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워킹트렉 1).jpg

시드니 동부와 북부 지역에 이미 조성되어 있는 워킹 트레일(Walking Trail)을 연결하는 계획이 해당 지역 6개 카운슬의 합의 하에 추진되고 있다. 이 계획이 이루어진다면 시드니는 총 80km에 이르는 이 산책로는 시드니의 또 하나의 관광 상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로얄보타닉가든 산책로를 즐기는 사람들. Fairfax Media 뉴스 동영상 캡쳐.

 

‘Bondi to Manly Walk Supporters’ 계획, 해당 지역 6개 카운슬 합의

 

전 세계 주요 도시의 거주민을 위한 산책로(또는 둘레길. walking trail)가 해외여행자 유치 동력이 된 사례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런던의 ‘The Thames Path’(296km), 과거 베를린 장벽을 따라 가는 ‘The Mauerweg’ (160km), 홍콩의 5개 섬을 잇는 ‘The Hong Kong Trail’ (50km), 제주도 ‘올레길’ 등은 여행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진 대표적 도심 산책로로 꼽힌다.

시드니의 경우에도 길지는 않지만 빼어난 절경을 가진 워킹 트레일이 잘 조성되어 있다. 본다이(Bondi)에서 쿠지(Coogee)에 이르는 해안 절벽길, 스핏 브릿지(Spit Bridge)-맨리(Manly), 웨스트헤드(West Head)-리솔루트 비치(Resolute Beach) 등이 그것이다.

시드니 동부와 북부 해안을 끼고 자리한 이 산책로를 연결한다면 시드니는 런던이나 베를린에 버금가는 멋진 워킹 트레일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실제로 본다이에서 맨리까지의 구간 곳곳을 경유하는 80킬로미터의 산책로 조성이 본격화됐다고 금주 월요일(26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전했다.

이를 처음 구상하고 실천에 옮긴이는 지난 1989년부터 2015년까지 연방 상원의원을 지낸 노동당 존 폴크너(John Faulkner) 전 의원과 케빈 러드(Kevin Rudd) 정부 당시 수석 공보비서관이자 현재 미디어 기술 지원 기업 ‘RevTech’를 운영하는 라클란 해리스(Lachlan Harris) 대표이다.

 

종합(워킹트렉 2).jpg

동부에서 북부를 잇는 산책로를 계획한 ‘Bondi to Manly Walk Supporters’ 회원들이 동부 왓슨 베이(Watsons Bay)의 산책로를 둘러보고 있다. Fairfax Media 뉴스 동영상 캡쳐.

 

연방 정부 일을 그만둔 이들은 어느 저녁 동부 해안길을 산책하다 각 카운슬의 공공 부지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고, 이를 활용해 해안 산책로를 연결하는 생각을 갖게 됐다. 그리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Bondi to Manly Walk Supporters’라는 시민단체를 조직했다.

본다이에서 북쪽의 맨리에 이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는 생각으로 ‘Bondi to Manly’를 구상한 이들은 이탈리아 리구리아(Liguria) 지역의 해안 절벽을 따라 만들어진 세계적 명소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친퀘테라(Cinque Terra) 못지않은 산책로가 될 것이라고 설득, 해당 구역 6개 카운슬 시장들의 합의를 끌어냈다.

‘Bondi to Manly Walk Supporters’가 계획한 산책로는 본다이 비치(Bondi Beach)에서 출발해 왓슨tm베이(Watsons Bay), 달링포인트(Darling Point), 시드니 CBD, 뉴트럴베이(Neutral Bay), 모스만(Mosman), 발골라헤이츠(Balgowlah Heights), 그리고 맨리(Manly)의 노스헤드(North Head)에서 끝나는 코스이다. 여러 날이 소요되는 이 여정에는 원주민 문화유적, 첫 영국함대 도착 유적지 등 역사를 조명할 수 있으며 하버브릿지(Harbour Bridge)와 오페라하우스(Sydney Opera House)와 같은 시드니 아이콘을 통과하게 된다.

이 코스에 포함된 6개 카운슬 시장들은 연방 및 주 정부와 함께 기존에 조성되어 있는 각 워킹 트레일을 연결하고 일관된 표지판과 방향을 정하는 데 동의했다.

 

종합(워킹트렉 3).jpg

‘Bondi to Manly Walk Supporters’가 구상한 80km의 워킹 트레일(Walking Trail).

 

이 코스 상에 이미 만들어져 있는 산책로의 길이는 총 60킬로미터에 이른다. 이외 포인트파이퍼(Point Piper), 달링포인트, 포츠포인트(Potts Point) 등은 새로이 연결 작업을 해야 한다.

세계적 명성의 본다이 해변이 속해 있는 웨이벌리(Waverley) 카운슬의 존 웨이크필드(John Wakefield) 시장은 새로 연결되는 이 산책로가 전 세계 여행자들을 끌어들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울라라(Woollahra) 카운슬의 피터 카바나(Peter Cavanagh) 시장 또한 시드니사이더들에게 잘 알려진 맥콰리 등대(Macquarie Lighthouse), 머레이 로즈 풀(Murray Rose Pool)을 비롯해 숨겨진 명소들을 새로 연결하는 코스에 포함할 것이라고 말했다.

클로버 무어(Clover Moore) 시장은 도심을 지나는 코스에서 만나게 되는 로얄보타닉가든의 ‘Mrs Macquaries Chair’야말로 이 코스의 최고 명소가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또 모스만 카운슬의 캐롤린 코리건(Carolyn Corrigan) 시장은 이곳의 풍부한 원주민 문화유적을 방문객들에게 내세울 계획임을 언급했다.

새 코스의 마지막에 자리한 노던비치스(Northern Beaches) 카운슬의 마이클 레건(Michael Regan) 시장은 ‘Manly to Bondi walk’ 계획을 환영하면서 “80킬로미터에 이르는 이 트레일을 방문하는 전 세계 여행자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워킹트렉 1).jpg (File Size:61.5KB/Download:22)
  2. 종합(워킹트렉 2).jpg (File Size:53.6KB/Download:20)
  3. 종합(워킹트렉 3).jpg (File Size:82.8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51 호주 턴불 총리 “역사 기념물 논쟁은 스탈린주의 발상, 대다수 국민 경악” 톱뉴스 17.08.28.
5050 호주 복지수당 수급자 대상 약물 테스트 대상 지역 3곳 확정 톱뉴스 17.08.28.
5049 호주 연방정부, 호주 내 난민희망자 100명 재정지원 중단 및 출국 통보 톱뉴스 17.08.28.
5048 호주 멜버른 카운슬로 튄 쿡 선장 동상 등 역사 기념물 훼손 불똥 톱뉴스 17.08.28.
5047 뉴질랜드 “4천불 현상금까지 걸었건만…” 총에 맞아 죽은 채 발견된 반려견 NZ코리아포.. 17.08.29.
5046 뉴질랜드 경찰무전기에서 들리는 ‘돼지 꿀꿀’ 소리의 정체는? NZ코리아포.. 17.08.29.
5045 호주 Ch10, 도산 위기 모면…미국 CBS 인수 확정 톱뉴스 17.08.29.
5044 호주 호주 “북한 미사일 도발, 전 세계 평화와 안보 위협”…강력 규탄 성명 잇따라 톱뉴스 17.08.29.
5043 뉴질랜드 향후 2년간 뉴질랜드 방문 크루즈 유람선 50% 신장 NZ코리아포.. 17.08.30.
5042 뉴질랜드 북한에 대한 미국 주도 공격 NZ 지지 여부, 반반 의견으로 나눠져 NZ코리아포.. 17.08.30.
5041 호주 CBA ‘산 넘어 산’…AUSTRAC이어 APRA도 조사 착수 톱뉴스 17.08.30.
5040 호주 2017 NSW 카운슬 선거, 한국계 후보 6명 출사표 톱뉴스 17.08.30.
5039 호주 ‘리틀 코리아’ 스트라스필드 카운슬의 ‘진흙탕 싸움’ 톱뉴스 17.08.30.
5038 뉴질랜드 폐쇄된 옛날 노천광산 인근에서 대형 싱크홀 나타나 NZ코리아포.. 17.08.31.
5037 뉴질랜드 뜨거운 한낮에 차에 아기 방치한 채 한잔 하고 잠들었던 아빠 NZ코리아포.. 17.08.31.
5036 뉴질랜드 승객 급증으로 본격 확장에 나서는 퀸스타운 공항 NZ코리아포.. 17.08.31.
5035 호주 지난 주 이어 낙찰률 하락... 16개월 만에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4 호주 탈북 학생들의 꿈... “어려운 이들 위해 일하고 싶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3 호주 ‘용의자 사살권’ 등 경찰 공권력, 시민들의 공포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2 호주 최장기간 연구 보고서, “성공하려면 성(姓)도 잘 타고나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1 호주 베레지클리안, 서울 명예시민 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0 호주 우울증-불안감에 시달리는 여성 비율, ‘우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9 호주 호주 초등학교 남학생 5명 중 1명, ‘정서행동장애’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8 호주 저소득층 지역, 임대주택 보증금 환불 거부 비율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7 호주 보수 진영 정치 인사들, 동성결혼 ‘Yes’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6 호주 ‘동성결혼’ 관련 우편조사 등록 마감일의 ‘해프닝’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5 호주 Australia's best country and outback festivals(4)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4 호주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 “한국어 등 가상교실 확대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3 호주 호주 대학 평가... 골드코스트 ‘본드대학교’, 최고 점수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2 호주 “동성결혼 반대진영의 광고도 결사 반대하는 노동당” 톱뉴스 17.08.31.
5021 호주 수그러들지 않는 연방의원 이중국적 파동…이번에는 노동당과 무소속으로 톱뉴스 17.09.01.
5020 호주 해리 큐얼, 잉글랜드 감독 데뷔 후 ‘첫 승’ 톱뉴스 17.09.01.
5019 호주 갈 길 바쁜 사우디, UAE에 덜미…원정 경기서 1-2 역전패 톱뉴스 17.09.01.
5018 호주 NSW 전 교육장관 피콜리 의원 정계 은퇴…보궐 선거 3곳으로 늘어 톱뉴스 17.09.01.
5017 호주 쇼튼 당수 “잘못된 역사는 바로 잡아야…” 톱뉴스 17.09.01.
5016 호주 NSW주 카운슬 선거 9월 9일 톱뉴스 17.09.01.
5015 호주 "내 옆자리에는 앉지 마!" 톱뉴스 17.09.01.
5014 호주 연방법원, 아다니 탄광개발 무효 소송 항소심 기각 톱뉴스 17.09.01.
5013 호주 주택문제 전문 정당 창당…급진적 주택난 해소 대책 발표 톱뉴스 17.09.01.
5012 호주 "출산 전후 우울증 챙기자" 호주, 정신건강 검진비 무료로 톱뉴스 17.09.01.
5011 호주 호주 콴타스항공, 시드니-런던 1만7천km 무착륙 비행편 추진 톱뉴스 17.09.01.
5010 호주 호주 부모 10명 중 7명 "스마트폰 때문에 '차'에서도 대화 단절" 톱뉴스 17.09.01.
5009 호주 자동차 번호판이245만 달러….호주 번호판 경매 최고가 톱뉴스 17.09.01.
5008 호주 “주택난, 최소 40년 지속된다” 톱뉴스 17.09.01.
5007 뉴질랜드 해안 절벽 아래서 난파된 후 11시간 만에 구조된 남녀 NZ코리아포.. 17.09.02.
5006 뉴질랜드 5년 이래 주택 가격 상승 속도 가장 느려 NZ코리아포.. 17.09.02.
5005 뉴질랜드 라이벌 갱단 간의 장례식장 싸움에서 총까지 발사했던 갱 단원 NZ코리아포.. 17.09.02.
5004 뉴질랜드 경고!!페이스북 메신저로 받은 비디오 링크 클릭하지 말것 NZ코리아포.. 17.09.02.
5003 호주 호주, “북한의 무모한 도발행위, 강력 규탄”…가능한 모든 조치 촉구 톱뉴스 17.09.04.
5002 호주 북한 수소탄 실험 성공 주장 톱뉴스 17.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