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청년 유권자 1).jpg

20년 전 출산장려 차원에서 연방정부가 도입한 'baby bonus'(신생아 출산 부모에게 5천 달러의 현금 지급) 시행 20년이 지난 지금, 당시 태어난 세대들이 투표권을 갖게 됨에 따라 올해 NSW 주 선거에서는 청년 유권자가 크게 늘어났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연방정부의 ‘baby bonus’ 도입 20년, Gen X-Gen Z 37%... 40대 미만 연령 51%

 

NSW 주 선거가 한 주 앞으로 다가왔다. 3월 25일(토) 치러지는 NSW 선거에서 두드러진 점은 크게 늘어난 젊은 유권자 비율이다. 이번 선거에서 투표권을 갖게 된 청년들이 크게 증가했으며 전체적으로 40대 미만 젊은 투표권자가 베이비붐 세대(Baby Boomers. 55-74세) 유권자 비율을 넘어선 것이다.

이처럼 투표권을 갖게 된 청년세대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20년 전 연방정부가 출산 장려 차원에서 도입한 ‘신생아 보너스’ 시행과 무관하지 않다.

20년 전 존 하워드(John Howard) 자유-국민 연립 정부에서 재무부를 맡고 있던 피터 코스텔로(Peter Costello) 장관은 호주인들이 더 많은 자녀를 갖도록 한다는 취지로 “한 명은 남편을 위하여, 한 명은 아내를 위하여, 그리고 한 명은 국가를 위하여”( one for your husband, one for the wife and one for your country)라는 말로 자녀 출산을 당부한 것으로 유명하다.

정부는 이 정책에 따라 신생아를 출산하는 부모에게 5천 달러를 일시금으로 지급했으며, 이는 ‘아이를 갖는 것이 부모로서의 책임’이자 ‘출산=애국’이라는 강한 사회적 메시지가 됐다.

그리고 이 제도로 인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와는 비교할 수 없지만, 어쨌거나 ‘작은 규모의 베이비 붐’이 일어났고, 당시 태어난 Z세대(Gen Z) 일부가 올해 성년이 되어 NSW 주 선거에서 처음으로 투표권을 행사하게 됐다.

하이스쿨 친구이자 올해 나란히 선거를 하게 된 차르 윌리엄스(Czar Williams)와 필립 인손(Phillip Ynson)은 정치권의 발언을 기대하고 있다. 현재 블랙타운(Blacktown)의 한 창고관리 직원으로 일하는 인손(18)은 투표를 2주 앞둔 시점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할 것인지 결정하지 않았지만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의식하고 미래에 변화를 가져오고자 하는 정치인에게 투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 한편 법학을 공부하는 그의 친구 윌리엄스는 인종차별 문제를 가장 염두에 두고 있다. 그는 “호주와 같은 다문화 국가에서는 포용성을 더 깊게 인식해야 한다는 생각”을 전했다.

 

종합(청년 유권자 2).jpg

NSW 주의 세대별 인구를 설명하는 ABC 방송 리포터. Z세대(Gen Z. 1996-2010년 출생, 10-24세)의 부상으로 올해 선거에서 40대 미만 유권자는 절반 이상(51%)에 달한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NSW 주에 거주하는 Z세대(10-24세)와 밀레니엄 세대(Millennials. 25-39세)를 합하면 전후(2차 세계대전 이후) 베이비붐 세대보다 많다. 40대 미만 세대가 NSW 주 전체 인구의 51%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투표에서 더 많은 영향력을 갖게 됐음을 의미한다.

시드니대학교 정치학 선임강사인 스튜워트 잭슨(Stewart Jackson) 박사는 “정치인들은 이 같은 인구 변화를 더디게 받아들였다”고 지적했다. “주요 정당들이 청년 유권자들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 같다”는 그는 “부분적으로, 노동당이 자유당에 비해 더 많은 젊은 유권자를 얻을 것이라 당연하게 여길 것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물론 현재 상황을 보면 노동당과 녹색당이 청년 유권자의 65-79%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잭슨 박사는 “대부분 젊은 유권자는 진보적 정치를 기대하고 있으며, 그 비율이 점차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종합(청년 유권자 3).jpg

시드니대학교 정치학 선임강사인 스튜워트 잭슨(Stewart Jackson. 사진) 박사. 그는 여전히 주요 정당의 주 관심은 젊은층보다 50대 이상 연령층에 집중되어 있음을 지적했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간호학을 공부하는 18세의 탈리아 스캔란(Taliah Scanlan) 또한 올해 주 선거에서 처음으로 투표권을 갖게 됐다. 올해 선거에서 그녀의 가장 관심거리는 미래의 직업 문제이다. 스캔란은 “노동당이 더 많은 간호 인력을 지원하고 싶다고 밝혔기에 이 정당을 주목하고 있다”며 “내게 있어 이는 정말로 중요한데, 졸업 후 간호사로 일하고 싶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잭슨 박사는 기후변화의 유령과 함께 성장한 세대에게 있어 환경 문제는 젊은 유권자들에게 핵심 이슈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간단하게 말해, 그들의 미래는 매우 현실적인 위험(기후변화의 심각성)이 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조슈아 클라크(Joshua Clarke)와 그의 친구 프레이저 그랜빌(Fraser Granville)은 올해 선거에 영향을 미칠 정책 중 하나로 ‘환경 문제’를 꼽았다. 클라크는 “사람들이 점차 환경 정책에 집중하고 정부와 협력하려 노력하는 것 같다”는 의견을 전했다. 그의 친구이자 대중음악 관련 일을 하는 그랜빌은 ‘원주민 권리’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필요로 하는 원주민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해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한편 잭슨 박사는 주요 정당의 정책, 선거 구호가 젊은 유권자 층을 파고들지 못하는 점도 언급했다, “그들의 시선은 여전히 구세대를 겨냥하고 있다”는 것으로, “40, 50대 및 이미 주택을 보유한 세대, 즉 주택, 주식 등 모든 형태의 개인 투자 측면에서 자본을 보유한 사람들에게 맞춰져 있다”는 지적이다.

잭슨 박사는 “그들은 부의 가장 큰 몫을 소유하고 있으며, 우리 사회 전체로 고르게 분배되지 않고 있다”면서 “현재 모든 연령대에서 부의 격차와 불평등이 증가하는 것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생활비 부담과 주택 위기는 젊은층의 걱정거리 목록에서 최상단에 놓여 있다. 잭슨 박사는 “연 수입 10만~20만 달러가 아니라면 도심과 가까운 지역에서의 주택 구입은 불가능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종합(청년 유권자 4).jpg

Z세대들은 기후변화의 유령과 함께 성장한 이들이다. 이 젊은이들이 정치인들에게 환경 문제에 주목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산 수지(Sans Souci)에 거주하는 25세의 자영업자 벤 호스트(Ben Host)씨는 아직 누구에게 투표할 것인지 결정하지 않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젊은이들은 정치인들의 시선 밖에 밀려나 있음을 느낀다”는 점이다. “우리는 그냥 무시당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는 그는 “정치인들의 관심은 나이 많은 이들에게 집중되어 있다”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 NSW 세대별 인구 비율

(세대 : 전체 인구 / 비율)

Gen Alpha(2011-2021년 출생, 0-9세) : 968,863명 / 12%

Gen Z(1996-2010년 출생, 10-24세) : 1,455,225명 / 18%

Millennials(1981-1995년 출생, 25-39세) : 1,722,207명 / 21%

Gen X(1966-1980년 출생, 40-54세) : 1,539,936명 / 19%

Boomers(1946-1965년 출생, 55-74세) : 1,750,515명 / 22%

Interwar(1945년 또는 그 이전 출생, 75세 이상) : 635,402명 / 8%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청년 유권자 1).jpg (File Size:87.9KB/Download:12)
  2. 종합(청년 유권자 2).jpg (File Size:77.5KB/Download:14)
  3. 종합(청년 유권자 3).jpg (File Size:79.7KB/Download:14)
  4. 종합(청년 유권자 4).jpg (File Size:46.0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01 호주 타스마니아 주, 법적 흡연 가능 연령 높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300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부족 심화로 ‘그래니 플랫’ 붐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9 호주 시드니 주택 부족... 노숙자 평균 5년 ‘길거리서’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8 호주 NSW 베어드 정부, 카운슬 합병 강제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5.12.23.
6297 뉴질랜드 뉴질랜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 순위 2위에 올라 [1] file 굿데이뉴질랜.. 15.12.30.
6296 뉴질랜드 재외국민 주민등록증 제도 실시, 7월1일부터 국내거소신고증 효력 상실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0.
6295 뉴질랜드 '옹알스 (ONGALS)' 결성 10주년 기념 첫 공연 뉴질랜드에서 무언 코미디로 언어의 장벽을 넘어 K-코미디 선보여 file 굿데이뉴질랜.. 16.01.13.
6294 뉴질랜드 세계은행, TPPA로 2030년까지 뉴질랜드 수출 규모 10% 성장 예상 굿데이뉴질랜.. 16.01.13.
6293 호주 시드니 훈련 중인 두산베어스, 호-뉴 대표팀과 친선경기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2 호주 2015년 ACT 부동산 최고 상승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1 호주 Good life... 고대 철학자에게서 길을 찾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90 호주 지난 12년간 호주인 주류소비 전반적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9 호주 어린이 5명 중 1명, 학업습득 능력 ‘취약’ 상태서 입학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8 호주 시드니 사립학교 학부모들, 학비 25만 달러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7 호주 고위 공직자들, 납세자 세금으로 만찬 즐겨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6 호주 상위 62명의 자산, 전 세계 절반의 재산 규모와 동일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5 호주 고령의 호주인 의사 부부, 이슬람 지하디스트에 납치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4 호주 디지털 시대의 직업 전망, 호주 청년들 “우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3 호주 호주 국가 형성의 시작 Australia Day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1.
6282 호주 버클루스 소재 저택, 1천800만 달러 경매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81 호주 호주 범죄조직의 불법 마약 저가공급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80 호주 2015년 호주 영화업계, 최고의 호황 누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9 호주 호주 주택가격, 세계 1위 홍콩에 버금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8 호주 “부동산 시장, 중국 정부 외화유출 통제에 영향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7 호주 호주 원주민들, 여전히 ‘Australia Day'서 소외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6 호주 호주 ‘공화제 전환’ 움직임, 다시 수면 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5 호주 에어 비앤비가 꼽은 전 세계 Top 10 인기 숙소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274 호주 멜번 경매 시장, 올해에도 호황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3 호주 강풍에 지붕 날아간 아파트... 황당, 분통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2 호주 스트라스필드 횡단보도서 젊은 대학생 숨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1 호주 패리 오키든, 드러나지 않았던 호주 최고의 부자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70 호주 ‘Lockout Laws’, 시드니 도심, ‘고스트 타운’ 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9 호주 NSW 베어드 주 수상, GST 관련 새 제안 내놔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8 호주 호주인 정서, “아직은 군주제 지지 우세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7 호주 시드니, 주요 도시 중 소득 불평등 가장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6 호주 Best experiences in Australia: The things we do better than anywhere els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04.
6265 호주 시드니 경매 낙찰률, 지난해 봄 시즌 이후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4 호주 NSW 주 상어위험 대처 프로그램, 실효성 ‘의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3 호주 알 카에다에 납치, 조설린 엘리엇 여사 풀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2 호주 경기회복 조짐? 지난 1월 구직광고 1%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1 호주 늦은 밤 호텔에 또 무장 강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60 호주 NSW 의회, “원주민 ‘잃어버린 세대’에 보상 이뤄져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9 호주 “높은 주택 임대료, 심한 ‘스트레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8 호주 정부의 세제개혁, 어디로 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7 호주 “교육 부문에서 우리 사회는 결코 평등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6 호주 “시드니 야간경제 몰락, ‘새 음주법’ 때문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5 호주 시드니 억만장자(super-rich)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4 호주 호주 현지인들도 잘 모르는 시드니 하버의 섬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1.
6253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고공행진 이어가... 3침실 주택 15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52 호주 ABS, 올 8월 센서스에 지역사회 협조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