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파라마타 1).jpg

시드니 서부(western Sydney) 파라마타(Parramatta)의 상업용 공간 공실률이 이전의 멜번(Melbourne)를 앞서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새로 개발된 신규 건물이 늘어나고, 시드니 도심에 비해 낮은 임대료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사진은 파라마타 도심 지역.

 

새로 개발된 광장 등 신축 빌딩 많고 임대료 저렴, 업무 공간 수요 증가

 

시드니 제2도심인 파라마타(Parramatta)의 경우, 현재 활용되지 않는 상업 공간이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온라인 판 상업용 부동산 전문지 ‘Commercial Real Estate’가 내놓은 조사에 따르면 2018년 하반기 기간, 파라마타 지역 내 상업용 공간 공실 비율은 0.2%로, 이 비율이 0.1%에서 3.2%로 늘어난 멜번(Melbourne) 동부지역을 앞서 호주에서 비즈니스 집적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떠올랐다.

앞서 지난 2월19일, 호주 부동산 중개업체 ‘Ray White’는 부동산 관련 저널 ‘Between the Lines’에 게재한 ‘파라마타 CBD 상가 시장 개요’(Parramatta CBD Office Market Overview)에서 “최근 시드니 서부(western Sydney) 각 지역(suburb)의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가 완공되고 새로 단장된 건물과 상업용 공간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부터 올 1월까지 6개월 동안 사용 가능한 공간이 2만1,877스퀘어미터(sqm)로 줄어 이 지역 상업 공간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파라마타의 낮은 비즈니스 공실률은 시드니 도심 상업지구(Central Business District) 외 지역의 상업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프리미엄 사무실은 수요가 높아 빈 공간 비율이 1%에서 2018년 하반기에는 0.8%로 떨어졌다.

‘Ray White’ 사의 바네사 레이더(Vanessa Rader) 연구팀장은 “파라마타 CBD의 부동산 가격은 아직 시드니와 비교해 비교적 저렴한 편이며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와 사회기반시설이 개선되면서 새로운 투자자 및 구매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녀는 파라마타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대해 “폭풍전야와 같다”는 말도 덧붙였다. “27억 달러 규모의 파라마타 광장 재개발 프로젝트가 올해 말 완공될 예정으로, 8만 스퀘어미터의 사무공간이 추가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종합(파라마타 2).jpg

기존의 파라마타 광장에 상업용 고층타워를 건설하는 대규모 도시 재생 프로젝트로 몇 년 후 파라마타 CBD에는 많은 상업용 공간이 쏟아지게 된다.

 

파라마타 광장 재개발 프로젝트는 기존 광장 부지에 상업용 고층타워를 건설하는 대규모 도시 재생 프로젝트 중 하나로, 공사를 맡은 부동산 개발회사 ‘Walker Corporation’은 이곳에 4개의 건물을 건축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하나인 ‘Tower 4’는 올해 중순 완공 예정이다.

또 NAB 은행이 사용하기로 한 ‘Tower 3’은 2020년 후반 완공 예정이며, 이로써 4만6천 스퀘어미터의 상업 공간이 추가된다. 동시에 GPT Group이 건설하는 스미스 스트리트(Smith Street) 상의 상업용 빌딩마저 완공되면 비슷한 시기에 2만6천 스퀘어미터의 사무 공간이 더 늘어나게 된다.

여기에다 파라마타 웨스트필드(Westfield) 쇼핑센터를 소유한 ‘Scentre Group’이 웨스트필드 건물 위층에 11만2천 스퀘어미터의 사무공간을 추가하기 위해 4억9,200만 달러의 재개발 계획을 신청한 상태이다.

자산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올해 파라마타 부동산 시장에는 6만4천 스퀘어미터, 2020년에는 9만7천 스퀘어미터 이상, 2021년에는 7만4천 스퀘어미터의 새 사무실 공간이 추가되는 등 업무용 공간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Ray White’ 사 자료에 따르면 최고 등급과 이보다 낮은 등급의 상가 건물에 대한 자산소득은 2019년 6개월 동안 0.05% 감소해 각각 5.5%, 6.25%이다.

한 예로 아가일 스트리트(Argyle Street) 상의 한 상가건물은 2018년 11월 4천80억 달러에 판매돼 4.9%의 이득을 남겼다. 5천200 스퀘어미터 공간의 이 상가는 해외 투자자가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낮은 등급의 상가는 파라마타 부동산 시장에 진입하려는 많은 투자자들이 구매 기준을 낮춰 4.25%의 수익으로 판매되고 있다.

한편 ‘Ray White Commercial NSW’의 조셉 아사프(Joseph Assaf) 웨스턴 시드니 지역 부사장에 따르면 상업 공간 임대료는 아직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임대료 붐이 다소 가라앉았지만 지난 12개월 동안 최고 등급 상가 건물의 임대료 수익률은 2.44%가 성장해 1 스퀘어미터 당 630달러가 됐다.

 

종합(파라마타 3).jpg

부동산 전문가들은 파라마타에 지속적인 신규 밀 재개발 공사가 진행, 업무용 공간 공급이 늘어나고 있지만 시드니 CBD에 비해 저렴한 임대료로 이 지역 상업 공간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고 말한다. 사진은 지난 2017년 파라마타 광장에 새로 완공된 상업용 빌딩.

 

아사프 부사장은 “지난 5년간 상업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최고 등급의 상업용 공간이 추가되면서 임대료 한계가 무너진 게 그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5년간 최고등급 및 낮은 등급의 상가 공간 모두 연간 5%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아사프 부사장은 “파라마타의 장점은 시드니 CBD와 비교해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것”이라며 “현재 시드니 최고등급 상업 공간의 경우 1 스퀘어미터 당 평균 1천 달러”라고 말했다.

호주 최대 상업 부동산 기업인 ‘CBRE’의 폴 배든호스트(Paul Badenhorst) 상가 임대 책임자도 “시드니 도심을 벗어난 곳에 사무실을 구하고자 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며 같은 의견을 전했다. 그는 이어 “이런 요인으로 파라마타에는 공공기관 및 개인 투자 또한 늘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파라마타 1).jpg (File Size:68.9KB/Download:21)
  2. 종합(파라마타 2).jpg (File Size:126.4KB/Download:25)
  3. 종합(파라마타 3).jpg (File Size:86.8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51 호주 ‘퍼스 민트’, 금으로 보증되는 암호 화폐 발행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50 호주 호주 ‘수중분만’ 증가... 분만 시간 단축, 고통 3배 절감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9 호주 ‘트립어드바이저’ 주관, 여행자가 뽑은 ‘Top 10’ 호텔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8 호주 퀸즐랜드 내륙 오지의 고스트타운 ‘베투타’, 다시 살아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7 호주 시드니 부동산 가격 ‘세계 ‘2위... 가계소득 대비 20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6 호주 시드니 등 호주 주요 도시 ‘Living costs’, 빠르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5 호주 ‘Australia Day’를 기해 알아보는 공식 ‘Commonwealth Flag’ 사용 규약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4 호주 ‘Census 2016’- 시드니 각 지역별 ‘특정 직종’ 거주 현황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3 호주 NSW 주 ‘포커머신’ 최다 지출 지역은 페어필드(Fairfield)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2 호주 호주 빈부격차 확대... 억만장자들의 부,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1 호주 [동영상 뉴스] 韓 최초 메이저 대회 4강 이룬 정현 "응원해주신 한국 팬들 감사합니다" 톱뉴스 18.01.26.
4240 호주 [동영상 뉴스] 4강 진출 정현 미디어 인터뷰 풀영상 톱뉴스 18.01.26.
4239 호주 의사가 가장 많이 몰려 사는 동네 ‘스트라스필드’ 톱뉴스 18.01.26.
4238 호주 연방정부 ‘법인세 인하 카드’ 재거론할 듯 톱뉴스 18.01.26.
4237 호주 원내이션 당 신임상원의원 ‘먹튀’ 파동….내홍 ‘심화’ 톱뉴스 18.01.26.
4236 호주 ‘설상가상’ 살림 메하저 철장행 …범죄 공모죄 톱뉴스 18.01.26.
4235 호주 시드니 전철노조 29일 파업 계획 취소…불씨는 여전 톱뉴스 18.01.26.
4234 호주 테니스 역사를 뜯어고친 대한민국 청년 정현 톱뉴스 18.01.26.
4233 호주 <2018 올해의 호주인> 물리학자 미셸 시몬스 교수 수상 톱뉴스 18.01.26.
4232 호주 G’Day, Australia Day..호주 최대의 국경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톱뉴스 18.01.26.
4231 호주 NSW 전체 땅 값 ‘$1조7천억 톱뉴스 18.01.26.
4230 호주 수 만 명의 관객이 주목하다, 테너 사이먼 김 톱뉴스 18.01.26.
4229 호주 2018년 자신감의 ‘종결자’는 외모 -외모의 기본은 헤어스타일과 패션 톱뉴스 18.01.26.
4228 호주 책으로 인테리어를, 이렇게 멋질수가! 톱뉴스 18.01.26.
4227 호주 ‘마음을 나눠요’ 캄보디아 뉴스브리핑 정인솔 편집장 톱뉴스 18.01.26.
4226 호주 정현 발바닥 부상 투혼…"물집 속의 물집" 톱뉴스 18.01.29.
4225 호주 보즈니아키, 첫 메이저 대회 우승...할렙 '분루' 톱뉴스 18.01.29.
4224 호주 페더러, 호주오픈 패권…사상 첫 메이저 대회 20회 우승 '금자탑' 톱뉴스 18.01.29.
4223 호주 시드니 명문 사립학교 수업료 3만7천 달러 돌파 톱뉴스 18.01.29.
4222 호주 호주로 몰리는 부유층 이민자…그 이유는? 톱뉴스 18.01.30.
4221 뉴질랜드 취침 중 심야에 차 몰고 나가 사고낸 몽유병 운전자 NZ코리아포.. 18.01.30.
4220 호주 작년 12월 분기, 호주 물가상승 1.8%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9 호주 크라운 그룹, 이스트레이크에 새 도심 휴양지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8 호주 NSW 주 정부, 5세 이하 어린이에 무료 독감예방 주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7 호주 은퇴한 ‘베이비부머’ 등의 이주로 지방 도시 주택가격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6 호주 호주 경제 선두 NSW 주, 주택공급 부족으로 1위 ‘위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5 호주 비만, “사회적 전염 가능성 있다”... 미 연구진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4 호주 심리학자가 주는 ‘매일의 행복감 찾기’ 다섯 가지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3 호주 신기술 혁신... 30년 이내 호주인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2 호주 신규 보육 서비스 지원 패키지... ‘보조금 제도’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1 호주 연방 정부, 세계 최고 건강 추구하는 ‘국가적 임무’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0 호주 전 세계 국가와 비교한 호주 각 주(state)의 경제 규모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09 호주 공립-사립-셀렉티브 학교,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08 뉴질랜드 매년 20명 정도 어린이, 배터리 삼켜 병원행 NZ코리아포.. 18.02.02.
4207 뉴질랜드 뉴질랜드, 지난 1월, 150년 이래 가장 뜨거웠던 달 NZ코리아포.. 18.02.02.
4206 호주 상속세 없는 호주, 부유층 이민자들이 몰린다 톱뉴스 18.02.02.
4205 호주 5세 이하 NSW 아동 독감 예방주사 무료 톱뉴스 18.02.02.
4204 호주 연방정부 캐비넷 문건 유출 파동 확산 톱뉴스 18.02.02.
4203 호주 타이완, 타스마니아 산 과일 수입 금지 톱뉴스 18.02.02.
4202 호주 시민권 취득자 감소세… 장기 심사 대기자는 증가 톱뉴스 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