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위 보호활동이 활발하지만 현 추세대로라면 향후 50년이면 키위가 멸종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키위 보호단체 관계자는 매년 2%가량씩 키위 숫자가 감소한다면서이 같은 상황에서는 100년이 될지 그 이상이 될지도 모르지만 보호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50년만에 키위가 멸종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각지에 서식하는 키위는 모두 68000여 마리로 추정되는데매년 1360여 마리가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개체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원인은 천적(predator)에 의해 사냥을 당하기 때문인데,그중 가장 큰 문제는 바로 개들로 인해 발생한다.

 

보호단체 관계자는개가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하면 대부분의 사람들는 미처 알지 못했다면서 크게 놀라곤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간 거주 영역이 키위 서식지 가까이까지 확대되면서 특히 개 문제가 커졌다면서, 1987년 베이 오브 아일랜즈의 와이탕기 포레스트(Waitangi Forest)에서는 단 6주 동안 개 한마리가 500마리의 키위를 죽이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바로 두 달 전에도 코로만델 북부에서 송신기를 달고 다니다 죽은 채 발견된 8마리 키위 중 5마리가 개들에 의해 죽음을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관계자는 후각 능력이 뛰어난 개는 덩치가 작던 크던 모두 키위를 죽일 수 있으며 오히려 체구가 작은 개가 빽빽한 숲을 더 잘 헤집고 다녀 더욱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더 많은 사람들이 키위 보호를 위해 자발적으로 나서주거나 모금에 동참해야 하며개를 키위 서식지에 들여보내지 않도록 주의하고 특히 작업용 개는 키위를 보호하는 훈련도 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15 뉴질랜드 카이코우라 “2019년 Airbnb의 유망 여행지로 선정돼” NZ코리아포.. 18.12.05.
3914 뉴질랜드 유리섬유 대신 양모로 ‘서핑 보드’ 만드는 NZ사업가들 NZ코리아포.. 18.12.05.
3913 뉴질랜드 호주 시드니 주택 가격, 한 해 동안 9.5% 하락, 뉴질랜드는 ? NZ코리아포.. 18.12.05.
3912 뉴질랜드 의사 부족, 야간에는 젊은 의사들이 응급실 지키는 경우 많아 NZ코리아포.. 18.12.05.
3911 뉴질랜드 마약 운반하던 브라질 출신 20대 여성, 6년 이상 징역형에 처해져 NZ코리아포.. 18.12.05.
3910 뉴질랜드 ‘TripAdvisor’ “오클랜드의 ‘The Grove’, 세계 유명 레스토랑으로 선정해” NZ코리아포.. 18.12.05.
3909 뉴질랜드 문재인 대통령 뉴질랜드 국빈 방문 일정 마쳐 NZ코리아포.. 18.12.04.
3908 뉴질랜드 뉴질랜드 유아, 권장 야채류 섭취 부족 NZ코리아포.. 18.12.04.
3907 호주 G20 회의 끝나도 달러-엔 '와일드카드'…호주 달러화 타격 예상​ 톱뉴스 18.12.03.
3906 호주 ‘호주 떠버리’ 앤소니 먼딘의 96초 대국민 사기극(?)…제프 혼에 1R KO패 톱뉴스 18.12.03.
3905 호주 시드니 사립학교, 재학생 모발폰 교실 반입 금지 조치 확산 톱뉴스 18.12.03.
3904 호주 시드니, 한달치 비가 하루에...."100년 만의 사건" 톱뉴스 18.12.03.
3903 뉴질랜드 하버 브리지에서 뛰어내린 남자, 운 좋게 살아 남아 NZ코리아포.. 18.11.30.
3902 뉴질랜드 오클랜드 “낙태 증가한 이유 중에는 주택난도…” NZ코리아포.. 18.11.30.
3901 뉴질랜드 고래 집단 좌초 사건 또 발생, 이번엔 채텀섬에서… NZ코리아포.. 18.11.30.
3900 뉴질랜드 환자가 끓는 물 끼얹어 화상입은 정신병원 간호사 NZ코리아포.. 18.11.30.
3899 호주 NSW 주 인구 증가 관련, “경고버튼 함부로 눌러선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3898 호주 빠른 인구증가 속도... 2066년까지 4천200만 명 넘어설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3897 호주 ‘Sydney is full’? “주 정부는 ‘과다 이민자’ 논할 때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3896 호주 Australia's new luxury train- ‘Great Southern’(Adelaide-Brisbane)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3895 호주 Drive Car of the Year 2018- 올해의 자동차에 ‘Toyota Camry Hybrid’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3894 호주 작아지는 주거지... 신규 주택 내부 면적, 22년 만에 ‘최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3893 호주 시드니 동-북부 해안을 잇는 80km 길이의 ‘워킹 트레일’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3892 호주 이스트우드 공용주차장, ‘단기 주차 서비스’로 운영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3891 호주 사라지는 여흥 명소들... 킹스크로스 ‘World Bar’ 폐쇄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3890 호주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9.
3889 뉴질랜드 NZ 마약 주 반입 루트 “중국에서 미주 국가들로 바뀌고 있다” NZ코리아포.. 18.11.28.
3888 뉴질랜드 아홉살 난 자폐증 아들 둔 아버지, 맥도날드에서 보조견 때문에 쫓겨나 NZ코리아포.. 18.11.28.
3887 뉴질랜드 125년 전 오늘 “NZ 여성들, 역사상 최초로 투표권 행사했다” NZ코리아포.. 18.11.28.
3886 뉴질랜드 암모니아 유출해 장어 2000여 마리 폐사시킨 냉장회사 NZ코리아포.. 18.11.28.
3885 뉴질랜드 스튜어트 아일랜드 메이슨 베이, 145마리 고래 좌초후 떼죽음 NZ코리아포.. 18.11.27.
3884 뉴질랜드 정부, 2020년에 3건의 국민 투표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고... NZ코리아포.. 18.11.27.
3883 뉴질랜드 뉴질랜드 운동신경 세포 질환 사망, 세계 평균보다 5배나 높아 NZ코리아포.. 18.11.27.
3882 뉴질랜드 부동산 대출 융자 규제, 이번 주 완화될 것으로 기대돼 NZ코리아포.. 18.11.26.
3881 뉴질랜드 일요일, 남섬 남쪽 섬 인근에서 5.8 지진 발생 NZ코리아포.. 18.11.26.
3880 뉴질랜드 합성대마초 입원환자 연간 2배 증가, 처벌 강화 법안 놓고 정당간 의견 차 NZ코리아포.. 18.11.26.
3879 호주 “노동당의 네거티브 기어링 혜택 축소 계획은 ‘핵폭탄’” 톱뉴스 18.11.25.
3878 호주 ASEAN 이슬람 회원국, 이스라엘 주재 호주대사관 이전 움직임에 ‘반발’ 톱뉴스 18.11.25.
3877 호주 사커루즈 ‘영원한 맏형’ 팀 카이힐 대표팀과 공식 작별 톱뉴스 18.11.25.
3876 호주 호주정부, 이민자 유입량 연 3만명 감축 움직임 톱뉴스 18.11.25.
3875 호주 “이민자 감축이 아니라 ‘적절한 인구증가 관리’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3874 호주 Political cartoons... 갈수록 미묘해지는 호주 정치 ‘풍자’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3873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NSW 주, 총생산 6천억 달러 벽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3872 호주 호주 유권자 46%, “무슬림 이민자 수용 제한 원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3871 호주 NSW 주, ‘시간제 주차’ 차량에 10분의 유예 시간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3870 호주 ‘마틴 플레이스’ 트리 점등으로 올 크리스마스 시즌 이벤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3869 호주 Drive Car of the Year 2018- Best Concept Car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3868 호주 호주는 세계 최고 도박지출국? ‘그렇다’에 ‘베팅’해도 좋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3867 호주 싱가포르 항공, ‘AirlineRatings’ 선정 ‘세계 최고 항공사’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3866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일부 지역 ‘초고밀도’ 개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