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총리 재임).jpg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전 재무장관이 자유당 새 대표로 선출, 집권 여당 당수로 총리에 취임하면서 정계의 리더십 부재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2007년 케빈 러드(Kevin Rudd. 노동당) 이후 현재까지 불과 10여년 사이 총리는 6차례나 교체됐다. 사진은 제12대 총리로 최장 기간 재임(5,882일) 기록을 갖고 있는 로버트 멘지스 경(Sir Robert Menzies. 자유당).

 

케빈 러드(노동당) 이후 모리슨(자유당)까지, 역대 평균 재임보다 짧아

 

리더십 불안은 현대 호주 정치에서 하나의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일까?

지난 8월 말, 수면 위로 부상된 ‘자유당 내전’이 1, 2차 당권 투표 끝에 스콧 모리슨을 수장으로 선출하면서 막을 내렸다. 하지만 지난 1996년부터 2007년 연방 총선까지 자유-국민 연립 집권 여당을 이끌었던 존 하워드(John Howard) 총리에 이어 노동당(Kevin Rudd 총리)이 정권을 잡은 이래, 지난 11년 사이 호주 총리는 무려 여섯 차례나 바뀌었다.

연방 총선에서 승리해 총리 자리에 오른 이들도 있지만 절반 이상은 각 당 대표의 집권에 도전해 총리로 등극한 경우였다.

2007년 총선에서 12년간 이어진 자유-국민 연립 정부를 무너뜨리고 노동당 승리를 이끈 케빈 러드(Kevin Rudd)는 첫 임기를 마치기 얼마 전인 2010년, 자신이 발탁한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 부총리의 당권 도전에서 패하며 총리 자리를 내주었다. 이후 길라드는 2010년 총선에서 승리, 임기를 이어갔으나 2013년 6월 러드의 대표직 도전에서 패해 자리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러드 총리는 재취임한 3개월 후 치러진 총선에서 패해 자유-국민 연립에 정권을 내주어야 했다. 2013년 9월, 총선 승리로 28대 총리 자리에 오른 토니 애보트(Tony Abbott) 또한 2년 남짓 재임한 가운데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의 당권 도전에서 밀려났다.

2013년 총선 직전, 야당이었던 자유당 대표 경선에서 애보트와 맞붙은 턴불은 1표 차이로 대표 자리를 꿰차지 못했으나 2년여 후 2015년 9월14일 밤, 애보트의 지지도 하락을 틈탄 복수전(?)에서 당내 의원 54명의 지지를 받아 44표에 그친 애보트를 물리치고 새 대표 및 29대 총리로 취임했다.

집권 이후 턴불 총리는 잠시 탄탄한 지지도를 이어갔으나 곧이어 하락세로 돌아서 2016년 총선에서는 노동당의 공세를 간신히 막아냈으며, 2기 임기 이후에는 이렇다 할 정책을 내놓지 못한 채 속절없이 무너지는 자유당의 지지기반을 바라보아야 했다.

이런 가운데 자유당 내에서 턴불 총리의 리더십 문제가 거론됐고 그 중심은 애보트 전 총리, 그와 함께 보수 강경 인사로 구분되는 피터 더튼(Peter Dutton) 내부무 장관이었다. 사실 이번 당권 경쟁의 배경에는 토니 애보트 전 총리를 비롯한 당내 보수 진영이 자리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이들은 호주 보수 미디어를 등에 업고 있었다.

이 와중에서 턴불은 1차 당권 투표에서 45대38로 더튼의 도전을 막아냈지만 더튼은 이에 굴하지 않고 상황이 허락되면 재도전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당내 분위기를 파악한 턴불은 명예로운 퇴진을 고심하게 됐고, 자신의 지지자인 스콧 모리슨을 내세운 것으로 파악된다. 퇴진을 하되 모리슨을 내세워 더튼을 앞세운 애보트와 대리전을 치른 것이고, 결국은 애보트의 설욕전에 찬물을 끼얹은 셈이다.

 

역대 총리 재임기간 1,181일

2000년대 들어 ‘단명’

 

애보트를 밀어내고 총리 자리에 오른 턴불의 재임 일수는 1,074일이다. 호주의 6개 식민 정부가 하나의 연방으로 탄생된 1901년, 초대 총리 자리에 오른 에드먼드 바턴 경(Sir Edmund Barton. 996일 재임) 이후 역대 총리들의 재임 기간을 기준으로 턴불의 재임 일수를 보면, 중간 재임기간(899일)보다는 길지만 평균 재임기간(1,161일)에는 미치지 못한다. 일부 총리들의 장기 집권이 있었음을 감안하면, 평균 재임기간을 기준으로 특정 인사의 임기를 판단하는 것에 다소 무리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지난 2007년 케빈 러드 이후 지난 8월24일 말콤 턴불까지 5명(러드의 재집권으로 실질적으로는 4명) 총리의 평균 재임 기간은 783일이다. 이는 분명 중간 재임기간은 물론 평균 재임 일수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최근 호주 정계의 ‘불안한 리더십’이 도마에 오른 것은 바로 이런 배경에서이다.

한편 초대 총리인 바턴 경 이후 가장 장수한 총리는 대부분 보수 진영에서 나왔다. 최장 기간 재임은 12대 총리인 로버트 멘지스 경(Sir Robert Menzies. 자유당, 1949년 12월19일-1966년 1월26일)으로 5,882일에 달하며, 25대 총리인 존 하워드(John Howard. 자유당, 1996년 3월11일-2007년 12월3일)가 4,284일로 두 번째 장수 총리였다. 이외 22대 총리인 말콤 프레이저(Malcolm Fraser. 자유당, 1975년 11월11일-1983년 3월11일) 2,677일, 10대 총리인 조셉 라이온스(Joseph Lyons. 1931년 노동당으로 출발해 그해 United Australia Party 창당, 1932년 1월6일-1939년 4월7일) 2,648일, 8대 총리인 스탠리 브루스(Stanley Bruce. 국민당, 1923년 2월9일-1929년 10월22일) 2,447일, 7대 총리인 빌리 휴즈(Billy Hughes. 노동당-국민당-무소속-호주연합당-자유당, 1915년 10월27일-1923년 2월9일) 2,183일이다.

이와 달리 노동당은 보수 진영에 비해 집권 횟수가 적고 총리 재임 기간도 짧았다. 노동당 수장으로 가장 오랜 기간 총리에 재임한 인물은 23대 밥 호크(Bob Hawke. 1983년 3월11일-1991년 12월20일)로 3,206일 동안 총리 자리에 있었으며 1천 일 이상 장기(?) 재임한 총리는 16대 벤 치플리(Ben Chifley, 1945년 7월13일-1949년 12월19일. 1,620일), 24대 폴 키팅(Paul Keating, 1991년 12월20일-1996년 3월11일. 1,543일), 14대 존 커틴(John Curtin, 1941년 10월7일-1945년 7월5일. 1,367일), 5대 앤드류 피셔(Andrew Fisher, 1972년 12월5일-1975년 11월11일. 1,152일), 27대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 2010년 6월24일-2013년 6월27일. 1,099일), 21대 고프 휘틀럼(Gough Whitlam, 1972년 12월5일-1975년 11월11일. 1,071일) 등 6명, 이외에는 1천 일을 넘기지 못했다.

 

■ 역대 호주 총리 재임 일수

-Sir Edmund Barton : 996일

-Alfred Deakin : 216일

-Chris Watson : 113일

-George Reid : 321일

-Alfred Deakin : 1,227일

-Andrew Fisher : 201일

-Alfred Deakin : 331일

-Andrew Fisher : 1,152일

-Joseph Cook : 450일

-Andrew Fisher : 405일

-Billy Hughes : 384일

-Billy Hughes : 95일

-Billy Hughes : 2,183일

-Stanley Bruce : 2,447일

-James Scullin : 806일

-Joseph Lyons : 2,648일

-Sir Earle Page : 19일

-Robert Menzies : 855일

-Arthur Fadden : 40일

-John Curtin : 1,367일

-Frank Forde : 7일

-Ben Chifley : 1,620일

-Sir Robert Menzies : 5,882일

-Harold Holt : 692일

-John McEwen : 22일

-John Gorton : 1,155일

-William McMahon : 636일

-Gough Whitlam : 1,071일

-Malcolm Fraser : 2,677일

-Bob Hawke : 3,206일

-Paul Keating : 1,543일

-John Howard : 4,284일

-Kevin Rudd : 934일

-Julia Gillard : 1,099일

-Kevin Rudd : 83일

-Tony Abbott : 727일

-Malcolm Turnbull : 1,074일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총리 재임).jpg (File Size:42.7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51 뉴질랜드 뉴질랜드 교육 시스템, 미래 대비 평가 세계 1위 NZ코리아포.. 17.09.27.
4850 뉴질랜드 경찰, 뇌물 공여 부정 행위 혐의자의 8백 6십만 달러 재산 억류 NZ코리아포.. 17.09.28.
4849 뉴질랜드 뉴질랜드, 어린 십대 범죄 급증하고 있어 NZ코리아포.. 17.09.28.
4848 호주 9월 넷째 주 경매, 낙찰률 및 매물 등록주택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4847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안전’ 관련 설문조사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4846 호주 “높은 가계부채 감안, 기준금리 인상에 신중 기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4845 호주 동성결혼 우편조사, 찬-반 진영간 폭력 양상 발생...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4844 호주 Spring Season... Best Things To Do in Leura Village, Blue Mountains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4843 호주 “1년에 음주량 1리터 줄이면 간암 발병률 15%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4842 호주 브리즈번 대법원, 고(故) 반은지씨 살해범 심리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4841 호주 백인 우월주의자들, 동성결혼 반대-인종 혐오 표방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4840 호주 Want a job? 보건-전문직 서비스 부문 일자리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4839 호주 대도시-지방학교 학생들, 학업성적 격차 더욱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9.28.
4838 호주 파이필드 통신장관 “미디어 개혁법은 시대적 요구” 톱뉴스 17.09.28.
4837 호주 동성결혼 반대단체 ‘탄압’과 ‘박해’ 우려 제기 톱뉴스 17.09.28.
4836 호주 “호주가 ‘균등’에 뒤처져서는 안된다”…빌 쇼튼 동성결혼 지지 재차 호소 톱뉴스 17.09.29.
4835 호주 로켓맨 통치 북한 완전파괴 트럼프 발언에 호주 정치권 ‘긴장’ 톱뉴스 17.09.29.
4834 호주 [9.23 NZ 총선] 자신다 신드롬’ 노동당 “정권 탈환하나?” 톱뉴스 17.09.29.
4833 호주 [9.23 NZ 총선] 국민당 역대 최고 득표율(46%)로 58석 확보…과반의석 3석 부족 톱뉴스 17.09.29.
4832 호주 동성결혼 반대 토니 애벗 전 총리 “내우외환” 톱뉴스 17.09.29.
4831 호주 한국 방문 빌 쇼튼- 페니 웡, 이낙연 총리와 회담 톱뉴스 17.09.29.
4830 호주 한국방문 노동당 빌 쇼튼, 페니 웡 “한반도 상황, 초당적 대처” 강조 톱뉴스 17.09.29.
4829 호주 살인 독감 이번에는 ACT 주부 목숨 앗아가 톱뉴스 17.09.29.
4828 호주 미화 대비 호주 달러 하락세 예고 톱뉴스 17.09.29.
4827 호주 38년 빈 서리힐즈 흉가 테라스하우스 ‘160만 달러’ 매각 톱뉴스 17.09.29.
4826 호주 초보자에게 유용한 셀프 인테리어 팁 톱뉴스 17.09.29.
4825 호주 “현실성 결여된 재생 에너지 정책…?” 톱뉴스 17.09.29.
4824 호주 [인터뷰] ‘임정연 한복’ 시드니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정소윤씨 톱뉴스 17.09.29.
4823 호주 애보리진 문화 속으로! ‘샌드 송’ 톱뉴스 17.09.29.
4822 호주 휘영청 밝은 달, 4일은 추석 톱뉴스 17.09.29.
4821 호주 세계적 가스 생산국의 가스 수급난 톱뉴스 17.09.29.
4820 호주 씨티그룹, 호주 성장세 상향 전망 속 금리동결 예측 톱뉴스 17.09.29.
4819 호주 2016-17 연방예산 적자 규모, 4년 최저치 톱뉴스 17.09.29.
4818 호주 브랙퍼스트 포인트 3베드룸 하우스, 3년만에 114만 달러 시세 차익 톱뉴스 17.09.29.
4817 뉴질랜드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오클랜드에서만 450건 발생 NZ코리아포.. 17.09.29.
4816 뉴질랜드 불순한 목적 뉴질랜드 방문객 증가 NZ코리아포.. 17.09.29.
4815 뉴질랜드 틴더 등 소셜 미디어 앱 가입 시, 개인 정보 제공 각별히 주의 NZ코리아포.. 17.10.02.
4814 뉴질랜드 한국 골프계의 별들~ 뉴질랜드 필드를 누비다 NZ코리아포.. 17.10.02.
4813 뉴질랜드 1차 세계대전 참전 키위 군인들이 만든 영국의 자이언트 키위 NZ코리아포.. 17.10.02.
4812 뉴질랜드 브룩 헨더슨 우승- LPGA 맥케이슨 뉴질랜드 우먼스 오픈 NZ코리아포.. 17.10.02.
4811 호주 호주서 탄생된 김정은 햄버거: ‘김정얌냠 버거(Kim Jong Yum burger) 톱뉴스 17.10.03.
4810 호주 ‘동성애 상징곡’ Same Love의 맥콜리모어 호주 공연료 전액 기부 톱뉴스 17.10.03.
4809 뉴질랜드 아마존 진출하면, NZ 소매업 상당한 타격 예상 NZ코리아포.. 17.10.03.
4808 뉴질랜드 어린 학생들이 교사 폭행 및 폭력, 증가 NZ코리아포.. 17.10.03.
4807 뉴질랜드 교통사고로 죽은 소녀의 장례식에 나타난 테디 베어 달린 오토바이들 NZ코리아포.. 17.10.03.
4806 뉴질랜드 상이군인 올림픽인 ‘인빅터스 대회’, NZ선수들 메달 11개 획득 NZ코리아포.. 17.10.03.
4805 뉴질랜드 화산 분화 임박한 바누아투 원조에 나선 NZ공군 NZ코리아포.. 17.10.03.
4804 뉴질랜드 2023년 “아시안이 마오리 인구 추월한다” NZ코리아포.. 17.10.03.
4803 호주 [AFL 최종결승] 리치먼드, 애들레이드 격파…37년만의 우승 감격 톱뉴스 17.10.04.
4802 호주 “동성결혼, 세계적 대세일까…?” 톱뉴스 17.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