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잃어버린 세대 1).jpg

지난 세기 60여년간 진행됐던 백인-원주민 혼혈아 강제분리 정책의 희생자였던 ‘잃어버린 세대’(Stolen Generations)에 대해 NSW 주 의회가 실질적 보상 필요성을 언급했다. 사진은 잃어버린 세대 중 하나인 호주 원주민 패트릭 닷슨(Patrick Dodson)씨. 그는 “호주 원주민 정책은 없는 것이나 다름 없다”고 지적했다.

 

1997년 ‘Bringing Them Home Report’ 권고 내용 실행 필요

 

호주 원주민 ‘잃어버린 세대’(Stolen Generations)에 대한 국가 청문회 보고서인 ‘Bringing Them Home Report’를 검토한 NSW 주 의회가 이들에 대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임을 밝혔다고 금주 화요일(9일) ABC 방송이 보도했다.

‘잃어버린 세대’는 호주 연방 및 각 주 정부가 백인과 원주민 사이에 태어난 아이들을 ‘호주화’한다는 명목으로 원주민 부모에게서 강제로 분리해 백인 가정에 입양시킨 정책으로, 지난 1905년부터 1969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1970년대까지 실시되기도 했다.

지난 1997년 나온 ‘Bringing Them Home Report’는 호주 원주민에 대한 공식 사과 필요성을 비롯해 정부 정책에 따라 원주민 부모로부터 강제 분리되어 성장했던 세대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 내용을 담고 있으며, 지난 2007년 연방 총선에서 승리한 노동당 케빈 러드(Kevin Rudd) 대표는 수상 취임 얼마 후인 2008년 2월13일, 호주 역사에 길이 남은 원주민에 대한 공식 사과를 포함해 50가지 이상의 권고안을 실천한 바 있다.

하지만 NSW 의회는 금주 청문회에서 이들(잃어버린 세대)에 대한 주 정부의 대책은 불충분하며, 보상이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날 청문회에 출석한 호주 원주민 지원 기구 ‘Healing Foundation’의 리차드 웨스턴(Richard Weston) 이사장은 ABC 라디오 ‘AM’ 프로그램에서 “‘Bringing Them Home Report’의 권고안들은 시행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물론 사과는 분명 있었다”면서 “이는 수많은 권고안 중 하나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른 부분들은 실행되지 않았으며 ‘Bringing Them Home’을 위한 고문 역할 자리도 소수의 사람으로 채워졌다”면서 “그 보고서에 대한 전체적인 대책도 마련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날 청문회에는 ‘잃어버린 세대’ 중 하나인 로레인 피터스(Lorraine Peeters)씨도 출석했다. 피터스씨와 그녀의 일곱 형제들이 NSW 주 ‘브루워리나 원주민 미션’(Brewarrina Aboriginal Mission)에 강제 분리된 것은 그녀의 나이 불과 4살 때였다.

피터스씨는 같은 방송에서 “어린 소녀로 부모와 딸어져 그곳에서 살아가게 한 것은 정말 잔인한 처사였다”고 말했다.

“이후 14년 동안 그곳에서 백인이 되는 훈련을 받아야 했다”는 그녀는 “원주민 언어로 말하는 것, 또 원주민 문제를 이야기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았으며, 우리가 백인이라는 것은 잊거나 조금만 바르지 않은 행동을 해도 곧바로 처벌을 받았다”면서 “심지어 나를 담당한 직원은 늘 가죽채찍을 손에 들고 우리 주변을 서성거렸다”고 진술했다.

 

남부 호주(SA)와 유사한

보상 모델 채택 권고

 

지난해 남부 호주(South Australian) 주 정부는 당시 정부 정책에 의해 강제 분리된 세대에 대해 1천100만 달러의 보상 계획을 확정했다.

‘Healing Foundation’의 웨스턴 이사장은 “NSW 주의 같은 세대들도 비슷한 보상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들(잃어버린 세대)은 의미 있는 보상이 실질적으로 이뤄지기를 기대하며, 말로만 반복되기를 바라지 않고 배상, 반환, 재활, 금전적 보상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SA 주 정부의 계획에서 부족한 부분은, 현재 생존해 있는 이들에게만 보상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라는 그는 “지난 1997년 이 보고서가 나온 이후 NSW 주의 ‘잃어버린 세대’ 중에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이미 세상을 떠났다”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잃어버린 세대 1).jpg (File Size:38.0KB/Download:3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7 호주 광역시드니 각 지역의 성적 우수 학교들, 등록 학생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6 호주 “현 기준금리 유지, 추후 이자율 인상 없으리라는 것 보장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5 호주 아웃백 캠핑 여행 증가... SA 주 당국, COVID로 중단했던 내륙 여행 허용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4 호주 만성적 주택 부족 상황... 11개월 만에 주택가격 상승... 임대료 고공 행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3 호주 시드니 경전철 이용객, ‘COVID 제한 해제’ 이후 1년 사이 두 배 이상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2 호주 ‘Work from Home’ 협상... ‘호주 사무실 문화의 미래’, 새로운 도전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1 호주 “생산성 낮은 기업들, 대개는 이주 노동자에 의존... 생활수준 위협”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70 호주 생활비 위기 속 ‘빠질 수밖에 없는 함정’... BNPL 이용자 ‘고군분투’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69 호주 ‘Science of pokies’, 도박자를 유혹하는 포커머신의 설계와 작동방식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68 호주 연방정부,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 감안해 최저 소득계층 임금인상 ‘지지’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4.13.
467 호주 농업 체험 여행자 증가... TAS 농장-식품업체들, 방문객 유치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6 호주 Class warfare... NSW 각 학교에서의 폭력 행위, 지난 10년 사이 50%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5 호주 호주 일자리 호황 속 ‘안정적 실업률’ 이어져... RBA의 이자율 인상 ‘압력’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4 호주 호주인들, 지난 한해 갖가지 사기 행각 피해로 총 31억 달러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3 호주 시드니의 불평등 심화... NSW 거주민 100만 명 ‘빈곤’ 상태서 생활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2 호주 상위 10% 계층이 전체 경제성장 이익의 93% 차지... 호주, 경제 불평등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1 호주 자유당 지지자들, 당 지도부 ‘반대’ 불구, ‘Voice’ 관련 ‘Yes 캠페인’ 준비...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60 호주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 ‘Time’ 지의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59 호주 멜번, ‘세부기술 측면에서’ 시드니 제치고 호주 최대인구 도시로 발돋움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458 호주 Cancer Council, 상당수 호주인 건강에 영향 미치는 희귀암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