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퍼넬웹거미)1.jpg

최근 계속된 더운 날씨와 폭우로 인해 맹독성 퍼넬웹 (Funnel-web) 거미가 번식하기에 ‘최적의 조건’이 갖추어졌고, 거미들이 집안으로 들어오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주민들의 주의 요구된다. 사진은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퍼넬웹 거미의 사진.

(출처: Australian Reptile Park 홈페이지)

 

이상기온으로 산불 사태에 이어 이제는 독거미 경보

Australian Reptile Park, "맹독성 퍼넬웹 거미 주의하세요“

 

이상 기온으로 인한 호주 산불 사태가 아직도 진화되고 있지 않은 가운데, 기후 재앙의 여파로 인해 맹독성 거미의 가정 침입 주의보까지 내려져 코로나 바이러스 못지않게 시드니 주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주 호주 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NSW 주에서는 최근 계속된 더운 날씨와 폭우로 인해 맹독성 거미인 깔때기그물(퍼넬웹, Funnel-web) 거미가 번식하기에 ‘최적의 조건’이 갖추어졌으며, 이에 따라 NSW 소재 관련기관 호주파충류동물원(Australian Reptile Park, 이하 동물원)에서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동물원의 제이크 메니(Jake Meney) 관리자는 지난 1월23일 ABC와의 인터뷰에서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거미의 하나인 퍼넬웹 거미의 활동성이 증가했고, 이 거미들이 집안으로 들어오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며 주민들의 주의를 촉구했다.

 

곤충 전문가들에 따르면 호주에는 적어도 40종의 깔때기 거미가 서식하고 있는데, 이중 인간에게 가장 치명적인 종류가 호주 동부에 서식하는 ‘아트랙스 로부스투스’(Atrax robustus)라고 하는 시드니 퍼넬웹 거미로, 일명 ‘보난자’(Bonanza)로도 알려져 있다. 이 거미의 짝짓기 시즌은 덥고 습한 여름이며, 수컷 거미는 암컷보다 6배나 강한 독을 가지고 있는데다 인간에게 더 공격적이다. 물린 사람은 15분 이내에도 사망할 수도 있을 정도로 위험하다. 크기는 보통 몸체가 1~5cm 정도에, 등에는 털이 없고, 색깔은 갈색에서 검은색이다.

다행히도 1980년대 초에 동물원에서 ‘베놈방지 프로그램’(anti-venom program)으로 해독제를 개발한 이래 호주에서는 이 독거미에 물려 사망한 사람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년 약 30~40명이 이 거미에 물리는 것으로 보고되지만, 항베놈(Anti Venom) 치료제 덕분에 모두 생명을 구한다는 것.

퍼넬웹 거미에 물린 사람은 병원에서 이 항베놈 치료제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의료 전문가들은 거미에 물리면, 물린 부위에 얼른 압박 고정 붕대를 감고, 바로 병원으로 가서 치료를 받으라고 권고한다.

 

종합(퍼넬웹거미)2.jpg

퍼넬웹 거미가 신발을 들락거리고 있는 모습 (사진: Australian Reptile Park 홈페이지)

 

안전한 주거환경 만드는 것이 필수

퍼넬웹 거미는 시원하고 습한 곳을 선호하는데, 집안에서는 주로 세탁장, 차고 또는 그늘진 땅에 놓아둔 신발 속에서 발견된다. 그러므로 가족과 개인의 안전을 위해서는 신발을 꼭 털은 뒤에 신고, 또한 차고나 세탁장에서는 주변을 잘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또 퍼넬웹 거미는 물속에서도 24시간을 살 수 있다. 최근 뉴캐쓸의 한 여성은 집 수영장에서 이 거미를 발견했는데, 이에 따라 뉴캐쓸 해충방지협회(Bug Stop Newcastle)에서는 부모들에게 자녀들의 여름철 안전을 위해 집의 풀장과 필터를 매일 점검하도록 당부하고 있다.

거미로부터 안전한 주거환경을 만들려면 집 주변의 돌, 나뭇잎, 잡초나 나뭇가지 등을 치우고, 잔디는 최대한 짧게 깎아야 한다. 창문 근처의 식물과 덤불은 벌레를 집 안으로 불러들이는 사다리 역할을 하므로 높이 자라기 전에 미리 정돈하는 것이 좋다. 거미줄은 즉시 치우고 다시 생겨도 반복해서 치워야 한다. 실내 블라인드 설치로 실내 전등 빛이 외부로 나가지 않게 하거나, 전등을 곤충들이 덜 꼬이는 노란 전등(yellow sodium vapor light)으로 교체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실외 조명은 최대한 줄여서 거미의 먹이가 되는 날벌레들의 꼬임을 줄이는 것이 좋다.

창문과 문, 집 외벽의 균열을 실리콘 등으로 메우면 거미가 집안으로 들어오는 통로들을 막게 된다. 또한 벌레들이 서식하기 좋은 화분이나 식물들은 집밖에 두고 실내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해야한다. 옷가지와 쓰레기가 널브러져 있으면 벌레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청결한 실내에는 거미가 숨을 수 있는 장소가 많지 않기 때문에 실내로 들어와도 오래 머물러있지 않는다.

좀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는 환경 친화적인 거미줄 제거제(Eco Safe Cob Web Clean up)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약품은 살충 효과는 없지만, 거미가 남긴 모든 잔여물을 완전 제거해주며, 최대 60일 기량 거미들이 꼬이는 것을 막아준다. 박하, 유칼립투스, 티트리 등 거미들이 기피하는 아로마 오일을 물과 섞어 거미가 들어올 수 있는 틈, 구석, 입구에 뿌려주거나, 물과 절반 비율로 혼합한 식초를 그릇에 담아 거미가 들어올 수 있는 어두운 장소나 틈이 있는 곳에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임옥희 기자 /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퍼넬웹거미)1.jpg (File Size:111.1KB/Download:31)
  2. 종합(퍼넬웹거미)2.jpg (File Size:84.2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99 호주 호주, 해외입국자 ‘무조건’ 자가 격리! “2주간 격리 의무화” 호주브레이크.. 20.03.15.
4998 호주 호주 시드니, 부활절 최대 행사 ‘로얄 이스터쇼’ 전격 취소! 코로나 바이러스 심각성 인식 한 듯… 호주브레이크.. 20.03.13.
4997 호주 호주, NSW “주 전역 160만 명까지 확산 될 수 있다!”…주 인구 20%까지 감염 가능성 시사 호주브레이크.. 20.03.13.
4996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자 “대형 행사 참가 했었다”…당국 “야외 행사라 전파력 낮다” 호주브레이크.. 20.03.13.
4995 호주 호주, 14조 원 규모 경기부양책 발표! 취약계층에 우선 현금 지급 호주브레이크.. 20.03.12.
4994 호주 WHO, 코로나-19 바이러스 발병에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포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3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전문가들, 독감백신 접종 권유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2 호주 시드니 북부 양로원서 COVID-19 관련 사망자, 연이어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1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이번 바이러스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0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이 있는 것 같다’고 생각된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9 호주 Coronavirus pandemic- ‘화장지 대량 구매행동’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8 호주 COVID-19로 산업시설 중단된 중국, ‘대기오염’ 크게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7 호주 뉴스 제공 ‘AAP’ 사, 85년 만에 서비스 중단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6 호주 도로교통 안전의 ‘잃어버린 10년’... ‘예방가능’ 사고 사망자, 최소 500명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5 호주 “환자를 위험에 빠뜨린다” vs “환자에게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4 호주 호주 정부 관광청, 영국 여행자 대상 ‘관광 캠페인’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3 호주 “대산호초 사멸을 방지하고 기후 변화 해결을 위해 노력하라”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웨스트라이드 소재 주택, 9개월 만에 41만5천 달러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1 호주 호주, 코로나 확진자 116명 3명 사망…뉴사우스웨일스 61명으로 증가 호주브레이크.. 20.03.11.
4980 호주 호주, F1 개막전 예정대로 치른다! ˝무관중 경기는 어림없다!˝ 호주브레이크.. 20.03.11.
4979 호주 호주, '페이스북' 법정에 섰다! ˝비허가 노출로부터 정보 보호조치 묵과˝… 호주브레이크.. 20.03.11.
4978 호주 “휴지 걱정 마세요!”…세계 각국 ‘화장지’ 대란에 묘책 호주브레이크.. 20.03.10.
4977 호주 호주, ‘8조원’ 재정 부양책 내놓는다! 가계 ‘현금 지급 추진’에 재무부 난색…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6 호주 호주, 12년 만에 증시 7% 넘게 폭락…금융위기 이후 '최대 낙폭'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5 호주 호주, “화장지 전쟁 끝이 안보인다!”… 거친 몸싸움에 경찰까지 수시 출동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4 호주 호주 퀸즈랜드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국제선 항공편 역학 조사 중˝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3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 ‘멜버른 의사’도 확진 판정… 호주브레이크.. 20.03.07.
4972 호주 호주, 10년 공든 탑 '와 르르르!', 코로나19로 재정 흑자 전망 물거품 전망… 호주브레이크.. 20.03.07.
4971 호주 RBA, 25bp 금리 인하…”코로나19 대응 나섰다” 톱뉴스 20.03.05.
4970 호주 60대 한국 여성 확진자 대한항공 편으로 27일 입국…시드니 누적 확진자 15명 톱뉴스 20.03.05.
4969 호주 위축된 마디 그라 열기…부추기는 공영 방송사 톱뉴스 20.03.05.
4968 호주 코로나 19 공포 호주 엄습….첫 사망자에 확진자 증가 톱뉴스 20.03.05.
4967 호주 호주, 한국 발 여행자 입국 금지 및 한국 방문 여행 경보 추가 격상 톱뉴스 20.03.05.
4966 호주 호주 정부, "입국 제한 국가에 한국 포함"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불안감, 바이러스처럼 확산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4 호주 NSW 주 교육부, 학생들 해외 단체여행 취소 지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3 호주 ‘세계적 전염병’ 선포 앞둔 COVID-19 상황, 그 대응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2 호주 호주 정부, 중국 이어 이란도 ‘입국제한’ 대상 국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1 호주 노숙자 문제에 팔 걷어 부친 NSW 주정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0 호주 시드니에도 ‘스마트시티' 인기... 멜로즈파크 아파트 개발현장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9 호주 전 세계 고용주들이 직원 뽑을 때 가장 좋아하는 출신대학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8 호주 환경단체의 강한 반대 속 ‘the Bight’ 앞 원유탐사 계획, ‘원점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7 호주 호주의 높은 주택가격, 해외 유입 이민자들 때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6 호주 올 여름시즌 NSW 주 산불로 코알라 1만 마리 사망 추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5 호주 알츠하이머 위험,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예방 가능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4 호주 “의자에 앉아 일하는 것, 척추 건강에 ‘치명적’인 것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3 호주 각 지역 도시들, 올해 부동산 시장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2 호주 주택 소유 호주 고령층, 임대주택 거주자 비해 20배 ‘부유’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 알렉산드리아 1개 침실 유닛에 30여 예비 구매자 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0 호주 호주서 ‘화장지’ 때문에 난데 없는 흉기 소동…경찰 출동후 상황 종료 호주브레이크.. 2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