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도로정체).jpg

NSW 도로교통 당국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4년에서 2017년 사이 M4와 M7 일부 구간의 도로교통 혼잡이 가장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aap

 

M4-M7 일부 구간들 혼잡 가중, 이너웨스트 일부 구간은 크게 나아져

 

시드니사이더들에게 교통체증 측면에서 최악의 도로를 묻는다면 가장 많은 답변이 파라마타 로드(Parramatta Road)와 밀리터리 로드(Military Road)일 것이다. 광역시드니 동서를 잇는 주요 도로인 파라마타 로드는 오랜 기간 차량 정체가 심한 곳으로 여겨져 왔으며 가능한 이 도로는 피하려 하고 있다.

파라마타 로드와 함께 지난 2014년에서 2017년 사이 아침 피크 시간대 도로정체가 상당히 심화된 곳들이 있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NSW 도로교통 당국의 자료를 분석, 금주 수요일(27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M4와 WestLink M7은 시드니 인구 증가와 대중교통 정책 부재 속에서 가장 많은 압박을 받고 있다.

이 시간대, M4를 통해 클라이드(Clyde)에서 콩코드(Concord)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지난 4년(2014년에서 2017년) 사이 53%가 늘어나 13.5분이었다.

두 번째로 최악의 도로는 M7의 이스턴 크릭(Eastern Creek)에서 세븐힐(Seven Hills)까지로, 통행료를 납부해야 하는 이 구간의 평일 소요 시간은 31.4%가 늘어나 18.4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M4 이스턴 크릭에서 파라마타 서쪽 및 클라이드 구간이 21% 늘어난 22.6분 소요로 세 번째 혼잡 구간으로 조사됐다.

NSW 도로교통 당국의 자료 가운데 M4 구간 관련 수치에는 파라마타에서 홈부시(Homebush)까지 7.5킬로미터 구간의 확장 작업 이후 6개월 동안의 조사가 포함되어 있다. 이 구간은 주 정부가 168억 달러를 투입해 진행한 ‘웨스트커넥스’(WestConnex) 구간에 포함되어 있는 곳으로 기존 도로에 3개의 차선을 확대한 것이다.

NSW 도로교통 당국의 이번 자료는 광역시드니 주요 간선도로들의 차량 정체가 크게 상승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너웨스트(inner west)의 페레드릭 스트리트(Frederick Street), 이너사우스(inner south)의 클리브랜드 스트리트(Cleveland Street), 시드니 북부의 퍼시픽 하이웨이(Pacific Highway) 구간 또한 지난 4년 사이 정체가 심해진 주요 도로들로 꼽힌다.

다만 시드니 북부, 퍼시픽 하이웨이 상의 로즈빌(Roseville)과 레인코브(Lane Cove) 사이의 차량이동 시간은 지난 4년 사이 12.3분에서 8.7분으로 줄었다.

일부 구간에서 운행시간이 단축된 것은 새 도로 개설 또는 기존 도로의 확장과 함께 주 정부가 주요 교차로의 혼잡 해소를 위한 개선 프로그램을 추진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시드니과학기술대학(UTS) 경영대학원의 존 로즈(John Rose) 교수는 “혼잡지점 완화 프로그램 등으로 교통흐름은 향상되었지만 시드니의 지속적인 인구 증가를 감안할 때 일부 나아진 도로교통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즈 교수는 이어 “특히 일부 도로 상황의 개선은 사람들로 하여금 대중교통 이용에서 승용차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주요 간선도로를 더욱 혼잡하게 만든다”면서 “불행하게도, 다 많은 도로를 신설한다고 하여 도로교통 상황이 반드시 나아진다고 볼 수만은 없다”고 덧붙였다.

교통경제 전문가인 로즈 교수는 또한 “주요 도로의 이동 소요시간 변화는 부분적으로 광역시드니의 지역별 인구 불균형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파라마타처럼 거주자가 크게 증가한 곳의 경우, 해당 지역 내에서는 물론 자른 지역으로의 이동 시간을 크게 늘린다는 것이다.

현재 시드니 전역에서 인구 증가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지역은 북서부(north west)와 남서부(south west)에 몰려 있으며,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는 변화가 없거나 다소 감소했다.

파라마타 강(Parramatta River)을 끼고 있는 카바리타(Cabarita) 거주민 고든 알바니(Gordon Albany)씨는 M4 구간의 통행료를 다시 부과한 것이 파라마타 로드의 혼잡을 가중시켰다고 지적했다.

그는 “M4 일부 구간에 통행료를 부과하면서 파라마타 로드를 이용하는 자동차가 10% 이상 늘어났다”며 “이제 시드니의 도로교통 상황은 최악”이라며 말했다.

 

■ 교통체증 악화 상위 10개 구간

(2014년-2017년 사이, 아침 피크시간도 각 구간 평균 속도. 구간 : 2014년 / 2017년. km/h)

-M4 Clyde→Concord : 60.7 / 42.2

-M2 Northmead→Carlingford : 79.6 / 61.4

-M7 Eastern Creek→Seven Hills : 85.3 / 70.9

-General Holmes Dr Surry Hills→Mascot : 58.2 / 51.2

-Eastern Dist Woolloomooloo→Paddington : 38.1 / 26.6

-M2 Seven Hills→Northmead : 69.4 / 59

-M4 Eastern Creek→Clyde : 57.1 / 50.9

-M7 Casula→Eastern Creek : 87.6 / 74.9

-M2 Carlingford→North Ryde : 77 / 65.8

-Parramatta Rd Harris Park→Concord : 30.8 / 29

Source: RMS Roads Report data.

 

■ 교통상황 개선 상위 10개 구간

(2014년-2017년 사이, 아침 피크시간도 각 구간 평균 속도. 구간 : 2014년 / 2017년. km/h)

-Frederick St Haberfield→Ashfield : 25.6 / 32.4

-Pacific Hwy Roseville→Lane Cove : 18.2 / 24.1

-Narellan Rd Narellan→Ambarvale : 37.1 / 46.8

-Cleveland St Darlington→Moore Park : 13.7 / 18.1

-Liverpool Rd Bankstown→Ashfield : 26.8 / 33.4

-Rookwood Rd Auburn→Bankstown : 36.7 / 45.3

-Old South Head Rd Watsons Bay→Bondi Junction : 23.1 / 28.4

-Oxford St Bondi Junction→Surry Hills : 28.8 / 33.6

-Castle Hill Rd Castle Hill→Pennant Hills : 35 / 38.7

-Bondi Rd Bondi→Bondi Junction : 21.6 / 23.3

Source: RMS Roads Report data.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도로정체).jpg (File Size:79.8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01 뉴질랜드 1등급 역사적 건물로 돌진한 유조트럭, 차량 기능에 문제 있었던 듯 NZ코리아포.. 18.04.13.
3900 뉴질랜드 2018 한인의 날 행사, 축제의 한마당 성황리 막내려 NZ코리아포.. 18.04.15.
3899 뉴질랜드 남섬 홍역 환자 6명째, 퀸스타운 여성 환자 비행기로 이동해... NZ코리아포.. 18.04.16.
3898 뉴질랜드 남성 교장보다 여성 학교장들이 더 많아 NZ코리아포.. 18.04.16.
3897 뉴질랜드 NZ노인,65세 넘어서도 생활비와 납부금 때문에 계속 일해 NZ코리아포.. 18.04.16.
3896 뉴질랜드 뉴질랜드 의학협회, 블랙 마켓 증가 경고 NZ코리아포.. 18.04.17.
3895 뉴질랜드 “아이언 아이즈” 현대무용으로 표현하는 북한 이야기, 17일 첫 공연 NZ코리아포.. 18.04.17.
3894 뉴질랜드 위급할 때 통신장비 중요성 보여준 등반객들, 악천 후 속에 3일 만에 구조돼 NZ코리아포.. 18.04.17.
3893 뉴질랜드 대장암 스크린 프로그램 착오, 30명 암으로 발전 NZ코리아포.. 18.04.18.
3892 뉴질랜드 안작 데이 기금 모금함 도난, RSA 분노 표해 NZ코리아포.. 18.04.18.
3891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버스 전용차선, 1년동안 백만 달러 이상 벌금 NZ코리아포.. 18.04.18.
3890 뉴질랜드 IMF, 외국인 부동산 취득 금지-차별적 조치라 지적 NZ코리아포.. 18.04.19.
3889 뉴질랜드 의사 치료비 대신 낸 여성, SNS에서 그녀의 선행 칭찬 NZ코리아포.. 18.04.19.
3888 뉴질랜드 오클랜드 북서쪽 6천 여 세대 신규 주택 단지, 무산 가능성 NZ코리아포.. 18.04.19.
3887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정치인, 아시안 차 번호판 A로 바꿔야 한다고... NZ코리아포.. 18.04.19.
3886 뉴질랜드 올해 예산안에서 시민이 가장 원하는 우선 순위는? NZ코리아포.. 18.04.19.
388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예비 구매자 선호지역 주택 수요, ‘강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84 호주 NSW 주, ‘바위낚시 구명조끼’ 자발적 참여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83 호주 ‘인터랙티브 맵’으로 시드니 전역의 ‘불안전’ 구역 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82 호주 전 세계 1% 상위 부자들의 자산 증가 가속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81 호주 사립학교 한 해 수입, 공립학교 비해 ‘두 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80 호주 멜번, ‘라이브 음악’ 메카로... 공연장 수 가장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9 호주 자유당 알렉산더 의원, “주택가격 안정화 전쟁 끝나지 않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8 호주 호주 정부 이민 정책, “뉴질랜드인 받고, 아시아인 줄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7 호주 광역시드니, 최고 ‘Workholic’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6 호주 호주 내 해외 유학생, 54만 명 넘어... 역대 ‘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5 호주 지난 5년 사이 일자리 100만 개, 최대 직업창출 분야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4 호주 “이민자 줄면 호주 경제도 쇠퇴, 생활수준 저하...”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3873 호주 시드니 남서부 산불 ‘소강 국면’…홀스워씨 주민들 ‘안도’ 톱뉴스 18.04.20.
3872 호주 시드니 여객기 폭파 모의 테러 용의자 2명 이라크서 체포 톱뉴스 18.04.20.
3871 호주 자유당 텃밭 지역에 몰린 이민자들 톱뉴스 18.04.20.
3870 호주 “기술이민자는 국가 부 창출의 견인차” 톱뉴스 18.04.20.
3869 호주 호주정부, 가족 이민 초청자 재정 요건 대폭 강화 99개 비자 조항은 10개로 축소 톱뉴스 18.04.20.
3868 호주 첫 주택 구입자를 위한 최선의 대출 비결 톱뉴스 18.04.20.
3867 뉴질랜드 선물가게 도둑질에 사용된 구세군 트럭 NZ코리아포.. 18.04.20.
3866 뉴질랜드 3명 죽은 교통사고 가해 운전자 “보석 조건 어긴 20세 마약 전과자” NZ코리아포.. 18.04.20.
3865 뉴질랜드 규정대로 임금 지급하지 않은 식당 대표 “7만 달러 벌금 내게 돼” NZ코리아포.. 18.04.20.
3864 뉴질랜드 밤하늘 휘황 찬란하게 수놓은 남극 오로라 출현 NZ코리아포.. 18.04.21.
3863 뉴질랜드 폭발 직전의 차량에서 생명 구해낸 용감했던 경찰관과 주민 NZ코리아포.. 18.04.21.
3862 뉴질랜드 부모가 천 킬로를 넘는 거리를 달려 자식을 데려온 이유는? NZ코리아포.. 18.04.23.
3861 뉴질랜드 1955년 이후 해외에 묻힌 NZ군인 유해, 고국 환송 시작 NZ코리아포.. 18.04.23.
3860 뉴질랜드 말썽 많은 더니든의 연례 길거리 학생 파티 “큰 문제 없이 끝났다” NZ코리아포.. 18.04.23.
3859 뉴질랜드 관광객 증가로 둥지 위협받는 멸종 위기 펭귄들 NZ코리아포.. 18.04.23.
3858 뉴질랜드 1/4분기 전국의 목장 매매 부진 원인은 “소 전염병” NZ코리아포.. 18.04.23.
3857 뉴질랜드 빨래 널다 기겁한 할머니, 주택으로 돌진한 승용차 NZ코리아포.. 18.04.23.
3856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부부, 6개월 만에 또다시 아보카도 절도 피해 NZ코리아포.. 18.04.24.
3855 뉴질랜드 세 명의 여성 동시 임신시킨 중국 이민자, 추방 3년 보류 NZ코리아포.. 18.04.24.
3854 뉴질랜드 스마트폰 중독, 사람을 우울하게 해 NZ코리아포.. 18.04.24.
3853 뉴질랜드 안작군 루트 관광, 갈로폴리 버스 전소돼 NZ코리아포.. 18.04.26.
3852 뉴질랜드 퀸스 타운의 번지 점프,카운트 다운에도 미소만... NZ코리아포.. 18.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