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NSW 선거 1).jpg

NSW 집권 여당 수장으로 총리 자리에 오른 이후 처음 치른 선거에서 승리를 확정지은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사진). 선거 당일 밤, NSW 주 자유-국민 연립의 승리가 확정되자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최선을 다해 열심히 일 하겠습니다”는 말로 지지자들에게 감사를 전했다. 사진 : ABC 뉴스 화면 캡쳐.

 

베레지클리안 일성, “최선 다해 열심히 일 하겠다”

노동당 맥케이 의원, “데일리 대표의 인종차별 발언이 큰 타격이었다” 지적

 

“최선을 다해 열심히 일 하겠습니다”

NSW 주 선거가 진행된 지난주 토요일(23일) 늦은 저녁, “4년 더”라는 환호성과 함께 동료들을 포옹하는 등 승리의 기쁨으로 가득한 자유-국립 연립(Coalition) 선거사무실에서 승리를 확정지은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의 일성은 이것이었다.

지난 2017년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전 주 총리가 사퇴하면서 NSW 자유당 대표로 선출, 집권 여당 수장으로 최고 자리에 오른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이번 선거에서 48석을 확보, 승리를 확정지었다. 이로써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는 호주 역사상 가장 ‘긴 성(姓)’을 가진, ‘NSW 사상 최초로 선거를 통해 선축된 여성 주 총리’로 기록됐다.

도미니크 페로테트(Dominic Perrottet) 부 주 총리는 “여성의 파워가 강화되는 순간”이라고 언급하며 “네 딸을 둔 아빠로서 아이들에게도 훌륭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이라는 말로 이번 선거 결과에 대한 기쁨을 표했다.

 

종합(NSW 선거 2).jpg

이번 선거 승리로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사진 왼쪽) 주 총리는 NSW 주 사상 최초로 투표를 통해 선출된 여성 주 총리가 됐다.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사진 오른쪽) 연방 총리는 그녀의 뛰어난 선거캠페인에 찬사를 표했다. 사진 : aap

 

토요일(23일) 개표가 진행되는 동안 연립당과 노동당(Labor)은 막상막하를 달리며 박빙의 승부를 이어갔다. 그러나 금주 월요일(26일) 오후 3시, 1개 선거구 개표 결과를 남겨 놓은 상태에서 연립은 의석수 47석을 확보함으로써 집권을 이어가게 됐다.

노동당은 쿠지(Coogee)와 리스모어(Lismore) 지역구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이전보다 2개 의석을 더 확보, 총 36석을 확정지었지만, 주요 지역에서의 패배로 이번 선거에서도 정권 탈환으로 이루지 못했다.

ABC 방송의 앤토니 그린(Antony Green) 선거 분석가는 “연립 여당이 그간 여론조사에서 드러난 것보다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냈다”고 평가했다. “이번 선거 개표는 여태까지 본 선거 중 가장 느리게 진행됐다”고 말한 그는 “연방정부가 다수당이 될 수 있을지 여부를 놓고 신중하게 진행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비록 NSW 자유당의 유권자 지지 변동률은 -2.6%를 기록해 지난 선거(2015년)에 비해 지지율은 떨어졌지만, 득표율 32.4%를 기록해 노동당(33%)과 근소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상당수의 의석을 확보했다.

이날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연방 총리는 시드니 CBD에 위치한 NSW 자유당 본사에서 “훌륭한 결과”라고 말한 뒤 “좋은 정부를 만들어준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와 페로테트 부총리, 그리고 NSW 주의 모든 팀에게 감사하며, 멋지게 자유당 광고캠페인을 펼쳐주어 고맙다”고 전했다.

페로테트 주 부총리 또한 “연립여당이 여러 어려움에 처했던 환경 가운데에서도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가 선거 캠페인을 열심히 진행한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주 총리가 선거 유세에서 우리 당이 추진하고 있는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를 강조했다”고 말했다.

한편 그린 분석가에 따르면 국민당은 이번 선거에서 'Shooters, Fishers and Farmers Party(SFF)에 패배, 축제 분위기는 아니었다. 이번 선거에서 국민당은 머레이(Murray) 지역구를 SFF에 내주었다.

 

데일리 대표 ‘인종차별’ 스캔들,

막바지 선거 캠페인에 '타격'

 

같은 날 노동당의 조디 맥케이(Jodi McKay) 의원(스트라스필드 지역구)은 “오늘을 노동당에게 ‘안 좋은 밤’으로 규정하고 싶지는 않다”고 언급한 뒤 노동당이 쿠지(Coogee) 지역구에서 51.7%를 득표해 자유당을 밀어내고 의석을 확보한 것에 대해 “좋은 소식”이라고 격려하기도 했다.

노동당은 중국계 호주인들이 대다수 거주하는 코가라(Kogarah) 지역구에서도 53.4%의 득표율로 의석을 확보했다.

 

종합(NSW 선거 3).jpg

올해 NSW 주 선거의 패배를 인정하는 데일리(Michael Daley) 대표(사진 가운데). 노동당은 선거 캠페인 막판에 불거져 나온 데일리당 대표의 과거 인종차별 발언 스캔들이 큰 타격을 준 것으로 지적했다. 사진 : ABC 뉴스화면 캡쳐

 

마이클 데일리(Michael Daley) 주 노동당 대표는 투표일을 일주일 앞두고 막바지 선거 캠페인이 한창이었던 지난 18일(월), 그의 과거 인종차별 발언이 문제가 되면서 선거 캠페인을 모두 중단해야 했다. 데일리 대표는 지난해 한 펍(pub)의 정치인 모임에서 “박사학위를 가진 아시아인들에 의해 호주인들의 일자리가 빼앗기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런데 당시 발언이 담긴 비디오가 이번 선거 기간, 온라인을 통해 유포되면서 네티즌들의 비난이 쏟아졌다.

맥케이 의원은 “가장 중요한 선거 캠페인 기간을 데일리 대표가 망쳐놓았다”면서 “냉정하게 말해 이 비디오는 노동당에 심각한 해를 끼쳤다”고 지적했다.

그린 분석가에 따르면 이와 더불어 젊은 좌파 유권자를 겨냥해 창설된 새 정당인 ‘Keep Sydney Open Party'(KSOP) 또한 노동당의 패배 원인 중 하나다. 그는 “물론 KSOP가 차이를 만든 것은 아니나, 양당선호도에서 노동당의 득표율을 떨어뜨리는 데에 한몫 했다”고 분석했다.

NSW 노동당 데일리(Michael Daley) 대표는 선거 당일 저녁 쿠지베이 호텔(Coogee Bay Hotel)에서 열린 노동당 선거집회에서 “선거 패배를 인정하지 않겠다”면서 “이는 실망스러운 결과지만 당의 지도자로 남아있겠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데일리 대표는 “우리(노동당)는 때로는 이기기도 하고 지기도 하지만 한 가지 변하지 않는 것은, NSW 주와 호주를 보다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우리의 열정과 믿음과 임무이며, 지속적으로 이 일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데일리 대표는 이어 “이번 선거에서는 소수당의 득표수만 올라 연립당과 노동당 모두에게 좋은 결과가 아니다”라고 평가한 뒤 “호주 정치 시스템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사라지고 있는 현상을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다면 더 열심히 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NSW 선거 1).jpg (File Size:43.2KB/Download:20)
  2. 종합(NSW 선거 2).jpg (File Size:73.6KB/Download:18)
  3. 종합(NSW 선거 3).jpg (File Size:42.7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51 호주 ‘퍼스 민트’, 금으로 보증되는 암호 화폐 발행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50 호주 호주 ‘수중분만’ 증가... 분만 시간 단축, 고통 3배 절감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9 호주 ‘트립어드바이저’ 주관, 여행자가 뽑은 ‘Top 10’ 호텔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8 호주 퀸즐랜드 내륙 오지의 고스트타운 ‘베투타’, 다시 살아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7 호주 시드니 부동산 가격 ‘세계 ‘2위... 가계소득 대비 20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6 호주 시드니 등 호주 주요 도시 ‘Living costs’, 빠르게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5 호주 ‘Australia Day’를 기해 알아보는 공식 ‘Commonwealth Flag’ 사용 규약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4 호주 ‘Census 2016’- 시드니 각 지역별 ‘특정 직종’ 거주 현황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3 호주 NSW 주 ‘포커머신’ 최다 지출 지역은 페어필드(Fairfield)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2 호주 호주 빈부격차 확대... 억만장자들의 부,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01.25.
4241 호주 [동영상 뉴스] 韓 최초 메이저 대회 4강 이룬 정현 "응원해주신 한국 팬들 감사합니다" 톱뉴스 18.01.26.
4240 호주 [동영상 뉴스] 4강 진출 정현 미디어 인터뷰 풀영상 톱뉴스 18.01.26.
4239 호주 의사가 가장 많이 몰려 사는 동네 ‘스트라스필드’ 톱뉴스 18.01.26.
4238 호주 연방정부 ‘법인세 인하 카드’ 재거론할 듯 톱뉴스 18.01.26.
4237 호주 원내이션 당 신임상원의원 ‘먹튀’ 파동….내홍 ‘심화’ 톱뉴스 18.01.26.
4236 호주 ‘설상가상’ 살림 메하저 철장행 …범죄 공모죄 톱뉴스 18.01.26.
4235 호주 시드니 전철노조 29일 파업 계획 취소…불씨는 여전 톱뉴스 18.01.26.
4234 호주 테니스 역사를 뜯어고친 대한민국 청년 정현 톱뉴스 18.01.26.
4233 호주 <2018 올해의 호주인> 물리학자 미셸 시몬스 교수 수상 톱뉴스 18.01.26.
4232 호주 G’Day, Australia Day..호주 최대의 국경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톱뉴스 18.01.26.
4231 호주 NSW 전체 땅 값 ‘$1조7천억 톱뉴스 18.01.26.
4230 호주 수 만 명의 관객이 주목하다, 테너 사이먼 김 톱뉴스 18.01.26.
4229 호주 2018년 자신감의 ‘종결자’는 외모 -외모의 기본은 헤어스타일과 패션 톱뉴스 18.01.26.
4228 호주 책으로 인테리어를, 이렇게 멋질수가! 톱뉴스 18.01.26.
4227 호주 ‘마음을 나눠요’ 캄보디아 뉴스브리핑 정인솔 편집장 톱뉴스 18.01.26.
4226 호주 정현 발바닥 부상 투혼…"물집 속의 물집" 톱뉴스 18.01.29.
4225 호주 보즈니아키, 첫 메이저 대회 우승...할렙 '분루' 톱뉴스 18.01.29.
4224 호주 페더러, 호주오픈 패권…사상 첫 메이저 대회 20회 우승 '금자탑' 톱뉴스 18.01.29.
4223 호주 시드니 명문 사립학교 수업료 3만7천 달러 돌파 톱뉴스 18.01.29.
4222 호주 호주로 몰리는 부유층 이민자…그 이유는? 톱뉴스 18.01.30.
4221 뉴질랜드 취침 중 심야에 차 몰고 나가 사고낸 몽유병 운전자 NZ코리아포.. 18.01.30.
4220 호주 작년 12월 분기, 호주 물가상승 1.8%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9 호주 크라운 그룹, 이스트레이크에 새 도심 휴양지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8 호주 NSW 주 정부, 5세 이하 어린이에 무료 독감예방 주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7 호주 은퇴한 ‘베이비부머’ 등의 이주로 지방 도시 주택가격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6 호주 호주 경제 선두 NSW 주, 주택공급 부족으로 1위 ‘위태’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5 호주 비만, “사회적 전염 가능성 있다”... 미 연구진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4 호주 심리학자가 주는 ‘매일의 행복감 찾기’ 다섯 가지 조언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3 호주 신기술 혁신... 30년 이내 호주인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2 호주 신규 보육 서비스 지원 패키지... ‘보조금 제도’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1 호주 연방 정부, 세계 최고 건강 추구하는 ‘국가적 임무’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10 호주 전 세계 국가와 비교한 호주 각 주(state)의 경제 규모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09 호주 공립-사립-셀렉티브 학교,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2.01.
4208 뉴질랜드 매년 20명 정도 어린이, 배터리 삼켜 병원행 NZ코리아포.. 18.02.02.
4207 뉴질랜드 뉴질랜드, 지난 1월, 150년 이래 가장 뜨거웠던 달 NZ코리아포.. 18.02.02.
4206 호주 상속세 없는 호주, 부유층 이민자들이 몰린다 톱뉴스 18.02.02.
4205 호주 5세 이하 NSW 아동 독감 예방주사 무료 톱뉴스 18.02.02.
4204 호주 연방정부 캐비넷 문건 유출 파동 확산 톱뉴스 18.02.02.
4203 호주 타이완, 타스마니아 산 과일 수입 금지 톱뉴스 18.02.02.
4202 호주 시민권 취득자 감소세… 장기 심사 대기자는 증가 톱뉴스 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