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주가들에게 경고, “술이 불법약물 보다 건강에 더욱 위험하다”

멜번 ‘St Vincent’s Hospital’ 연구결과, 매년 알코올 관련 질환으로 6천명 사망

 

멜번에 거주하는 53세의 데이빗 리치만(David Reichmann)씨는 의사로부터 1년밖에 더 살 수 없을 것이라는 진단을 받은 알코올 중독자이다. 그는 중독 판정을 받은 뒤 두 차례 가벼운 뇌졸중을 경험했다. “그럼에도 매일 저녁이면 펍(Pub)에 나가 취할 때까지 술을 마셔야 했다. 펍에서 더 이상 술을 내주지 않을 때는 버번 한 병을 구입해 집으로 들어갔다”고 말한다. 그는 늘 침대 머리맡에 위스키 한 병을 두고 잠을 잤다. 돈이 없어 술을 마실 수 없을 때에는 공업용 알코올 (methylated spirits - 램프나 히터용으로 사용하며 사람이 마실 수 없는 공업용 알코올 [편집자 주])을 소프트드링크에 섞어 마시기도 했다. 아침이면 모닝커피로 정신을 가다듬는 다른 이들과 달리 그는 술을 찾았다. “하루 일과를 시작하려면 술이 있어야 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6월 시드니모닝헤럴드가 언급한 술꾼 리치만씨의 이야기야 말로 알코올 중독이 개인의 건강에 어느 정도 심각한 폐를 끼치는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사례이다. 당시 신문은 호주인들이 소비하는 불법 약물 중 가장 대중적인 것으로 알려진, 일명 ‘아이스’(ice)라 불리는 크리스탈 메스암페타민(crystal methamphetamine) 이나, 혹은 헤로인(heroin)에 비해 알코올이 우리 사회에 더 큰 해악을 끼친다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또한 보도하여 주목을 끌기도 했다.

멜번(Melbourne) 소재 세인트 빈센트 병원(St Vincent’s Hospital)이 보건 및 관련 전문가들에게 의뢰, 진행한 알코올 관련 연구는 호주 최초로 알코올을 비롯해 22가지 약물 사용으로 인한 개인의 건강 위험과 전체 호주사회에 대한 피해를 집중 조사한 것이다.

연구의 일환으로 선정된 응급서비스 의료진, 경찰, 의사 및 복지 분야 가운데 특히 약물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25명의 약물중독 전문가들은 질병, 부상, 사망을 포함해 22가지의 약물 사용자들에게 야기된 피해를 근거로 각 약물이 주는 피해 정도를 0에서 100으로 평가했다.

아울러 폭력, 범죄, 실업, 경제적 비용 및 대인관계 손실 등을 파악, 약물사용이 가족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그 결과 알코올은 100을 기준으로 77에 해당, 호주사회 구성원들에게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꼽혔으며, 특히 불법 마약인 크리스탈 메탐페타민(66), 헤로인(58),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fentanyl - 51)에 비해서도 건강 및 지역사회에 끼치는 폐해가 더욱 컸다.

 

종합(음주 1).jpg

알코올을 비롯해 갖가지 약물 중독 관련 전문가들의 조사 결과 불법 약물 복용에 비해 음주로 인한 건강상의 폐해가 훨씬 큰 것으로 분석됐다. 각 약물 복용에 따른 피해 정도를 분석한 것은 지난해 6월에 나온 보고서가 처음이다.

 

지독한 알코올 중독자인 리치만씨는 술 외에도 불법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 그는 비교적 마약 성분이 약한 대마초(cannabis)는 손에 대지 않지만 독성이 강한 메탐페타민이나 헤로인을 복용한다. 술이야 언제 어디서든 손에 넣을 수 있는 가장 손쉬운 것이었다. 그는 “알코올 중독은 지난 수년 동안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파탄 나게 했다”며 “사람들이 나를 신뢰하지 않기에 일자리를 얻을 수도 없었다”고 말했다.

멜번대학교 중독의학 전문의로, 동 연구팀의 수석 연구원을 맡은 이본느 보노모(Yvonne Bonomo) 부교수에 따르면 매년 약 6천 명이 알코올 관련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 “이는 매 90분에 한 명이 사망하는 셈”이라는 보노모 부교수는 “최대 50만 명의 호주 국민들이 술 또는 다른 약물 치료 서비스에서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가장 크게 충족되지 않는 수요는 알코올 의존”이라고 덧붙였다.

보노모 부교수는 이어 “크리스탈 메탐페타민, 헤로인 사용자들이 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알코올의 위험한 영향도 결코 무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정신약물 관련 저널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에 게재된 호주 약물폐해 순위 연구(Australian Drug Harms Ranking Study)에 따르면 호주에서 알코올로 인한 경제적 부담은 연간 68억 달러로 추정된다. 이는 메탐페타민의 50억 달러에 비해 훨씬 높은 비용 부담이다.

술은 7종류의 암을 포함해 60여 신체 진환과 관련이 있다. 특히 우울증, 불안 증세, 뇌 손상 비율이 높다. 보노모 부교수는 “알코올에 중독되면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거나 가족 및 대인관계가 파탄 나는 등 여러 유형의 것들을 잃게 된다”면서 “처음으로 우리 연구팀은 술과 그로 인한 모든 피해를 조사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 알코올 중독자의 파트너 여성은 가정폭력을 당할 위험성이 가장 높았으며 남성들 또한 이들로 인해 피해를 입을 위험이 높았다. 과도하게 술을 마시는 부모와 함께 사는 아동들 또한 신체발달 및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 등 오랜 기간 외상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 사망 위험을 기준으로 할 때는 중독성이 강한 합성 오피오이드(synthetic opioid) 제품군인 펜타닐(fentanyl)이 가장 위험한 약물로 꼽혔으며 헤로인, 크리스탈 메탐페타민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진들은 호주 사람들의 펜타닐 복용이 미국 및 일부 국가들에 비해 낮은 복용 비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향후 이의 복용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는 점에서 단속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약 및 알코올 서비스 기구인 ‘터닝 포인트’(Turning Point)의 임상심험 책임자인 매튜 프레이(Matthew Frei) 박사는 “호주 문화에서 알코올은 법적 규제에 해당하지만 사람들은 이의 위험을 과소평가한다”고 지적했다. “메탐페타민이나 헤로인 같은 불법 마약과 달리 술은 대부분의 호주인들이 거의 모든 유형의 사회생활에서 자주 마신다”고 설명한 프레이 박사는 결국 사람들이 위험한 약물에 대해 생각할 때 TV 뉴스 등에서 보았던 불법 약물 복용자들처럼 행동하게 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불법 마약에 중독되어 폭력적으로 변하는 것처럼 술 또한 마찬가지“라고 우려했다.

다만 프레이 박사는 “음주의 위험에 대한 인식이 지난 20여년 사이 지속적으로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종합(음주 2).jpg

호주인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복용되고 있는 불법 약물 중 하나인 크리스탈 메탐페타민(사진).

일명 ‘아이스’로 불리는 이 약물은 술 다음으로 건강에 끼치는 폐해가 컸다.

 

멜번의 알코올 중독자 리치만씨는 지독한 중독으로 인해 지난 2015년 딸의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한 것을 가장 후회한다며 “딸의 특별한 날에 함께 할 수 없었다는 것이 너무도 부끄럽다. 이는 지금도 내게 가장 아픈 상처로 남아 있다”고 고백했다.

그리고 1년 후, 그는 멜번 남동부, 세인트 킬다 이스트(St Kilda East)의 알코올 중독자 재활치료 서비스 기관인 ‘Windana’를 찾아갔다. 그해 12월부터 그는 마약과 술을 끊고 매주 재활치료를 받고 있다.

리치만씨는 이곳에서의 재활치료에 대해 “나와 같은 상황,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또 서로를 지지하며 도움을 받는 것”이라며 약물중독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이들을 돕는 그룹의 리더 역할을 하고 있다.

“30년 이상 알코올 중독에 시달렸더라도 올바른 지원을 받는다면 충분히 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그는 “사람들은(약물중독자 재활기구 관련자들) 내 인생의 가장 어두운 시기에 나를 도왔고, 이제는 그 도움을 내가 다른 이들에게 베풀겠다”고 앞으로의 희망을 피력한다.

 

약물 복용에 따른 위험성

(0-100을 기준으로 한 위험도)

-Alcohol : 77

-Crystal meth : 66

-Heroin : 58

-Fentanyls : 51

-Cigarettes : 32

-Methadone : 31

-Presc opioids : 30

-Solvents & fuels : 31

-Synth cannabis : 26

-Amphetamine : 26

-Cocaine : 25

-Buprenorphine : 23

-Cannabis : 17

-Benzodiazepines : 16

-GHB : 13

-PIEDs : 12

-Ketamine : 9

-Ecstacy : 7

-Anti-psychotics : 7

-LSD & mushrooms : 5

-ENDs : 3

-Kava : 3

Source : The Australian Drug Harms Ranking Study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음주 1).jpg (File Size:76.2KB/Download:13)
  2. 종합(음주 2).jpg (File Size:54.8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999 호주 호주, 해외입국자 ‘무조건’ 자가 격리! “2주간 격리 의무화” 호주브레이크.. 20.03.15.
4998 호주 호주 시드니, 부활절 최대 행사 ‘로얄 이스터쇼’ 전격 취소! 코로나 바이러스 심각성 인식 한 듯… 호주브레이크.. 20.03.13.
4997 호주 호주, NSW “주 전역 160만 명까지 확산 될 수 있다!”…주 인구 20%까지 감염 가능성 시사 호주브레이크.. 20.03.13.
4996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자 “대형 행사 참가 했었다”…당국 “야외 행사라 전파력 낮다” 호주브레이크.. 20.03.13.
4995 호주 호주, 14조 원 규모 경기부양책 발표! 취약계층에 우선 현금 지급 호주브레이크.. 20.03.12.
4994 호주 WHO, 코로나-19 바이러스 발병에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포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3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전문가들, 독감백신 접종 권유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2 호주 시드니 북부 양로원서 COVID-19 관련 사망자, 연이어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1 호주 Coronavirus pandemic- 이번 바이러스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90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이 있는 것 같다’고 생각된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9 호주 Coronavirus pandemic- ‘화장지 대량 구매행동’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8 호주 COVID-19로 산업시설 중단된 중국, ‘대기오염’ 크게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7 호주 뉴스 제공 ‘AAP’ 사, 85년 만에 서비스 중단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6 호주 도로교통 안전의 ‘잃어버린 10년’... ‘예방가능’ 사고 사망자, 최소 500명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5 호주 “환자를 위험에 빠뜨린다” vs “환자에게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4 호주 호주 정부 관광청, 영국 여행자 대상 ‘관광 캠페인’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3 호주 “대산호초 사멸을 방지하고 기후 변화 해결을 위해 노력하라”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웨스트라이드 소재 주택, 9개월 만에 41만5천 달러 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4981 호주 호주, 코로나 확진자 116명 3명 사망…뉴사우스웨일스 61명으로 증가 호주브레이크.. 20.03.11.
4980 호주 호주, F1 개막전 예정대로 치른다! ˝무관중 경기는 어림없다!˝ 호주브레이크.. 20.03.11.
4979 호주 호주, '페이스북' 법정에 섰다! ˝비허가 노출로부터 정보 보호조치 묵과˝… 호주브레이크.. 20.03.11.
4978 호주 “휴지 걱정 마세요!”…세계 각국 ‘화장지’ 대란에 묘책 호주브레이크.. 20.03.10.
4977 호주 호주, ‘8조원’ 재정 부양책 내놓는다! 가계 ‘현금 지급 추진’에 재무부 난색…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6 호주 호주, 12년 만에 증시 7% 넘게 폭락…금융위기 이후 '최대 낙폭'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5 호주 호주, “화장지 전쟁 끝이 안보인다!”… 거친 몸싸움에 경찰까지 수시 출동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4 호주 호주 퀸즈랜드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국제선 항공편 역학 조사 중˝ 호주브레이크.. 20.03.09.
4973 호주 호주,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 ‘멜버른 의사’도 확진 판정… 호주브레이크.. 20.03.07.
4972 호주 호주, 10년 공든 탑 '와 르르르!', 코로나19로 재정 흑자 전망 물거품 전망… 호주브레이크.. 20.03.07.
4971 호주 RBA, 25bp 금리 인하…”코로나19 대응 나섰다” 톱뉴스 20.03.05.
4970 호주 60대 한국 여성 확진자 대한항공 편으로 27일 입국…시드니 누적 확진자 15명 톱뉴스 20.03.05.
4969 호주 위축된 마디 그라 열기…부추기는 공영 방송사 톱뉴스 20.03.05.
4968 호주 코로나 19 공포 호주 엄습….첫 사망자에 확진자 증가 톱뉴스 20.03.05.
4967 호주 호주, 한국 발 여행자 입국 금지 및 한국 방문 여행 경보 추가 격상 톱뉴스 20.03.05.
4966 호주 호주 정부, "입국 제한 국가에 한국 포함"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5 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불안감, 바이러스처럼 확산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4 호주 NSW 주 교육부, 학생들 해외 단체여행 취소 지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3 호주 ‘세계적 전염병’ 선포 앞둔 COVID-19 상황, 그 대응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2 호주 호주 정부, 중국 이어 이란도 ‘입국제한’ 대상 국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1 호주 노숙자 문제에 팔 걷어 부친 NSW 주정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60 호주 시드니에도 ‘스마트시티' 인기... 멜로즈파크 아파트 개발현장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9 호주 전 세계 고용주들이 직원 뽑을 때 가장 좋아하는 출신대학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8 호주 환경단체의 강한 반대 속 ‘the Bight’ 앞 원유탐사 계획, ‘원점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7 호주 호주의 높은 주택가격, 해외 유입 이민자들 때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6 호주 올 여름시즌 NSW 주 산불로 코알라 1만 마리 사망 추정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5 호주 알츠하이머 위험,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예방 가능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4 호주 “의자에 앉아 일하는 것, 척추 건강에 ‘치명적’인 것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3 호주 각 지역 도시들, 올해 부동산 시장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2 호주 주택 소유 호주 고령층, 임대주택 거주자 비해 20배 ‘부유’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 알렉산드리아 1개 침실 유닛에 30여 예비 구매자 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4950 호주 호주서 ‘화장지’ 때문에 난데 없는 흉기 소동…경찰 출동후 상황 종료 호주브레이크.. 20.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