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캐러밴 1).jpg

1960년에 생산된 ‘선라이너’ 캐러밴을 끌고 포스터-툰커리(Forster-Tuncurry)의 John Wright Park에서 열린 기념 이벤트에 참가한 모니카 스콰이어(Monica Squires)씨(사진). NSW 주 중북부 해안 타운인 포스터에서 1958년부터 9년간 생산됐던 작은 캐러밴 ‘선라이너’(Sunliner)는 오늘날 ‘빈티지’ 밴이 되었지만 이 캐러밴으로 여행하는 동호인들이 매년 기념행사를 마련하고 있다.

 

빈티지 캐러밴 동호인들, ‘선라이너’ 탄생 60년 축하 이벤트

 

야외 활동을 좋아하는 호주인들이 만들어낸 또 하나의 아이콘이 있다. 바로 ‘선라이너’(Sunliner)라는 이름의 캐러밴이다. 이 캐러밴이 처음 선보였을 때, 그 깜찍한 외형으로 사람들은 ‘젤리 콩’, ‘구운 콩’, ‘어른을 위한 커비하우스’(cubbyhouse. 정원이나 어린이 놀이터에 아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으로 만들어 놓은 작은 집)라는 애칭을 붙여줬다. 뿐 아니라 ‘선라이너’는 어느 순간 호주의 도로 표지판에 캐러밴 파크(caravan park)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자리잡았다.

지금은 ‘빈티지’가 된 캐러밴이지만 수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를 갖고 여행을 즐기는, 그야말로 ‘충성 고객’이 있으며 이 캐러밴을 좋아하는 이들이 모여 매년 ‘아버지의 날’(Father's Day. 매년 9월 첫 주 일요일)이 있는 9월 첫 주말, 그들 나름의 ‘선라이너’ 탄생 기념행사를 펼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선라이너’가 처음 선보인 지 60년이 되는 해로, 이들은 지난 9월 첫 주 주말, 버트 티크너(Bert Tickner)씨가 ‘선라이너’가 처음 만들어낸 NSW 주 북부 해안 타운인 포스터-툰커리(Forster-Tuncurry. 시드니에서 북쪽으로 약 300킬로미터 거리, mid-coast 상의 휴양 타운)에 모여 기념 이벤트를 개최했다.

올해 이벤트에는 호주 전역의 ‘선라이너’ 30여 대가 한 자리에 모였다. 올해 이벤트를 주도한 퀸즐랜드 거주 킴 바인(Kim Bayne)씨(그는 이 캐러밴 3대를 소유하고 있다)는 툰커리의 John Wright Park에서 캐러밴을 전시하고 기념 케일을 절단하는 것으로 ‘선라이너’ 탄생 60년을 축하했다.

 

종합(캐러밴 2).jpg

올해 이벤트에 참석한 하신(Hacene)씨 부부. 그는 이곳(포스터)이 ‘선라이너’ 캐러밴이 만들어진 타운임을 모르는 이들이 너무 많다고 말한다. 지금까지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는 ‘선라이너’는 9년간 약 580대가 생산됐다.

 

호주 여행자들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

 

NSW 주 북부 해안, 타리(Taree) 인근 우톤(Wooton)에서 온 월터와 아드리안느 하신(Walter and Adrienne Hacene)씨 부부는 지난 1958년에서 1966년까지 600대 가까운 ‘선라이너’가 생산된 곳 가까운 지역에 거주해 아주 운이 좋았다고 이날 이벤트에 대한 소감을 밝혔다.

“포스터-툰커리 인근 지역에는 호주의 다른 어느 곳에 비해 ‘선라이너’가 많다”고 말한 하신씨는 “이 지역 주변 농장에서 일하다 보니 방치된 ‘선라이너’ 캐러밴을 보았고, 사람들에게 이를 팔도록 설득할 수 있었다”며 지금까지 이 캐러밴을 갖고 있는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이 캐러밴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오래된 중고 ‘선라이너’를 구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신씨에 따르면 포스터-툰커리 인근, 캐러밴 파크(caravan park)가 있음을 알려주는 도로 표지판에는 ‘선라이너’ 캐러밴 모양의 그림이 삽입되어 있다.

“하이웨이 상의 도로 표지판에 등장해 있는 캐러밴 파크 표시는 모두 ‘선라이너’ 모양”이라는 그씨는 “어린 시절, 이 캐러밴을 보면서 우리는 ‘젤리 빈’ 또는 ‘베이크 빈’이라 부르곤 했다”고 회상했다.

아드리안느 하신씨는 “남편은 ‘선라이너’ 빈티지를 수입하는 것이 유일한 취미로, 이 캐러밴에 완전 중독되어 있다”며 “거의 병적인 수준”이라고 말했다.

 

종합(캐러밴 3).jpg

올해로 호주산 ‘선라이너’ 캐러밴 탄생 60년을 기념하기 위해 포스터-툰커리(Forster-Tuncurry)의 John Wright Park에 모여든 ‘선라이너’ 캐러밴 동호인들.

 

호주 역사의 한 일부...

 

이 캐러밴을 처음 만들어낸 버트 티크너씨의 아들 로버트 티크너(Robert Tickner)씨는 올해 이벤트에 참석, “어린 시절, 학교가 끝나면 거의 캐러밴 공장 주변에서 놀았다”고 오래된 기억을 떠올렸다.

“아버지는 이 캐러밴 제조업에 상당한 심혈을 기울였지만 오래 가지는 못했다”고 언급한 그는 “한 때는 직원이 40명에 달하기도 했다”면서 “모든 직원들이 60년 이상 탈 수 있는 캐러밴을 만들기 위해 헌신했으며, 나는 아버지의 뜻을 이어가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종합(캐러밴 4).jpg

포스터-툰커리 다리(Forster-Tuncurry Bridge)를 지나는 ‘선라이너’ 캐러밴들. 매년 ‘아버지의 날’(Father's Day) 주말을 기해 이곳에 모이는 이들은, ‘선라이너’ 탄생 60년을 맞는 올해, 특별 이벤트를 개최했다.

 

종합(캐러밴 5).jpg

월터와 아드리안느 하신(Walter & Adrienne Hacene)씨의 ‘선라이너’ 조리대.

 

종합(캐러밴 6).jpg

1958년, 포스터-툰커리에서 ‘선라이너’ 밴을 처음 생산한 버트 티크너씨의 아들 로버트 티크너(Robert Tickner)씨. 그는 어린 시절, 학교가 끝난 뒤 ‘선라이너’ 공장 주변에서 놀던 기억을 떠올렸다.

 

종합(캐러밴 7).jpg

1970년, 시드니 남부 키아마(Kiama)의 한 영업직 사원으로부터 ‘선라이너’를 구입했다는 클라우드 해리스(Claude Harris. 91세)씨. 그의 캐러밴은 당시 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다.

 

60년이 지난 지금도 건재...

 

올해 91세의 클라우드 해리스(Claude Harris)씨는 지난 1970년, 키아마(Kiama)의 한 영업사원으로부터 ‘선라이너’ 캐러밴을 구입한 이래 지금까지 이를 사용하고 있다.

시드니 남부, 숄하버(Shellharbour) 지역의 알비온 파크(Albion Park)에 거주하는 해리스씨의 밴은 본래 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다. 그의 아들 로스 해리스(Ross Harris)씨는 “아버지의 밴에서 바뀐 것은 냉장고 하나뿐”이라며 “애초 ‘선라이너’가 생산될 당시에는 냉장고라기보다 아이스박스였다. 그러다 보니 얼음을 판매하는 곳에서 이를 구입해 넣어 놓으면 얼마 가지 않아 녹아버리곤 했다. 그래서 아버지에게 작은 냉장고를 추천해 이를 교체했다”고 옛 기억을 떠올렸다.

 

종합(캐러밴 8).jpg

어머니와 함께 ‘선라이너’ 옆에서 사진을 촬영한 클라우드 해리스씨의 아들 로스 해리스(Ross Harris). 그는 아버지가 구입한 이 캐러밴이 어쩌면 마지막 생산된 ‘선라이너’일 것이라고 말했다.

 

해리스씨는 오래 전 생산이 중단됨으로써 ‘빈티지 선라이너’ 캐러밴의 인기를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누군가 ‘선라이너’를 내놓으면 금세 팔린다”는 그는 “최근에는 오래된 캐러밴을 좋아하는 마니아층이 있지만 ‘선라이너’의 가장 큰 장점은 매우 가볍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리스씨와 같은 숄하버 지역에서 온 모니카 스콰이어(Monica Squires)와 남편 숀(Shaun)씨는 1960년대부터 흰색과 분홍색으로 도색된 ‘선라이너’를 타고 호주 각 지역을 여행했다.

“당시 우리가 타고 있던 ‘LJ Torana’(호주 Holden 사에서 제조된 중형 승용차로 1967년부터 73년까지 생산됐다)의 색상과 맞추고자 분홍색으로 도색했다”는 그녀는 “지금까지 이 캐러밴으로 여행을 다니는데, 캐러밴 파크에 도착하면 우리 밴만이 유일한 ‘빈티지’이다 보니 사람들이 우리 캐러밴을 보기 위해 몰려들곤 한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캐러밴 1).jpg (File Size:68.5KB/Download:9)
  2. 종합(캐러밴 2).jpg (File Size:68.5KB/Download:7)
  3. 종합(캐러밴 3).jpg (File Size:61.2KB/Download:7)
  4. 종합(캐러밴 4).jpg (File Size:67.7KB/Download:7)
  5. 종합(캐러밴 5).jpg (File Size:68.0KB/Download:7)
  6. 종합(캐러밴 6).jpg (File Size:59.2KB/Download:7)
  7. 종합(캐러밴 7).jpg (File Size:38.0KB/Download:7)
  8. 종합(캐러밴 8).jpg (File Size:63.9KB/Download: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54 호주 스트라스필드 광장에서 즐기는 재즈와 요리 file 호주한국신문 18.10.04.
3653 호주 시드니 남서부에 새 타운 조성... 주택 1만5천 채 건설 file 호주한국신문 18.10.04.
3652 호주 10월7일(일), Daylight Saving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8.10.04.
365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노동절 연휴 주말, 경매 가열... 낙찰가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10.04.
3650 뉴질랜드 주 뉴질랜드 미국대사, 뉴질랜드에 중국 영향력 커진다고.... NZ코리아포.. 18.10.04.
3649 뉴질랜드 난민 이민자, 인종차별 등으로 고국 되돌아간다고... NZ코리아포.. 18.10.04.
3648 뉴질랜드 일부 지역 근무 시간 이후 어린이 치료, 무료에서 최대 61달러... NZ코리아포.. 18.10.04.
3647 뉴질랜드 지구상 수십마리만 남은 마우이 돌고래 사체 발견돼 NZ코리아포.. 18.10.03.
3646 뉴질랜드 여행객 디지털 장치 비번, 세관원 요청에 거부하면 5천달러 벌금 NZ코리아포.. 18.10.02.
3645 뉴질랜드 헉!! 양이 대형 트럭 지붕 위에??? NZ코리아포.. 18.10.02.
3644 뉴질랜드 고구마, 아기 건강식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중 NZ코리아포.. 18.10.01.
3643 뉴질랜드 카운트다운,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판매 중단 NZ코리아포.. 18.10.01.
3642 뉴질랜드 부동산 전문가, 전국 주택 구입하기 가장 좋은 시기라고... NZ코리아포.. 18.10.01.
3641 뉴질랜드 매년 기발한 의상 작품들 선보이는 WOW, CHCH 출신 자매가 최고상 차지 file NZ코리아포.. 18.09.29.
3640 뉴질랜드 “아이스크림에서 웬 쇠구슬들이…” NZ코리아포.. 18.09.28.
3639 뉴질랜드 법적 강제력 없어, 오클랜드 고가 주택 서브리스 세입자로 골치 NZ코리아포.. 18.09.28.
3638 뉴질랜드 봄철,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사람들 공격하는 까치 NZ코리아포.. 18.09.28.
3637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 세계 대학 순위 2백위 밖으로... NZ코리아포.. 18.09.27.
3636 뉴질랜드 NZ 8월 무역수지적자, 최고 기록 NZ코리아포.. 18.09.27.
3635 호주 내년 3월 NSW 선거 앞두고 연립-노동당 지지도, ‘막상막하’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34 호주 ‘바늘 딸기’ 사건... 마피아 ‘엔그라게타’ 연루자, 용의선상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33 호주 ‘카슬힐 지역구’ 쟁탈전, NSW 주 선거 앞두고 자유당 ‘내분’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32 호주 연방 노동당, ‘남녀 임금격차 자료 공개 의무화’ 법안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31 호주 금융 및 보험-교육-보건 분야 종사자의 지역별 소득 수준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30 호주 Oktoberfest parties in Sydney 2018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29 호주 전 세계 항공기 승객 최다 구간은 김포-제주 노선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28 호주 세 번째 ‘연말 대목’도 물거품... 도심 스몰비즈니스들 ‘울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27 호주 광역시드니 두 번째 도심, 호주 최초로 ‘금연구역’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26 호주 해외 이민자 증가, 시드니 등 동부 지역 도시 ‘주택 수요’ 부추겨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25 호주 “한국 개천절을 축하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24 호주 호주 다큐멘터리 감독, 캄보디아서 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2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동부지역 헤리티지 아파트, 10년 전 비해 거의 2배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8.09.27.
3622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데이 날짜 변경 공방 재점화 톱뉴스 18.09.27.
3621 호주 애완견을 솜사탕으로… ‘동물미용 연금술사’…애견 미용사 지은정 톱뉴스 18.09.27.
3620 호주 아픔을 극복하게 해준 뮤지컬, 배우 김예랑 톱뉴스 18.09.27.
3619 호주 '환불 거부' 복지수당 부당 수급자 출국 금지 톱뉴스 18.09.27.
3618 호주 시드니 제2국제공항 첫삽…2026년 1터미널 개항 예정 톱뉴스 18.09.27.
3617 호주 자유당, 토니 애벗 정계은퇴 압박...애벗 '버티기'   톱뉴스 18.09.27.
3616 호주 모리슨 연방총리, 남녀임금격차 실태 공개 움직임에 반대 표명 톱뉴스 18.09.27.
3615 뉴질랜드 평생 모은 32만달러 “비트코인 사기로 1년 만에 날려” NZ코리아포.. 18.09.26.
3614 뉴질랜드 오클랜드 보건위원회들 “5년간 발생한 외국인 치료비, 5350만불 탕감했다” NZ코리아포.. 18.09.26.
3613 뉴질랜드 유엔총회장에 등장한 ‘뉴질랜드의 퍼스트 베이비’ NZ코리아포.. 18.09.26.
3612 뉴질랜드 자립하지 않는다며 창고에 파트너 가둔 채 여러 날 폭행한 남성 NZ코리아포.. 18.09.26.
3611 뉴질랜드 맥도날드 감자칩에서 바늘 나왔다고 자작극 벌인 여성 NZ코리아포.. 18.09.26.
3610 뉴질랜드 기계에 휴대폰 떨어뜨려 ‘리콜’되는 슈퍼마켓의 ‘갈린 고기(mince)’ NZ코리아포.. 18.09.25.
3609 뉴질랜드 뉴질랜드,교사 부족문제 해결, 4백 명 넘는 외국 교사 충원 계획 NZ코리아포.. 18.09.25.
3608 뉴질랜드 호주산 딸기, NZ 판매 전 검사 절차 거쳐야... NZ코리아포.. 18.09.25.
3607 뉴질랜드 뉴질랜드 해상 석유가스 유전 탐사 작업 허가 금지, 790억 경제손실 NZ코리아포.. 18.09.25.
3606 뉴질랜드 뉴질랜드 어린이들, 해리포터 시리즈 가장 좋아해 NZ코리아포.. 18.09.24.
3605 뉴질랜드 호주산 딸기에서 바늘 나온 후, NZ산 딸기 농장들 금속 탐지기 구입하려고. NZ코리아포.. 18.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