였다. 론슬리 연구원에 따르면 이는 전년도에 비해 2.7% 감소한 것이다.

광역시드니 통계구역별로 경제 성장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부 외곽 및 블루마운틴(outer west and Blue Mountains)으로 연간 2.5%였다.

SGS는 높은 인구 성장이 꼭 높은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2013년에서 2018년 사이, 파라마타는 높은 인구 증가가 이어졌지만 연평균 경제 성장은 광역시드니 통계구역 가운데 두 번째로 낮은 2.6%였다.

 

2001-18년 사이 시드니 인구 성장

(Region : 2018년 현재 인구 / 증가 수. 명)

-Central Coast : 342,095 / +47,499

-Baulkham Hills and Hawkesbury : 245,637 / +60,138

-Outer West and Blue Mountains : 323,801 / +36,817

-Outer South West : 283,434 / +60,235

-South West : 444,520 / +105,546

-Blacktown : 369,340 / +104,189

-Parramatta : 493,421 /+145,902

-Inner South West : 620,157 / +122,720

-Inner West : 319,175 / +79,448

-Ryde : 199,412 / +41,900

-City and Inner South : 359,302 / +138,166

-Eastern Suburbs : 293,052 / +48,222

-North Sydney and Hornsby : 436,957 / +78,658

-Northern Beaches : 271,278 / +41,462

(Source: SGS Economics & Planning, ABS)

 

연도별 시드니 인구 증가

2001-2002 : 33,057명

2002-2003 : 26,956명

2003-2004 : 22,170명

2004-2005 : 32,800명

2005-2006 : 38,598명

2006-2007 : 69,364명

2007-2008 : 84,037명

2008-2009 : 82,818명

2009-2010 : 63,136명

2010-2011 : 53,433명

2011-2012 : 68,247명

2012-2013 : 80,168명

2013-2014 : 83,985명

2014-2015 : 88,840명

2015-2016 : 94,734명

2016-2017 : 111,996명

2017-2018 : 93,411명

(Source: SGS Economics & Planning, ABS)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인구).jpg (File Size:90.6KB/Download:18)
  2. 종합(인구2).jpg (File Size:62.7KB/Download:23)
  3. 종합(인구3).jpg (File Size:84.4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56 호주 사라 핸슨-영, ‘막말’ 파동 레이욘헬름 전 상원의원 상대 명예훼손 승소 톱뉴스 19.11.26.
4755 호주 ‘Get our priorities right’... 시드니 새해맞이 불꽃놀이 취소 청원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54 호주 “2020년 시드니-멜번 주택 가격, 두 자릿수 성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53 호주 “부동산 시장 회복 탄력 받았다”... 주택 가격 크게 반등해 가는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52 호주 호주 정부, 인공지능(AI) 가이드라인 만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51 호주 호주 최고 디자인의 레스토랑-카페-바-호텔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50 호주 ‘Drive’ 사, ‘Electric Vehicle of the Year’에 ‘Model 3’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49 호주 주택 임대보다 구입이 저렴한 전국 각 도시별 지역 수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48 호주 운이 좋으면 숨어있던 금화가 나타나 “날 좀 보소!”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4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Dolly Doctor’의 그레이즈빌 소재 코티지, 169만 달러에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746 호주 제40차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시드니서 개최…‘쌍무적 관계의 새로운 도표’ 톱뉴스 19.11.19.
4745 호주 [종합] NSW주 ‘산불 비상 사태’…정치권은 기후변화 ‘설전’ 톱뉴스 19.11.19.
4744 호주 “호주 예비역 자살률 왜 높을까” 톱뉴스 19.11.19.
4743 호주 탈레반 포로-피납 호주인 교환 난항…"아프간 평화 촉진 차질" 톱뉴스 19.11.19.
4742 호주 “산불사태 원인은 동성결혼과 낙태 허용 때문” 톱뉴스 19.11.19.
4741 호주 막내린 2019 HSC 시험... "모두들 휴식을 즐기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40 호주 NSW 정부, 이스라엘과 '물길' 잇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9 호주 호주대학들 내 중국 학생단체, 중국 정부 공관과 연계 의혹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8 호주 마틴 플레이스 트리 점등으로 2019 크리스마스 시즌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7 호주 ‘흡연의 위험’ 관한 잘못된 인식, 바로잡아야...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채스우드의 204만 달러 세미하우스 낙찰 받은 구매자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5 호주 호주 AAP 편집국장 "언론 위기 극복의 정답은 팩트체크 강화” 톱뉴스 19.11.12.
4734 호주 NSW•QLD 내륙 산불, 3명 사망에 주민 6천여 명 대피 톱뉴스 19.11.12.
4733 호주 NSW주 ‘산불 비상 사태’…정치권은 기후변화 ‘설전’ 톱뉴스 19.11.12.
4732 호주 소방당국, ‘산불 재앙 경보’ 시드니 광역권 안전수칙 발표 톱뉴스 19.11.12.
4731 호주 호주 역대 최고가 마천루 펜트하우스 탄생…부동산 업계 ‘술렁’ 톱뉴스 19.11.07.
4730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필요시 추가 완화" 톱뉴스 19.11.07.
4729 호주 159회 멜버른컵 주인공: ‘보우 앤드 디클레어’와 기수 크레이그 윌리엄스 톱뉴스 19.11.07.
4728 호주 노인 복지 강국 호주에서 벌어지는 충격적 ‘노인 홀대’ 톱뉴스 19.11.07.
4727 호주 울룰루 등반 금지, 다른 ‘원주민 성역’으로 확대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6 호주 휴가시즌 앞두고 센트럴코스트 테리갈 비치, 수질 악화 ‘비상’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5 호주 ‘기네스’ 세계 기록 화제- 캐러밴이 만든 9.5km의 ‘모터홈’ 라인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4 호주 호주 젊은이들 3명 중 1명, “외롭지만 친구 사귀기 힘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3 호주 현대자동차 ‘코나’, ‘Drive’ 사의 ‘Small SUV of the Year’에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2 호주 부동산 투자 유형 분석... 3분의 2가 실수하는 것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1 호주 공급과잉-수요약화 우려 불구, 시드니 아파트 가격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2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공급 부족으로 특정 매물 경매 가열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4719 호주 NSW 주 한 해 포커머신 수익, 남태평양 국가 GDP에 버금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8 호주 콴타스, 뉴욕에서 시드니까지 19시간 ‘논스톱’ 시험 비행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7 호주 울룰루 바위 등반, 영구적 금지 시행... 10월 26일부터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6 호주 호주 최악의 연쇄살인마 아이반 밀랏, 일요일(27일) 감옥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5 호주 올 상반기 전 세계 관광산업, 중동 및 아시아 국가들이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지난해 유찰됐던 타운하우스, 잠정가 보다 17만 달러 ↑ file 호주한국신문 19.10.31.
4713 호주 2019 HSC 확 바뀐 영어 시험...엇갈린 반응 톱뉴스 19.10.30.
4712 호주 ‘호주의 심장부’ 울루루 등반 '영구적' 금지...지역 토착 원주민들 '환호' 톱뉴스 19.10.30.
4711 호주 호주 젯스타·제주항공, 12월 인천∼골드코스트 취항…’파격적 항공료’ 톱뉴스 19.10.30.
4710 호주 과격 시위에 시름하는 QLD주…시위 규제 강화 톱뉴스 19.10.30.
4709 호주 호주 최악의 연쇄 살인마 아이반 밀랏의 최후의 몇 마디... 톱뉴스 19.10.30.
4708 호주 NSW주 디지털 운전 면허증 발급 착수…스마트폰 신분증 시대 도래 톱뉴스 19.10.30.
4707 호주 전문가들, “호주인 혈액암 발병 및 사망률, 과소평가” 지적 file 호주한국신문 19.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