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캔터베리뱅스타운).jpg

캔터베리-뱅스타운(Canterbury-Bankstown) 카운슬이 최근 법원에 의한 지역 내 부동산 개발 신청 거절 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칼 아스포(Khal Asfour) 시장은 “카운슬이 지역 개발을 위해 적극 협조한 결과”라고 말했다. 사진은 아스포 시장(가운데)과 카운슬 의원들.

 

아스포 시장, “평균 40일 소요, NSW 주 전체에서 최고 중 하나”

 

캔터테리-뱅스타운(Canterbury-Bankstown) 카운슬이 최근 법원에 의한 지역 내 부동산 개발 신청 거절 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캔터버리-뱅스타운 카운슬의 칼 아스포(Khal Asfour) 시장은 금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8개월간 부동산 개발 신청 거절 건수가 35% 감소했으며, 현재 24개 프로젝트가 개발단계의 마무리 작업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며 “이는 카운슬이 개발 신청자들을 적극 협조하고 도운 결과”라고 전했다.

아스포 시장은 이어 “우리 도시의 성장을 계획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혁신적이고 질 높은 디자인을 장려하고 그렇지 않은 프로젝트는 거절하는 방식으로 이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 카운슬이 밝힌 바에 따르면 벨모어(Belmore)에 진행될 68가구의 아파트를 포함하는 1,890만 달러 상당의 다목적 개발 프로젝트 신청자들은 다음 달 카운슬의 지시에 따라 공사계획을 변경할 예정이다.

해당 개발 신청자들은 아파트 디자인 가이드라인(Apartment Design Guidelines. ADG)을 지키지 않았고 카운슬이 정한 지역환경 계획(Local Environmental Plan. LEP) 내 제한 높이를 넘겨 카운슬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아스포 시장은 “카운슬의 제재는 일관성과 효율성을 근거로 하고 있다”며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개발 신청 건이 법원으로 넘어가는 케이스가 줄어 개발 신청 절차가 빨라졌다.

아스포 시장에 따르면 지난 회계연도에는 12억 5천만 달러에 달하는 1,535개의 개발신청 건이 모두 승인됐으며, 신청 승인까지 평균 40일이 소요됐다. 이는 NSW 주에서 가장 빠른 승인 소요 시간이다.

카운슬의 부동산 개발 절차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cb.city/development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캔터베리뱅스타운).jpg (File Size:84.9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501 뉴질랜드 오클랜드 아파트 건설 붐, 올해 안에 2천 7백 세대 신축 NZ코리아포.. 18.07.17.
3500 뉴질랜드 펭귄 포함한 남극 생물들, 플라스틱 위협에 노출돼 NZ코리아포.. 18.07.17.
3499 뉴질랜드 중국인이 가고 싶은 나라 3위, 뉴질랜드 NZ코리아포.. 18.07.18.
3498 뉴질랜드 NZ, 가계 생활비 비용, 지난 한해 동안 3.1% 늘어나 NZ코리아포.. 18.07.18.
3497 뉴질랜드 주 4일 근무, 오클랜드의 교통 체증 완화에 도움될 수 있다고... NZ코리아포.. 18.07.18.
349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강화된 주택담보 대출 규정, 경매시장에도 ‘영향’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495 호주 “독감 백신 맞으세요”, NSW 주 보건부 대비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494 호주 뉴카슬에서 뉴질랜드 여행 가능... 16년 만에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493 호주 NSW 주 포키머신 수익, 2021년 70억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492 호주 트로이 그란트 경찰 장관, 내년 NSW 주 선거 불출마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491 호주 ‘2018 Dog Lovers Show’... 8월 4-5일 무어파크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490 호주 ‘다이렉트’와 ‘논스톱’ 항공편 차이는... ‘Pink-eye flight’는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489 호주 호주 이민자, 10년 만에 최저... 연 해외 유입 10%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488 호주 지난해 호주에 백만장자 7,260명 입국... 세계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487 호주 호주 인구, 역사적 이정표... 8월 초 2천500만 명 넘어설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3486 뉴질랜드 뉴질랜드 젊은이들, 벤처 사업 투자보다 주택 구입 위한 저축 NZ코리아포.. 18.07.21.
3485 뉴질랜드 뉴질랜드 과학자들, 식물 유전자 변형 개발 가능성 소개 NZ코리아포.. 18.07.21.
3484 뉴질랜드 이민자 간호사, 인종 차별과 문화적 갈등 계속돼 NZ코리아포.. 18.07.21.
3483 뉴질랜드 미 달러 대비 키위 달러 가치 하락, 일부 소비재 가격 안정 NZ코리아포.. 18.07.23.
3482 뉴질랜드 센터럴 오클랜드 임대 주택 공급 증가, 일부 임대료 인하 NZ코리아포.. 18.07.23.
3481 뉴질랜드 키위 10%정도, 부엌 오븐을 난방용으로 ... NZ코리아포.. 18.07.23.
3480 호주 이민자 유입량 10년 최저치…정치권은 이민 감축 논쟁 가열 톱뉴스 18.07.24.
3479 호주 5월 시드니 주택 대출 신청 1.1% 증가 톱뉴스 18.07.24.
3478 호주 쌍용차, 호주 직영판매법인 설립... SUV 시장 급성장 호주 본격 공략 톱뉴스 18.07.24.
3477 뉴질랜드 백 세대 넘는 대형 아파트 개발 현장, 공사 중단 NZ코리아포.. 18.07.25.
3476 뉴질랜드 담뱃값 인상 정책 재검토 지지하고 나선 데어리들 NZ코리아포.. 18.07.25.
3475 뉴질랜드 농촌 지역 전기 복구 로봇, 키위가 만들어 시험 중 NZ코리아포.. 18.07.25.
3474 뉴질랜드 카나비스 관련법 개정, 시민들 요구가 늘고 있어 NZ코리아포.. 18.07.25.
3473 뉴질랜드 무리와이 비치에 입장료가 있다고???못된 중국인 가이드... NZ코리아포.. 18.07.26.
3472 뉴질랜드 육군 신병훈련소에서 성적인 사건 발생, 교관들 무더기로 면직, 조사 중 NZ코리아포.. 18.07.26.
3471 뉴질랜드 어제 낙태 반대주의자들, 국회 앞마당에서 시위 벌여 NZ코리아포.. 18.07.26.
3470 뉴질랜드 노인 연금 수령자, 정부 보조금과 지출 비용 격차 점점 커져... NZ코리아포.. 18.07.26.
3469 호주 격전지 SA 마요의 최후 승자는? 톱뉴스 18.07.26.
3468 호주 스트라스필드, 부동산 침체기의 무풍지대…? 톱뉴스 18.07.26.
3467 호주 호주 소비자가 가장 신뢰하는 브랜드는? 톱뉴스 18.07.26.
3466 호주 연방정부 석탄 발전 정책 ‘청신호’ 톱뉴스 18.07.26.
3465 호주 “주택 개보수에 닫힌 지갑, 열어야 하는 이유” 톱뉴스 18.07.26.
346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침체된 시장, 예비 구매자들에게는 ‘내집 마련’ 기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63 호주 스트라스필드 ‘SP’, ‘Principal of the Year’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62 호주 페이스북-메신저에 방탄소년단 캐릭터 ‘BT21’ 스티커 적용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61 호주 스트라스필드, ‘e-폐기물’ 무료 폐기 공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60 호주 노동당 에마 후사 의원, ‘보좌관 상대 수퍼 갑질’ 파문 “일파만파” 톱뉴스 18.07.26.
3459 호주 주차공간 부족 이스트우드, 다층주차장 설립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58 호주 NSW 주, 초-중등학교 여학생에 교복 선택권 부여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57 호주 주택 임대료 가장 높은 광역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56 호주 전 세계적 항공기 조종사 부족... 호주도 지방 루트 운항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55 호주 ‘흙수저’로 태어났다면... 4대 손에서야 평균 소득 달성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54 호주 호주 일자리 붐, 주인공은 여성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53 호주 잘못된 시드니 인구밀도 측정, 바람직한 도시 개발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3452 호주 턴불 총리 “더 많은 기술 이민자, 외곽지로 보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