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교육).jpg

호주 미취학 아동 5명 중 1명이 학습능력 취약 상태에서 학교에 입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취학 전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네 살짜리 아들에게 매일 밤 책을 읽어준다는 레베카 아모도로스(Rebecca Armodoros)씨.

 

부모의 책 읽어주기, 학업성적에서도 엄청난 차이로 나타나

 

호주 어린이 5명 중 1명이 학업습득 능력이 취약한 상태에서 학교에 입학하고 있다는 새로운 결과가 나왔다.

금주 화요일(19일) 연구 결과를 인용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이들 5명 중 1명의 아동은 언어, 인지능력 또는 의사소통 등의 측면에서 학교생활을 하기에는 다소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입학 후 ‘학업 준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언어 능력, 특히 영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가정 내에서의 언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배경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NSW대학교 유아교육 전문가 트레버 케어니(Trevor Cairney) 교수는 “이는 최상위층과 최하위층 간의 상당한 차이를 유발한다”면서 “매우 준비가 잘 된 상태의 최상위 그룹 아동이 있는 반면 최하위 그룹의 아이들은 상대적으로 덜 준비되어 있다”고 말했다.

부모들에게 있어 이러한 사실은 유아기 때부터 자녀에게 책을 읽어줌으로써 기본적인 읽고 쓰는 능력을 가르쳐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케어니 교수는 또한 “만약 이런 습관에 길들여지지 않을 경우 훗날 아이에게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케어니 교수는 “학습능력이 취약한 상태의 아이들이 학교생활을 시작할 경우 그렇지 않은 아이들과의 차이는 확연히 벌어지게 된다”며 “우리는 지난 수십 년간의 연구와 관찰을 통해 유아기의 중요한 교정시기를 놓칠 경우 아이의 성취도에서 다른 아이들과 큰 격차가 발생되고, 또 이 격차는 더욱 심화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전에도 유사한 연구 결과가 발표된 적이 있다. 퀸즐랜드대학교 연구팀은 이와 관련된 연구를 통해 “아이들의 학업성취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 한 가지는 바로 유아기 당시 독서 노출 정도”라는 사실을 발표했었다.

세 아이의 어머니로 시드니 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레베카 아모도로스(Rebecca Armodoros)씨는 매일 밤 아이들이 잠자리에 들기 전 책을 읽어주는 것이 가족의 가장 중요한 일과가 되었다고 말한다. 그녀의 네 살 아들인 노아(Noah)는 이제 곧 킨더가튼에 입학할 것이다.

“우리는 매일 이 일과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아모도로스씨는 “이는 노아에게 반드시 필요한 일 가운데 하나로 생각한다”면서 “내가 직접 하지 못할 경우에는 노아의 형이나 누나가 이 일을 대신한다”고 덧붙였다.

호주 자선단체로 취약계층 가정의 어린이에게 책읽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United Way’의 케빈 로비(Kevin Robbie) 대표는 “자녀의 학습이 학교 입학 전, 가정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많은 학부모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비 대표는 “아이들의 독서는 비단 학교만의 책임이 아니라, 오히려 부모들의 몫”이라며 “자녀와 함께 책을 읽는 시간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교육).jpg (File Size:32.7KB/Download:4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51 호주 ‘Snow Medical Research Foundation’, 자금지원 대상서 멜번대 제외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50 호주 위글스 ‘라이크 어 버전’ 커버 시리즈 넘어선 아웃백 작곡가의 ‘아이 러브 유’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9 호주 NSW 주에서 첫 ‘일본뇌염’ 사망자 발생... 보건당국, ‘주의-예방조치’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8 호주 NSW 주 보건부,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2’ 감염 급증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7 호주 ‘COVID-19 팬데믹’ 선포 2년... 잘못 알았던 것-주의해야 할 세 가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6 호주 팬데믹 이후의 새로운 직장문화, 업무 방식의 ‘초개인화’ 확산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5 호주 연방정부,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 우선 과제는 높아진 ‘생활비 압박 완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1044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906년에 지어진 파이브덕 소재 주택, 353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43 호주 팬데믹 사태 이후 해외 부동산 구매자들, 시드니 소재 주택에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42 호주 ‘Beef Australia’ 이벤트, 호주 최대 관광산업상 시상서 최고의 영예 얻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41 호주 중고차량 ‘주행거리 조작’ 후 판매 적발 건수, 지난해 비해 4배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40 호주 2019-20 여름 시즌 산불로 봉쇄됐던 블루마운틴 일부 트랙, 개방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39 호주 SA 주 노동당 피터 말리나스카스 대표, 제47대 남부호주 주 총리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38 호주 37년 이어온 호주 최장수 드라마 ‘Neighbours’, 올해 종영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37 호주 뉴질랜드 정부, 4월 12일부터 COVID 검역 없이 호주 여행자 입국 허용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36 호주 “소셜 카지노 게임, 실제 도박만큼 중독성 있다”... 전문가들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35 호주 “당신의 기후변화 정책이 내 이웃을 죽였다”... 리스모어 거주민들, 총리 질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34 호주 전기차 이용에 대한 높은 소비자 관심... 각 주-테러토리 정부 지원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1033 호주 주요 도시 경매 낙찰률, 전년도 비해 다소 낮아져... ‘부동산 추’ 전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32 호주 시드니-멜번, 전 세계 도시 중 주택구입 가장 어려운 상위 5개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31 호주 ‘Infrastructure Australia’, “지방지역 급격한 인구 증가로 주택 부족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30 호주 노동당 알바니스 대표, “지방 지역 주택구입자 지원 방안 마련하겠다”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29 호주 연방정부 백신자문그룹, 건강상 취약 그룹에 4차 COVID-19 백신접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28 호주 호주로 입국하는 해외여행자들의 ‘출국 전 COVID 검사’, 폐기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27 호주 멜번 연구팀, 두 가지 새 유형의 COVID-19 백신 임상시험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26 호주 임산부의 ‘태아 상실 초래’한 범죄, 보다 강력하게 처벌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25 호주 낮시간 활용하는 일광 절약,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24 호주 2022-23 Federal Budget; 모리슨 정부의 4기 집권 노린 ‘선거 전 예산’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23 호주 2022-23 Federal Budget; 각 부문별 Winner & Loser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1022 호주 리드컴에 들어서는 ‘리드컴 센트럴’, 한인상권 중심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21 호주 “정부의 첫 주택구입자 지원 정책, 저소득 가구에 도움 되지 않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20 호주 정부 연료소비세 인하... ACCC 통해 휘발류 소매업체 ‘감시’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19 호주 호주 고고학자들, 5만 년 전 서부호주 사막의 고대 화덕-와틀과의 연관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18 호주 NSW 주 정부, ‘시니어카드’ 30주년 기해 디지털 옵션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17 호주 타스마니아 주 피터 거트웨인 주 총리, 정계은퇴 ‘깜짝’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16 호주 “거주 지역이 치매 위험에 영향 미친다”... 모나시대학교 연구팀 연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15 호주 수십 명의 여성들이 누드 상태로 Perth CBD 거리에 선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14 호주 요양시설 거주 노인 5명 중 1명, 화학적 억제제인 항정신성 약물 투여 받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13 호주 “팬데믹 상황이 힘들다고? 1846년 전, ‘인류 생존 최악의 해’가 있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12 호주 총선 겨냥한 연립 여당의 지원책 제시 불구, 노동당 지지율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1011 호주 관개시설 되어 있는 타스마니아의 ‘Vaucluse Estate’, 매매 리스트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4.14.
1010 호주 정부 개입의 ‘임대료 통제’, 호주의 ‘주택 위기’ 완화에 도움 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4.14.
1009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무료 수상 스포츠 강사 교육과정 재개설 file 호주한국신문 22.04.14.
1008 호주 ‘Buy Now, Pay Later’ 증가... “부채에 시달리는 이들, 더욱 늘어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4.14.
1007 호주 팬데믹으로 크게 감소한 멜번 인구, 2030년에는 시드니 능가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4.14.
1006 호주 NSW 보건부, “첫 ‘Deltacron’ 및 혼합 COVID 감염 사례 보고”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4.14.
1005 호주 50만 명 이상의 고령층, 65세에 은퇴 가능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4.14.
1004 호주 Federal Election 2022- 5월 21일로 확정, 본격 선거전 돌입 file 호주한국신문 22.04.14.
1003 호주 Federal Election 2022- 가장 큰 규모의 선거, 어떻게 치러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4.14.
1002 호주 토요일 오전의 주택 경매? 일부 전문가들, “좋은 아이디어는 아닐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