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사망원인).jpeg

호주인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가장 큰 질환은 심장병, 치매, 폐암, 뇌졸중, 폐 관련 질환, 당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주보건복지연구원(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5년간 호주 전국 사망자 76만5,911명의 사망 원인을 분석한 것으로, 지역별 사망 원인도 차이를 보였다. 사진은 시드니 동부 웨이벌리 공원 묘지(Waverley Cemetery).

 

보건복지연구원 분석... 지역별 차이 속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가장 높아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사망원인 1위는 심장질환과 뇌졸중이다 (2016년 사망자 5,690만 명 대상). 그렇다면 호주의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하는 가장 큰 질병은 무엇일까.

금주 수요일(8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국가보건자료를 인용, 호주와 시드니에서 발생한 지역별 사망의 원인에 대한 기사로 눈길을 끌었다.

호주보건복지연구원(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5년간 호주 전국 사망자 76만5,911명의 사망 원인을 분석한 결과 호주인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가장 큰 질환은 심장병, 치매, 폐암, 뇌졸중, 폐 관련 질환, 당뇨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5위까지의 사망원인은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6위부터는 사망원인 질환별로 순위가 달랐다. 흡연자나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이 많이 몰려있는 지역이 있고, 노인 또는 젊은이들이 더 많이 거주하는 지역적 인구특성이 서로 다른 것도 하나의 요인이다.

NSW 주 북서부에 위치한 브로큰 힐(Broken Hill) 등 먼 내륙에서는 2012-16년 사이 탈수에 의한 사망자 43명이 발생해 사망원인 6위로 꼽혔으며, 멜번 북쪽에 위치한 흄(Hume) 지역(region)의 6번째 사망원인은 독감이었다. 또한 호주에서 비만인구가 가장 많기로 유명한 빅토리아(Victoria) 주 시골마을 아라라트(Ararat) 지역은 당뇨에 의한 사망자가 특히 많아 이로 인한 호주 전체 사망 비율의 두 배가 넘었다.

시드니, 퍼스, 멜번 등 대도시 도심 지역(suburb)의 경우 일곱 번째 사망원인은 마약중독으로, 시드니의 경우 2012-16년 사이 100명 이상이 마약으로 목숨을 잃어 가장 많은 사망자 수를 보였다. 시드니 도심 킹스크로스(Kings Cross)와 멜번의 야라(Yarra) 지역에서 가장 많은 마약중독 사망자가 발생됐으며, 이들에게 처방된 오피오이드(opiod) 남용에 의한 사망자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빅토리아 주는 다른 주(states) 및 테리토리(territories)에 비해 우연한 추락사고 또는 감기에 의한 사망자가 상당히 많은 것으로 조사돼, 추락사고는 빅토리아 주의 사망원인 10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반면, NSW 주에서는 추락사고가 사망원인 20위로 두 지역 사이에 큰 차이를 보였다.

노던 테리토리는 다른 지역보다 자동차 사고에 의한 사망률이 높아 6위를 기록한 반면,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에서는 이것이 18번째 사망원인으로 집계됐다. 또 노던 테리토리에서는 폭행이 사망원인 20위를 기록하며, 다른 지역의 5배가 넘는 사망률을 보였다.

‘Sunshine State’로도 불리는 퀸즐랜드(Queensland) 주에서는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이 발생해 흑색종에 의한 사망자 수가 국가 전체보다 25% 높았다.

지난 5년간 사망자들의 평균 나이는 남성의 경우 78세, 여성의 경우 84세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45~64세 사이와 75세 이상 사망자들의 가장 큰 원인은 심장병이었으며, 심장마비는 65세와 74세 사이의 두 번째 사망원인이었다. 그런 한편 15~44세 사망자들의 가장 큰 사망원인은 자살이었다.

 

■ 시드니 일부 지역의 주요 사망원인

(지난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5년 사이, 상위 사망 원인)

▲ 시드니(Sydney city)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 11.6%(404명)

-폐암 : 6.6%(231명)

-치매 및 알츠하이머 : 5.5%(191명)

-뇌혈관 질환 : 5.3%(184명)

-만성 폐쇄환성 폐질환 : 4.1%(144명)

-자살: 4.1%(144명)

-불의의 중독 : 3.살9%(136명)

-직장암 : 2.8%(96명)

-기타 원인 불명 : 2.2%(78명)

-간암 : 2.1%(72명)

-간 질환 : 2%환(71명)

-유방암 : 2%(71명)

-기타 암 또는 부위 : 2%(70명)

-췌장암 : 2%(69명)

-당뇨병 : 1.9%(67명)

-심장부전 및 기타 심장질환 : 1.6%(55명)

-전립선암 : 1.5% (54명)

-독감 및 폐렴 : 1.4%(49명)

-고혈압병 : 1.4%(48명)

-추락사고 : 1.3%(44명)

 

▲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 11.3%(97명)

-뇌혈관 질환 : 10.6%(91명)

-치매 및 알츠하이머 : 8.4%(72명)

-폐암 : 4.3%(37명)

-당뇨병 : 3.6%(30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 : 3.4%(29명)

-직장암 : 2.7%(23명)

-심장부전 및 기타 심장질환 : 2.6%(22명)

-기타 암 또는 부위 : 2.6%(22명)

-기타 원인 불명 : 2.3%(20명)

-독감 및 폐렴 : 2%(17명)

-폐혈증 : 1.9%(16명)

-췌장암 : 1.8%(15명)

-신장병 : 1.7%(14명)

-외부요인에 의한 폐질환 : 1.5%(13명)

-자살 : 1.3%(11명)

-전립선암 : 1.3%(11명)

-파키슨병 : 1.3%(11명)

-위암 : 1.3%(11명)

-간암 : 1.2%(11명)

 

▲ 라이드(Ryde)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 13.5%(467명)

-치매 및 알츠하이머 : 8.7%(301명)

-뇌혈관 질환 : 8.2%(285명)

-폐암 : 4.5%(155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 : 3%(105명)

-기타 암 또는 부위 : 2.6%(92명)

-직장암 : 2.6%(91명)

-당뇨병 : 2.3%(81명)

-고혈압병 : 2.3%(78명)

-심부전 및 기타 심장질환 : 2.2%(75명)

-독감 및 폐렴 : 1.9%(67명)

-폐혈증 : 1.9%(65명)

-유방암 : 1.8%(63명)

-전립선암 : 1.8%(62명)

-췌장암 : 1.7%(59명)

-심장부정맥 : 1.5%(52명)

-간암 : 1.4%(49명)

-신장병 : 1.4%(48명)

-외부요인에 의한 폐질환 : 1.3%(46명)

-파키슨병 : 1.3%(46명)

 

▲ 캔터베리-뱅스타운(Canterbury-Bankstown)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 12.7%(1345명)

-치매 및 알츠하이머 : 7.3%(772명)

-뇌혈관 질환 : 6.7%(703명)

-폐암 : 5.8%(611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 : 4.3%(455명)

-당뇨병 : 3.1%(323명)

-직장암 : 2.7%(288명)

-기타 심장질 : 2.5%(265명)

-기타 암 또는 부위 : 2.3%(240명)

-폐혈증 : 1.9%(201명)

-췌장암 : 1.9%(197명)

-신장병 : 1.7%(182명)

-고혈압병 : 1.7%(180명)

-유방암 : 1.6%(173명)

-심장부정맥 : 1.6%(172명)

-외부요인에 의한 폐질환 : 1.6%(171명)

-간암 : 1.6%(171명)

-전립선암 : 1.6%(168명)

-독감 및 폐렴 : 1.5%(159명)

-기타 원인 불명 : 1.4%(149명)

 

▲ 윌로비(Willoughby)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 : 13%(238명)

-뇌혈관 질환 : 9.4%(172명)

-치매 및 알츠하이머 : 9.3%(171명)

-폐암 : 4.7%(85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 : 3%(55명)

-심장부전 및 기타 심장질환 : 3%(54명)

-직장암 : 2.5%(45명)

-기타 암 또는 부위 : 2.3%(43명)

-심장부정맥 : 2.1%(38명)

-췌장암 : 2.1%(38명)

-당뇨병 : 2%(36명)

-유방암 : 2%(36명)

-전립선암 : 1.9%(35명)

-독감 및 폐렴 : 1.9%(34명)

-신장병 : 1.8%(33명)

-폐혈증 : 1.7%(30명)

-고혈압병 : 1.5%(27명)

-림프종 : 1.5%(27명)

-자살 : 1.3%(24명)

-추락사고 : 1.3%(23명)

Data: Australian Insititute of Health and Welfare.

 

■ 2012-16년 호주 전국 사망원인 상위 20위

-심장마비 : 98,992명

-치매 : 59,017명

-뇌졸증 : 53,392명

-폐암 : 41,480명

-폐질환 : 33,800명

-당뇨병 : 22,359명

-대장암 : 21,305명

-기타암 : 19,254명

-심부전 : 17,103명

-전립선암 : 15,736명

-유방암 : 14,526명

-독감 폐렴 : 14,472명

-자살 : 13,965명

-췌장암 : 13,301명

-추락사고 : 11,492명

-신장병 : 11,209명

-고혈압 질환 : 10,752명

-심장부정맥 : 10,396명

-기타 원인 불명 : 9,070명

-간 질환 : 8,719명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사망원인).jpeg (File Size:78.8KB/Download: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56 호주 60th anniversary of the iconic Australian 'Sunliner' caravan...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555 호주 젊은이들, ‘내집 마련’ 하려면 먼저 자동차부터 버려라?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554 호주 가족 나들이 제격... ‘카브라마타 추석 페스티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553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템페(Tempa) 소재 코티지, ‘부동산 활황’ 당시 가격에 육박 file 호주한국신문 18.09.13.
3552 뉴질랜드 탄산 음료 등에 부과하는 Sugar Tax 뉴질랜드 체택할까? NZ코리아포.. 18.09.13.
3551 뉴질랜드 뉴질랜드 보험 업계, 무법천지 NZ코리아포.. 18.09.13.
3550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약세, 관광산업 호황 예상돼 NZ코리아포.. 18.09.13.
3549 뉴질랜드 노인들, 고위험군 약물 사용에 대한 경고 NZ코리아포.. 18.09.12.
3548 뉴질랜드 해변 주택들 위협하는 집채만한 파도들 NZ코리아포.. 18.09.11.
3547 뉴질랜드 해양보존구역에서 전복 채취하다 주민신고로 붙잡힌 남성들 NZ코리아포.. 18.09.11.
3546 뉴질랜드 발리 휴가 중 혼수 상태 빠진 키위여성, 결국 숨져 NZ코리아포.. 18.09.11.
3545 뉴질랜드 서쎅스 공작인 해리 왕자 부부, 다음달 뉴질랜드 방문 NZ코리아포.. 18.09.11.
3544 뉴질랜드 뉴질랜드 민물고기 어종, 멸종위기 NZ코리아포.. 18.09.10.
3543 뉴질랜드 가정 폭력과 자해 또는 자살은 깊은 관계있어 NZ코리아포.. 18.09.10.
3542 뉴질랜드 지진으로 훼손된 CHCH 대성당 “지금은 고양이 가족의 보금자리” NZ코리아포.. 18.09.09.
3541 뉴질랜드 호주 숲에서 하이킹했던 키위 남성 "귀국하니 귓속에서 진드기가..." NZ코리아포.. 18.09.09.
3540 뉴질랜드 납치 테러위험 ,키위들 태국 방문에 경고 NZ코리아포.. 18.09.09.
3539 뉴질랜드 뉴질랜드 해안 바닷물 80%, 미세 플라스틱 입자 발견돼 NZ코리아포.. 18.09.08.
3538 뉴질랜드 NZ정찰기 “유엔의 북한 제재 감시활동 협조차 일본에 파견” NZ코리아포.. 18.09.08.
3537 뉴질랜드 얼음 호수 위에 등장한 환상의 캠핑장 NZ코리아포.. 18.09.08.
3536 뉴질랜드 키위 여성 유방암 사망, 다른 나라보다 2배 빨라 NZ코리아포.. 18.09.08.
3535 호주 연방정부, “가뭄 피해 농가 돕기 우유 소비세 도입 바람직하지 않다” 톱뉴스 18.09.06.
3534 호주 노인 펜션 수급 기준 연령 상향조정 계획 ‘백지화’ 톱뉴스 18.09.06.
3533 호주 RBA 기준금리1.50% 유지 결정…25개월 째 동결 톱뉴스 18.09.06.
3532 호주 집권 여당에 대한 유권자 불신, 70년대 이후 ‘계속’되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31 호주 집권 여당의 리더십 부재, 10년 사이 6차례 총리 바뀌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30 호주 스콧 모리슨, 고령연금 수령 연령 ‘70세 변경안’ 취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9 호주 “미국의 ‘소득공유’, HECS 문제의 대안일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8 호주 응급 차량 비상등 보이면 운행속도 늦추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7 호주 Old town near Sydney, 14 things to do in Berrima(1)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6 호주 CBD의 늘어나는 소규모 바(bar), 시드니 ‘night-life’ 변화 조짐?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5 호주 퍼스 조폐국, 호주 역사상 최고가 희귀동전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4 호주 오피오이드 과다복용 증가... 사망자 수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3 호주 타스마니아 관광 붐... 한 해 여행자 140만 명으로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2 호주 봄 시즌, 시드니 주택 가격 상승 예상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1 호주 RBA, 기준금리 동결... 25개월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20 호주 웬트워스 포인트 대규모 주택단지 ‘생츄어리’ 개발 허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1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노스 윌로비 주택, 잠정 가격서 153달러 높은 가격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9.06.
3518 뉴질랜드 항만 사고로 숨진 20대 “6명에게 새로운 삶을 선물하고 떠났다” NZ코리아포.. 18.09.06.
3517 뉴질랜드 경마업계 “승부조작으로 여럿 체포돼, 관련 산업계에 큰 파문” NZ코리아포.. 18.09.06.
3516 뉴질랜드 재무국 “순이민자 감소 추세, 예상보다 빨라 경제 우려된다” NZ코리아포.. 18.09.05.
3515 뉴질랜드 고등학교 졸업 전 취업하는 젊은 키위 수 증가 NZ코리아포.. 18.09.05.
3514 뉴질랜드 10년 연속 ‘대양주 최고 항공사’로 선정된 Air NZ NZ코리아포.. 18.09.04.
3513 뉴질랜드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전자제품 수명, 가장 짧아 NZ코리아포.. 18.09.04.
3512 뉴질랜드 호주 정당인, NZ 출신 의원에게 뉴질랜드 돌아가라고 말해 NZ코리아포.. 18.09.04.
3511 뉴질랜드 한 캐나다 연금재단, 오클랜드 경전철 사업 참여 의사 표해 NZ코리아포.. 18.09.04.
3510 뉴질랜드 호수로 돌진해 다친 운전자 구해낸 주민들 NZ코리아포.. 18.08.31.
3509 뉴질랜드 고양이 문제로 갈등 겪는 사우스랜드의 작은 마을 NZ코리아포.. 18.08.31.
3508 뉴질랜드 공중수송 경연대회에서 호주와 캐나다 이긴 NZ 공군 NZ코리아포.. 18.08.31.
3507 호주 웨스트팩, 주택대출금리 전격 인상...정부 "이유를 설명하라" 톱뉴스 18.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