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Lockout Laws_new 1).jpg

지난 7월 말, 의회 위원회를 구성해 Lockout Laws 검토한 NSW 주 정부가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이 법의 폐지안을 다음 달 의회에 상정한다는 방침이다. 주 정부는 올 연말 안에 이 법의 폐지를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Lockout Laws 폐지를 외치는 민간단체 ‘Keep Sydney Open’의 도시 행진. 사진: Flickr / RobEllis

 

킹스크로스는 예외... 베레지클리안 정부, 내달 폐지안 상정

 

NSW 주정부가 시드니 도심 및 일부 지역에 적용돼오던 주류 제공업소의 영업시간 제한 규정 ‘Lockout Laws’ 검토를 지난 7월 말부터 시작한 가운데, 이 검토를 맡은 의회 위원회가 “시드니 도심의 활기찬 분위기를 회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이견을 제시함으로써 올해 안에 규제가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의회 위원회는 다만 킹스크로스(Kings Cross)에 대해서는 “이 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도 될 만큼 충분히 변화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주류 제공업소의 제한된 영업시간을 그대로 유지키로 했다.

 

앞서 주 정부는 지난 7월 의회 위원회를 구성, ‘Lockout Laws’에 대한 각계의견을 접수하고 이법의 지속적인 적용 여부 검토하기 시작했으며, 당시 위원회에는 800건이 넘는 의견들이 접수된 바 있다.

의회 위원회는 이번 검토에서 시드니 CBD(Central Business District)와 옥스포드 스트리트(Oxford Street)의 경우 활기 있는 도시의 밤 분위기를 조성하고, 시드니 야간 경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이유로 영업시간 제한 조치를 철회할 것을 권고했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는 위원회의 권고에 조만간 답한다는 방침이다. 주 총리는 “우리는 언제나 지역사회 안전과 야간 경제 부양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의 한 관계자는 “주 정부 내각에서 의회 위원회의 권고안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것이 채택될 경우 새로운 규제가 필요할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이번에 검토를 거친 ‘Lockout Laws’ 폐지안은 다음 달 의회에 상정될 것으로 보인다.

 

종합(Lockout Laws_new 2).jpg

현재 Lockout Laws 적용 구역. 킹스크로스(Kimhs Cross. 붉은 색) 지역에는 이 법의 적용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검토에서 의회 위원회는 평일 자정까지로 제한됐던 고농도 알코올의 제공 시간을 연장하고(유리 잔 사용 등 규제 완화 포함), 현재 밤 11시까지로 못 박았던 일반 주류 판매점(bottle shop)의 영업시간 또한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는 12시, 일요일은 11시까지로 1 시간을 추가 연장할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소규모 주류제공 업소인 스몰 바(small bar)의 경우에도 고객 수용 인원을 100명에서 130명까지 확대 허용하며, 영업시간 제한도 새벽 2시까지로 연장하라고 제안했다.

이번 의회 위원회는 자유당, 국민당, 노동당, 녹색당, 한나라당(One Nation) 의원들로 구성됐으며, 자유당 소속의 케빈 코널리(Kevin Conolly) 상원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든 의원들이 시드니 도심 지역(CBD)의 ‘Lockout Laws’ 폐지에 찬성했다.

코널리 의원은 최근 NSW 주 정부가 낙태 허용 법안을 상정한 것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난한 바 있으며, ‘Lockout Laws’과 관련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공공 안전이기에 이 법의 철회를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의회 위원회 의장을 맡은 자유당의 나탈리 워드(Natalie Peta Ward) 상원 의원은 “5년 전 이 법의 도입은 시기적절했으며, 이로써 음주폭력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하면서도 “하지만 이 법의 시행 이후 시드니는 너무 많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워드 의원은 “이제 시드니는 지난 2014년 이전의 모습을 볼 수 없다”며 “도시 안전과 활기 넘치는 야간 경제는 상호 배타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말로 이 법의 폐지를 지지했다.

다만 워드 의원은 “시드니의 밤 문화가 술에 의존해서는 안 되며, 모든 시민들이 안전하고 활기찬 분위기에서 도심의 밤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합(Lockout Laws_new 3).jpg

Lockout Laws 규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 킹스크로스 밤거리. 술이 취한 이들의 폭력이 종종 벌어지곤 한다.

 

‘Australian Hotels Association’ NSW 지회는 의회 위원회가 내놓은 보고서에 대해 “시드니의 밤 문화를 풍요롭게 하는 상식적 권고안”이라고 환영했다.

반면 위원회 검토 당시 이 법의 유지를 강하게 촉구했던 세인트 빈센트 병원(St Vincent's Hospital)의 응급서비스 의료진들은 “이 법이 폐지될 경우 2014년 이전의 ‘잔인한 폭력’ 상황이 재현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병원 응급서비스 책임자인 폴 프레이스(Paul Preisz) 부교수는 “이 법이 도입되기 전, 세인트 빈센트 병원 응급실은 (음주폭력 환자들로 인해) 매우 끔찍한 곳이었다”고 언급한 뒤 “우리가 지속적으로 목격하는 상황 중 하나는 누군가의 삶을 바꾸어놓는 끔찍한 음주폭력이었다”면서 “폭력으로 목숨을 잃은 청소년을 다시 보는 것을 누구든 원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 병원 자료에 따르면 ‘Lockout Laws’ 시행 이후 2017-18년까지 세인트 빈센트 병원 응급실을 찾는 급성 알코올 중독 환자는 25%가 감소했다.

 

이번 의회 위원회 부의장을 맡았던 무소속 알렉스 그린위치(Alex Greenwich) 의원은 주 정부가 가능한 빨리 이 권고안을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그린위치 의원은 킹스크로스에서도 이 법이 폐지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반면 노동당은 시드니 도심(CBD)에 영업시간 제한이 해제되는 것에 대해서는 환영하면서도 킹스크로스 지역은 지속적으로 이 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Lockout Laws_new 1).jpg (File Size:91.7KB/Download:15)
  2. 종합(Lockout Laws_new 2).jpg (File Size:53.1KB/Download:19)
  3. 종합(Lockout Laws_new 3).jpg (File Size:128.6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01 호주 시드니 ‘공유자전거’ 시스템 도입 3개월... ‘난관’ 봉착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700 호주 “고령 근로자 고용 차별, 호주 경제성장 저해 초래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699 호주 <Lincoln in the Bardo> 작가 선더스, 올해 ‘맨부커상’ 영예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698 호주 ‘기부 천사’ 빌 게이츠, 거액 기부로 ‘최고 부자’ 자리 ‘위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697 호주 Top 10 drives around the Northern Territory(2)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696 호주 웨인스타인 성추행 파문? “헐리우드만의 문제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695 호주 정부 보조금 수혜 자료에서 드러난 ‘가난의 대물림’...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694 호주 시드니 도심 소매업자들, 크리스마스 앞두고 ‘한숨’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693 호주 “일요일 근무수당 삭감 조치 존속” 톱뉴스 17.10.19.
4692 호주 <10.15 NSW주 보궐선거>국민당, 힘겹게 지역구 수성…지지율 크게 이탈 톱뉴스 17.10.19.
4691 호주 호주-한국, 외교 국방 2+2에 북한 ‘반발’…호주, 북한 위협 일축 톱뉴스 17.10.19.
4690 호주 대입 지망 해외 유학생 영어 요건 강화 톱뉴스 17.10.19.
4689 호주 북한 위협 ‘호주 정조준’… 호주정부 “북한 압박 가중할 것” 톱뉴스 17.10.19.
4688 호주 <뉴스폴>자유당연립-노동당 지지율 “정체’ 톱뉴스 17.10.19.
4687 호주 호주 유엔인권이사국 진출… “북한인권 유린 실태 부각시킬 것” 톱뉴스 17.10.19.
4686 호주 Ch9 ‘투데이’ 진행자 리사 윌킨슨 ‘하차’…Ch10 ‘더 프로젝트’로 톱뉴스 17.10.19.
4685 호주 메디케어 정보 접속 규정 강화 움직임 톱뉴스 17.10.19.
4684 호주 퍼스 출발 ‘에어 아시아’ 급강하 소동 속 회항…승객들 공포, 분노 톱뉴스 17.10.19.
4683 호주 <연방정부> 청정 에너지 정책, ‘에너지 안정 대책’으로 대체 톱뉴스 17.10.19.
4682 호주 사커루즈 사령탑 포스테코글루 감독 ‘중국 행…?’ 톱뉴스 17.10.19.
4681 호주 호주 부동산, 지상 최고의 투자 톱뉴스 17.10.19.
4680 뉴질랜드 뉴질랜드 기온, 이산화탄소 수치, 해수면 모두 높아져 NZ코리아포.. 17.10.20.
4679 뉴질랜드 “산비둘기들 총으로 쏴 죽인 범인은?” NZ코리아포.. 17.10.20.
4678 뉴질랜드 88년 만에 10월 낮 최고기온 수립한 MT. Cook NZ코리아포.. 17.10.20.
4677 호주 2017 민영 라디오 시상식 ‘싹쓸이’ 2GB 청취율도 석권 톱뉴스 17.10.22.
4676 뉴질랜드 어렵게 구조된 호주 등반객들 “지름길 잘못 선택했다” NZ코리아포.. 17.10.23.
4675 뉴질랜드 “부모 맞아?” 경찰 어이없게 만든 15세 소년의 음주운전 사고 NZ코리아포.. 17.10.23.
4674 뉴질랜드 범고래 등장, 한바탕 대피 소동 벌어진 핫 워터 비치 NZ코리아포.. 17.10.23.
4673 뉴질랜드 미망인 위해 잔디 마저 깎아준 경찰관들의 선행 NZ코리아포.. 17.10.24.
4672 뉴질랜드 지진으로 망가진 수영장 다시 만든 학생, 학부모들과 지역 주민들 NZ코리아포.. 17.10.24.
4671 뉴질랜드 제니 살레사 의원, 최초의 통가 출신 내각 장관에 임명돼 NZ코리아포.. 17.10.26.
467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9월 이후 둔화세, 다소 회복...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4669 호주 채스우드 투신소동 남성, 전 여자친구 살해 혐의 기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4668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되면, 동성커플 웨딩 장소 제공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4667 호주 호주의 ‘국민차’ 브랜드, ‘홀든 자동차’ 생산 막 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4666 호주 이성과의 관계를 넘어 ‘자유와 독립’을 선택하는 여성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4665 호주 시드니의 미래... 무인자동차-말하는 쓰레기통-자기부상열차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4664 호주 NSW 주 정부, 광역시드니 ‘3개 도심’ 개발안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4663 호주 “연방 경찰, 대테러 집중... 마약밀매 단속에는 소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4662 호주 ‘센서스 2016’- 각 도시 및 지역별 인구 이동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4661 호주 ‘센서스 2016’- 직종 변화... ‘뷰티’ 부문 일자리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26.
4660 뉴질랜드 지나가던 할머니 물고 늘어졌던 펫 불독, 주인은 벌금형 받아 NZ코리아포.. 17.10.27.
4659 뉴질랜드 하구 횡단 중 보트 전복으로 물에 빠진 남성 3명 “구명조끼는 달랑 하나” NZ코리아포.. 17.10.29.
4658 뉴질랜드 휴일 아침에 가족들 단잠 깨운 불청객 ‘물개’ NZ코리아포.. 17.10.30.
4657 뉴질랜드 주택 개발로 과일 야채 재배지 사라질까봐 우려 NZ코리아포.. 17.10.30.
4656 뉴질랜드 오클랜드 남부 농장 지대, 50만 명 수용 새도시 건설 계획 NZ코리아포.. 17.10.30.
4655 호주 NSW-VIC 주의회 ‘안락사’ 허용 법안 검토 본궤도 톱뉴스 17.10.30.
4654 호주 호주-한국, 외교 국방 2+2 13일 서울에서 개최 톱뉴스 17.10.30.
4653 호주 호주 유권자 2/3 동성결혼 우편투표 참여 톱뉴스 17.10.30.
4652 호주 북한, 호주연방의회에 공개서한 발송…PM “트럼프 비방 서한” 톱뉴스 17.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