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대산호초_백화현상).jpg

대산호초(Great Barrier Reef) 해양공원 내의 여러 지역에서 해수면 온도가 평균기온보다 2도 이상 높아지면서, 잠시 멈추었던 산호초 백화현상이 또다시 시작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가 이전의 대량 백화현상으로부터 회복할 시간이 없었다고 말한다. 사진: ABC 뉴스, 서던크로스 대학의 피터 해리슨(Peter Harrison)

 

“대산호초 사멸을 방지하고 기후 변화 해결을 위해 노력하라”

퀸즐랜드 ‘Great Barrier Reef’ 해양공원에 백화현상 ‘재난’ 위기

 

세계의 불가사의 자연경관의 하나로 꼽히는 호주의 그레이트베리어리프(Great Barrier Reef)는 달에서도 보인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거대한 규모의 천혜 해양공원이자, 바다 속으로 광대하게 펼쳐진 산호초의 아름다움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여 매년 호주에 엄청난 관광 수입을 올려주는 관광 명소이기도 하다.

그런데 퀸즈랜드(Queensland) 주에 있는 이 대산호초(Great Barrier Reef) 해양공원 내의 여러 지역에서 해수면 온도가 평균기온보다 2도 이상 높아지면서, 산호초에 백화현상(Bleaching)이 올해 또다시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20일, A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호주 기후연구소(Climate Council)의 레슬리 휴즈(Lesley Hughes)교수는 “퀸즐랜드 북단의 케이프요크(Cape York) 외곽지역 3곳에서는 이미 백화현상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었다”면서, “지금과 같은 이상고온현상이 계속된다면, 3월 초순에는 백화현상이 다시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호주해양보존협회(The Australian Marine Conservation Society) 관계자 샤니 테이거(Shani Tager)씨도 “지구 온난화로 인한 바다의 이상고온 때문에 백화현상이라는 재난이 또다시 우리 턱밑까지 다가와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립해양기상청(Th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은 대산호초의 보호 경계수준을 1단계로 설정했는데,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는 백화현상의 발생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2016년부터 2017년 사이에 연이어 나타난 이곳의 백화현상은 대산호초 연안의 얕은 바다 쪽 산호들을 절반이나 쓸어버린 바 있으며, 지난 2년 동안 간신히 백화현상의 진행이 늦추어지고 있었다.

휴즈 교수는 “그때의 재난(백화현상)으로부터 회복될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지금, 다시 백화현상이 시작된다면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국제환경단체인 그린피스(Green Peace)는 협회의 웹사이트에서 그레이트베리어리프 지역에 광대하게 자리 잡고 있는 산호초들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생명체로서 유네스코 세계자연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정도로 아름다운 생태계를 지니고 있는 곳”이며, “다양한 물고기와 바다거북 및 상어들의 소중한 서식지인 이 생태계가 지닌 다양성과 중요성은 지구의 보물과도 같은 것”이라고 설명 하고 있다.

더불어 과거 2년간(2016~2017)의 대산호초 백화현상이 얼마나 심각한 피해를 초래했는지를 전하면서, 이러한 현상은 지구의 기후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위험한 전환점을 향해 치닫고 있다는 글로벌 경고 신호라는 것을 거듭 지적하고 있다.

 

종합(대산호초_슬라임).jpg

백화현상으로 탈색되어 죽은 산호초는 갈색 점성물질에 뒤덮여 심한 악취를 내며 썩어가게 된다. 사진은 XL케이틀린시뷰연구소(XL Catlin Seaview Survey)의 리챠드 베버스(Richard Vevers)가 갈색점액으로 뒤덮여 있는 대산호초의 상태를 촬영한 것.

 

대산호초의 백화현상은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산호들이 작은 광합성 조류를 배출하게 되는 과정에서 하얗게 변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조류를 배출한 산호는 물의 온도가 일정 시간이 지나도 내려가지 않으면 몇 주 후에는 죽게 된다. 이후 탈색되어 죽은 산호초는 갈색 점성물질에 뒤덮여 심한 악취를 내며 썩어가게 된다.

XL케이틀린시뷰연구소(XL Catlin Seaview Survey)의 리챠드 베버스(Richard Vevers) 연구원은 지난 2016년 5월, 백화현상이 진행된 지 두 달 만에 갈색점액으로 뒤덮여 있는 대산호초의 상태를 촬영한 바 있다. 당시 이를 보도한 ABC 뉴스의 사진자료에는 하얗게 탈색된 산호초보다 훨씬 더 흉물스럽게 변해버린 갈색 산호초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나타나 있다. 제임스 쿡 대학의 산호초연구센터(James Cook University's ARC Centre of Excellence for Coral Reef Studies)의 박사 과정에 있는 로라 리처드슨(Laura Richardson) 연구원은 이 상태를 비디오로 촬영하는 동안 “냄새가 얼마나 심한지, 마치 동물의 사체가 썩어가는 냄새 같았다”고 말했다.

세계자연보호협회 호주지부(WWF-Australia)의 리처드 렉(Richard Leck) 회원은 “이 사진들이야말로 대산호초 지역의 다른 여러 곳에서도 일어날 일들을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라며, “(호주의) 정치 지도자들이 이를 국가적 비상상황으로 취급해 줄 것”을 촉구했다.

 

종합(대산호초_자리돔 1).jpg

대산호초 백화현상의 부작용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산호초의 사멸과 물고기 개체수의 변화를 조사하면서, 죽은 산호초 근처에서 서식하는 자리돔(Damselfih)이 포식자의 냄새에 반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진은 탈색된 산호초 근처에서 돌아다니고 있는 네온자리돔(Neon Damselfish) 사진. (ABC 뉴스)

 

석탄 사용 줄이고

광산 개발 자제해야

 

한편, 백화현상의 부작용을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들은 산호초의 사멸과 물고기 개체수의 변화를 조사하면서, 죽은 산호초 근처에서 서식하는 자리돔(Damselfih) 물고기가 자신을 잡아먹는 포식자의 냄새에 반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물고기들이 포식자의 접근을 알아차리는 데에는 냄새와 맛이 매우 중요한데, 죽은 산호초가 내뿜는 냄새가 자리돔의 자기 방어 기능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제임스쿡대학(James Cook University)과 스웨덴의 업샐라대학(University of Uppsala in Sweden)의 연구진들은 이러한 현상들을 설명하며 “지난 30여 년 동안 (호주) 대산호초 남부에 백화현상을 비롯한 여러 환경적 요인들이 대산호초의 생존에 심각한 타격을 입히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경제 분석에 따르면 대산호초의 백화현상은 연간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 급감과 만 개 이상의 일자리 감소를 초래하면서, 지역 경제에 10억 달러 이상의 손실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이는 호주연구소(the Australia Institute)가 3천명 이상의 중국인과 미국인, 영국인 방문객들과 기타 1,400명의 국내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통해 밝혀진 결과이다.

호주 연구소 관계자들 및 과학자들은 “석탄(이산화탄소)이 해수 온도 상승과 산호의 백화현상을 초래하는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목하면서, 호주 정부가 새로운 탄광 설립 정책을 세울 때 탄소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세울 것을 희망하고 있다. 호주연구소는 앞서 조사에 응한 국내 응답자의 3분의 2가 “새로운 탄광을 계속 개발할 경우 대산호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고 전했다.

호주연구소의 벤 오퀴스트(Ben Oquist) 대표이사는 “대산호초의 사멸을 방지하고 기후 변화를 해결하려면, 세계는 석탄 사용을 줄이기 시작해야 하고, 호주 정부는 추가 광산 개발 승인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옥희 기자 /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대산호초_백화현상).jpg (File Size:81.5KB/Download:26)
  2. 종합(대산호초_슬라임).jpg (File Size:82.7KB/Download:30)
  3. 종합(대산호초_자리돔 1).jpg (File Size:88.3KB/Download:24)
  4. 종합(대산호초_자리돔 2).jpg (File Size:21.3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01 호주 사커루즈, 일본에 0-2 완패...러시아 행 ‘불투명’, 일본은 ‘확정’ 톱뉴스 17.09.04.
5000 호주 “동성결혼이 세계적 대세…?” 톱뉴스 17.09.04.
4999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약세, 호주 달러 대비 가장 낮은 환율 기록 NZ코리아포.. 17.09.05.
4998 뉴질랜드 2001년부터 NZ순수이미자 통계, 6만 명 정도 축소돼 산출 NZ코리아포.. 17.09.05.
4997 뉴질랜드 외딴 바위섬에 갇혔다가 구조된 30대 NZ코리아포.. 17.09.05.
4996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시장의 열기, 다른 지역으로 이동 NZ코리아포.. 17.09.05.
4995 뉴질랜드 “죽은 고래 사체 잘라간 범인은?” NZ코리아포.. 17.09.05.
4994 뉴질랜드 하와이에 거주하는 NZ여성, 3쌍둥이 출산 중 사망하자 모금운동 벌어져 NZ코리아포.. 17.09.05.
4993 호주 호주, ‘살인 감기’에 깊은 시름…감기 환자 급증 톱뉴스 17.09.05.
4992 호주 이중국적 파상공세 노동당에 토니 애벗 일격 톱뉴스 17.09.05.
4991 호주 쇼튼, 영국 국적 취소 문건 공개… 조이스 부총리 이중국적 파상공세 가중 톱뉴스 17.09.05.
4990 호주 RBA 기준금리 1.5% 13개월째 동결…달러화도 하락세 톱뉴스 17.09.05.
4989 호주 호주 2분기 경상적자 95.6억 달러 기록…예상 앞질러 톱뉴스 17.09.05.
4988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 세계 순위 상당히 떨어져 NZ코리아포.. 17.09.06.
4987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차량 절도가 가장 많은 도시는 ? NZ코리아포.. 17.09.06.
4986 뉴질랜드 “NZ, 남미 5위와 러시아 월드컵 플레이오프 치른다” NZ코리아포.. 17.09.06.
4985 뉴질랜드 2년 밖에 안남은 아메리카스 컵 - 뉴질랜드 아직 준비된게 없어.... NZ코리아포.. 17.09.06.
4984 뉴질랜드 헬렌 클락,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여성 3위 NZ코리아포.. 17.09.07.
4983 뉴질랜드 1만 천 5배회에 이르는 번개가 어제 뉴질랜드에 떨어졌다. NZ코리아포.. 17.09.07.
4982 뉴질랜드 다단계식 폰지 사기, 540만 챙긴 범인 붙잡혀 NZ코리아포.. 17.09.07.
4981 뉴질랜드 뉴질랜드,세계에서 세 번째로 아름다운 나라 NZ코리아포.. 17.09.07.
4980 호주 주택시장, 2012년 이래 가장 저조한 봄 시즌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9 호주 스트라스필드 공원, ‘Adventure Playground’ 개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8 호주 노스 시드니 해군 잠수함 기지, 150년 만에 개방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7 호주 RBA, 경기 회복세 불구하고 기준금리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6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시드니 둔화 속 호바트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5 호주 동부 및 남부 지역, 올 여름 산불 위험성 크게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4 호주 시드니의 높은 주택 가격... ‘모기지’에 필요한 수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3 호주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지지-반대 계층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2 호주 취업시장의 ‘호주인 우선’? 일부 기업 ‘400 비자’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1 호주 ‘센서스 2016’- 시드니 외곽, 해외 출생 거주민 없는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0 호주 NSW 주 연립 정부, 집권 후 91억 달러의 자산 매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69 호주 ‘THE’ 대학평가, 호주 6개 대학 100위권 내 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68 호주 사커루즈, 조 3위로 험난한 PO 직면…사우디는 본선핼 톱뉴스 17.09.07.
4967 호주 ‘핸슨 부르카 깜짝 쇼' 파동 속 상원 복장 규정 도입 움직임 톱뉴스 17.09.07.
4966 호주 호주 판 살인 독감에 보건부 ‘전전긍긍’…양로원 관계자 감기주사 의무화 검토 톱뉴스 17.09.08.
4965 호주 북한 도발 우려 속 시드니 대 학자의 궤변 논란 톱뉴스 17.09.08.
4964 호주 호주-한국 국방장관 대담… “북 제재▪압박 강화” 한 목소리 톱뉴스 17.09.08.
4963 호주 "복지수당으로 마약·술 안돼"…호주, 현금 대신 카드로 톱뉴스 17.09.08.
4962 호주 호주-동티모르, 영해권 전면 재협상 타결 톱뉴스 17.09.08.
4961 호주 CBA "호주달러 전망치 상향…연말 0.8달러" 톱뉴스 17.09.08.
4960 호주 "호주, 잠재적 성장률 침체…2019년까지 금리동결" 톱뉴스 17.09.08.
4959 호주 ‘민영화’ 강공 드라이브 NSW주정부, 국유지 90억 달러 이상 매각 톱뉴스 17.09.08.
4958 호주 한인 건축가 에릭김, 시드니 디자인 어워드 은상 수상 ‘화제’ 톱뉴스 17.09.08.
4957 호주 최선의 감기 예방책 톱뉴스 17.09.08.
4956 호주 호주 의대생, “의대 입학 정원 축소하라” 톱뉴스 17.09.08.
4955 호주 친환경 에너지 주택이 궁금하다면, 톱뉴스 17.09.08.
4954 호주 호주 삶을 찰칵, ‘오스트레일리안 라이프’ 톱뉴스 17.09.08.
4953 호주 봄마중 나갈까, 캔버라 꽃축제 ‘플로리에이드’ 톱뉴스 17.09.08.
4952 뉴질랜드 스키장에서 하산하던 버스 사고로 어린이 다쳐 NZ코리아포.. 17.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