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 경제 1).jpg

전 세계의 경기 둔화와 달리 호주는 비교적 앞선 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내수 침체와 중국에 대한 지나친 무역 의존도로 인해 ‘운 좋은 행보’(lucky streak)가 끝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영국 경제전문지 ‘The Economist’, 아시아판 편집장 진단

 

전 세계적인 경기 둔화 속에서 호주 경제는 부러운 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내수 침체와 중국에 대한 지나친 무역 의존도로 인해 ‘운 좋은 행보’(lucky streak)가 끝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고 지난 주 금요일(26일) ABC 방송이 보도했다.

영국 경제 전문지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 아시아판 에드워드 맥브라이드(Edward McBride) 편집장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는 두 차례의 금융위기 속에서도 꾸준한 성장과 상대적 회복력을 보여온 글로벌 상위 경제 국가 중 하나이다.

이를 기반으로 전 세계적인 임금 정체 확산과 달리 지속적인 임금 인상을 보여 왔다는 것은 다른 부유한 경제 강국과도 비교할 수 없는 점이다.

맥브라이드 편집장은 보고서에서 호주 경제의 지속적 성장에 대해 30여 년 전 노동당 밥 호크(Bob Hawke)와 폴 키팅(Paul Keating) 정부 당시 호주 달러를 발행하고 금융 부분 규제를 철폐하는 등의 개혁으로 기반을 다졌으며, 이어 호주 자원 붐이 끝나면서 단행했던 최근의 경제 다변화에 힘입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27년간 경기 침체가 없고 적절한 의료 복지 및 연금을 제공해 온 것은 호주의 경제 위상을 보여주는 주요 증거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맥브라이드 편집장은 이번 보고서에서 호주의 대중국 무역 의존과 내수 침체는 호주의 경제적 성공의 버팀목이 되던 정책 불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에 대한 ‘사드 보복’...

호주도 ‘경제 보이콧’ 가능성

 

호주무역투자위원회(Australian Trade and Investment Commission)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1천830억 달러에 이르는 수출 및 수입을 기록한 호주 최대 무역 파트너이다.

호주의 두 번째 무역 교류 국가는 미국을 능가한 일본으로 교역 액수는 지난해 710억 달러에 달했다.

중국은 호주의 가장 큰 철광석(iron ore), 구리, 울(wool), 와인 수입국이며 또한 호주로 들어오는 전 세계 관광객의 16%를 차지한다.

맥브라이드 편집장은 보고서에서 베이징의 경제 보이콧이 호주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 보이콧 상황은 과거에도 있었기 때문에 호주에 대해서도 가능성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한국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배치를 결정한 이후 지난해 중국은 한국에 대한 경제 보이콧을 결정했으며, 이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맥브라이드 편집장의 이 같은 분석에 대해 시드니대학교 중국 비즈니스 전문가인 한스 헨드리슈케(Hans Hendrischke) 교수는 “호주와 중국간 무역 관계는 상호적”이라는 의견이다.

헨드리슈케 교수는 맥브라이드 편집장이 제시한 분석에 대해 “이 시나리오의 문제점은 중국이 호주와의 무역을 일방적으로 감소하는 것에 대한 중국의 정치적 이득이 분명하지 않은 상황임에도 호주 경제에 당장 해가 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라며 “호주와 중국은 양측이 서로 보유하지 못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방 정부 무역-관광-투자부를 담당하는 사이먼 버밍엄(Simon Birmingham) 장관은 ABC 방송에서 “호주는 다자간 무역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지지할 것”이라며 “인도네시아, 홍콩, 유럽 연합과의 무역협정으로 호주 기업들에게 새로운 문을 열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버밍엄 장관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조치가 지속되는 가운데 무역 관련 성명을 통해 “우리(호주)는 미국과 중국, 그 외 다른 국가들과 강력한 무역 및 투자 관계를 맺고 있다”며 “모든 당사국에게 오랜 시간 확립된 국제무역 규칙을 존중하고 궁극적으로 나른 국가의 경제를 손상시키는 행동은 피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종합(호주 경제 2).jpg

30여 년 전 노동당 밥 호크(Bob Hawke)와 폴 키팅(Paul Keating) 정부 당시 호주 달러를 발행하고 금융 부분 규제를 철폐하는 등의 개혁으로 경제 성장의 기반을 다졌지만 근래의 정치 불안은 경제 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우려되는 것은

호주 국내 정치 상황”

 

이번 보고서에서 맥브라이드 편집장이 분석한 또 하나의 주요 요소는 호주 경제의 강세가 선진국 가운데서 가장 앞서고 있는 반면 국내 정치 상황은 우려를 주고 있다는 것이다.

집권 정당 내에서의 당권 경쟁 등 정치적 내분은, 호주 경제는 물론 외교에 타격을 줄 뿐 아니라 기업 활동에도 영향일 미치게 된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보고서에서 맥브라이드 편집장은 최근 10여년 사이에 나타난 총리(Prime Minister) 교체는 국민들에게 향후 정책 전반에 대한 환멸감을 불러 일으켰다고 지적했다. 사실 노동당 집권 당시인 지난 2010년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가 케빈 러드(Kevin Rudd)의 당권에 도전, 노동당 대표직을 차지하면서 27대 총리로 취임한 이후 지난 8월 자유당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이 당내 권력 투쟁 와중에서 사임,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이 새 총리 자리에 오르기까지, 연방 총선에서의 승리를 거치지 않고 당권에 도전해 대표직을 차지하면서 총리 자리에 오른 케이스는 무려 5차례나 된다.

보고서는 경제 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약화시키는 개인별 소득 수준이 하락하고 있으며, 이민자 수용 등 경제력을 뒷받침하는 정책 합의가 약화되는 것이 특히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 부분에 대해 맥브라이드 편집장은 “만약 정치인들이 스스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을 경우 호주는 경제 성장에 문제가 될 것”으로 진단하면서 “호주가 오랜 기간 큰 불황을 겪지 않았을 뿐 아니라 소득이 증가하고 이민 및 경제 개혁 측면에서 아주 두드러졌다는 점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는 데 놀랐다”고 전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호주 경제 1).jpg (File Size:79.1KB/Download:24)
  2. 종합(호주 경제 2).jpg (File Size:92.0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851 호주 시드니 경매 화제- 모스만 타운하우스, 예상가격 이하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50 호주 저탄수화물 맥주, 일반 맥주와 ‘체중 영향’ 차이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49 호주 수년간 이어진 주택 가격 상승, 자선단체 수익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48 호주 호주 구세군, 올해 ‘Red Shield Appeal’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47 호주 파라마타 카운슬, 다양한 문화유산 소개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46 호주 The 9 best holiday homes in Australia to stay at over the long weekend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45 호주 연방 정부의 사립학교 보조금 확대에 공립학교들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44 호주 브리즈번 작가 에밀리 오그래디, ‘보겔문학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43 호주 퀸즐랜드 주, ‘경제’ 부분에서 가장 ‘Hot’ 지역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42 호주 시드니 경전철 또 지연... 완공시기, 2020년 3월로 미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41 호주 빠르게 변화하는 직종... 2024년 일자리 창출은 어느 부문? file 호주한국신문 18.04.26.
3840 뉴질랜드 유아용 스낵에서 발견된 구워진 바퀴벌레 NZ코리아포.. 18.04.26.
3839 뉴질랜드 가출 하루 만에 돌아온 오클랜드 동물원 앵무새 NZ코리아포.. 18.04.26.
3838 뉴질랜드 이혼 후, 여성이 남성 2배의 경제적 부담 NZ코리아포.. 18.04.27.
3837 뉴질랜드 억세게 운좋은 사람, 로또 1등 두 번 당첨 NZ코리아포.. 18.04.27.
3836 뉴질랜드 뉴질랜드, 1인당 탄소 방출량 가장 높은 국가들 중 하나 NZ코리아포.. 18.04.27.
3835 뉴질랜드 향후 10년간, 280억 달러 예산으로 오클랜드 도로 개선 NZ코리아포.. 18.04.27.
3834 뉴질랜드 "평화, 새로운 시작", 남북 정상회담 소식 NZ에서도... NZ코리아포.. 18.04.27.
3833 뉴질랜드 심야에 과속 질주했던 오토바이 “경찰차는 피했지만 하늘의 눈에서는 못 벗어나” NZ코리아포.. 18.04.28.
3832 뉴질랜드 판문점 선언에 대한 뉴질랜드 언론 반응 NZ코리아포.. 18.04.28.
3831 뉴질랜드 NZ 찾은 방문객 “5년 만에 연간 120만명 증가했다” NZ코리아포.. 18.04.29.
3830 뉴질랜드 지난 3월, 석유류 수입 큰 폭 증가로 월간 무역수지 적자 기록 NZ코리아포.. 18.04.29.
3829 뉴질랜드 조기 교육 분야 교사들-부상 위험 등 높아, 관련 정책 시급 NZ코리아포.. 18.04.30.
3828 뉴질랜드 새로운 전화 사기, 분당 50달러 이상 손해볼 수도... NZ코리아포.. 18.04.30.
3827 뉴질랜드 오클랜드 콘테이너 항구 위치, 새로운 도심 개발 조감도 소개돼 NZ코리아포.. 18.05.01.
3826 뉴질랜드 “아마존 택스” 온라인 해외 구매,GST 15% 부과 방안 최종 발표 NZ코리아포.. 18.05.01.
3825 뉴질랜드 세계에서 가장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물고기, 티마루 해변에서 발견 NZ코리아포.. 18.05.02.
3824 뉴질랜드 수감자들, 교도관들로부터 성폭행과 성추행 당하고 있어 NZ코리아포.. 18.05.02.
3823 뉴질랜드 2018년도 뉴질랜드 교장단 한국방문 연수 알차게 마무리... NZ코리아포.. 18.05.02.
3822 뉴질랜드 오클랜드 모터웨이 확장 공사 중, 마오리 역사유물 발굴 NZ코리아포.. 18.05.02.
3821 뉴질랜드 전국적으로 응급실 찾는 환자수 최고 기록 NZ코리아포.. 18.05.02.
3820 뉴질랜드 뉴질랜드 실업률 10년래 최저 기록 경신 NZ코리아포.. 18.05.02.
3819 뉴질랜드 은퇴 앞둔 74세의 뉴질랜드의 최고령 경찰관 NZ코리아포.. 18.05.02.
3818 뉴질랜드 경찰, 20년 동안 수 천 건의 성범죄를 무혐의 코드로 잘못 입력 NZ코리아포.. 18.05.03.
3817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호주 소유 은행들, 키위에게 바가지 씌웠나? 조사 NZ코리아포.. 18.05.03.
3816 뉴질랜드 SPCA, 정규 직원보다 급여 없는 자원봉사자가 훨씬 많아... NZ코리아포.. 18.05.03.
3815 뉴질랜드 공사 현장에서 8천달러 상당의 부엌용 가구 사라져 NZ코리아포.. 18.05.03.
3814 호주 [정상회담 D-0] '停戰 65년' 마침표 찍고 평화체제 토대의 ‘이정표 설정’ 톱뉴스 18.05.03.
3813 호주 호주, “남북정상회담, 북한에 대한 외교적, 경제적 압박의 승리” 톱뉴스 18.05.03.
3812 호주 2018-19 예산안 ‘준 적극재정안…?’…법인세수 급증에 정부 ‘안도’ 톱뉴스 18.05.03.
3811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간판 및 차림표에 영어 문구 삽입 ‘의무화’ 톱뉴스 18.05.03.
38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라이드 주택, 60년 전 675파운드→124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3809 호주 크라운그룹, 시드니 도심 프로젝트 ‘Eastlakes Live’ 론칭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3808 호주 NSW 주, 다문화 커뮤니티 독감 예방 프로그램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3807 호주 “트리-멘더스”... 시드니에 나무 500만 그루 심기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3806 호주 ‘파워하우스 뮤지엄’, 2023년 파라마타로 이전 개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3805 호주 시드니 저소득층 대상 ‘적정 임대료’ 주택, 턱없이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3804 호주 곤스키 보고서, 학년별 아닌 ‘개인 맞춤형 교육’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3803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남성 비해 여성 수입 높은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
3802 호주 2015-16 Taxable Income- 호주의 고소득 상위 10개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