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gender pay gap 1).jpg

호주의 남녀 임금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최근 관련 당국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특히 45-64세 여성의 임금은 남성에 비해 연간 거의 4만 달러 차이를 보인다. 사진은 아침 출근 시간대의 한 사무용 건물. 사진 : Pixabay / StockSnap

 

46-65세 근로자 임금 약 4만 달러 차이, 간부직 여성은 거의 10만 달러 적어

 

호주의 성별 임금격차가 좁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45세에서 65세 사이 여성 근로자는 연간 약 4만 달러가 적으며 고위 간부직 여성의 경우에는 남성에 비해 거의 10만 달러나 적은 임금을 받고 있다.

연방정부의 직장 내 성 평등 기관인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WGEA)가 최근 분석한 호주 전역의 성별 임금격차는 여성 근로자들에게 암울한 그림을 보여준다는 진단이다.

최근 WGEA가 내놓은 ‘Wages and Ages: Mapping the Gender Pay Gap by Age’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 근로자의 경우 30대 중반이 되면 남성에 비해 임금격차가 더욱 벌어져 남성 10달러를 기준으로 여성은 7.78달러에 수준에 머물고 있다. 특히 이 격차는 이후 20년간 더욱 악화되다가 65세 이후 연령대에서 다소 좁혀지기는 하지만 결코 동등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현재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밀레니엄 세대 여성의 수입은 45세가 될 때까지 남성 임금의 70% 수준에 머물게 된다.

이와 관련, WGEA의 매리 우드릿지(Mary Wooldridge) 위원장은 “여러 요인들이 임금격차를 유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에 따르면 돌봄 서비스(care)나 교육 부문의 많은 저임금 일자리가 대부분 여성들로 채워지고 있지만 이는 실질적으로 임금격차 문제의 약 20%에 불과할 뿐이다. WGEA는 더 큰 요인으로 차별과 함께 여성들이 아이나 가족을 돌보기 위해 직장 밖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를 보면, 더 높은 임금의 일자리는 대부분 정규직으로 배정되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정규직으로 일하는 여성은 절반이 채 되지 않는다.

우드릿지 위원장은 “일부 여성은 자신의 필요에 의해 적은 근무시간을 선택하지만, 대부분 여성의 경우에는 대안이 없다는(적은 시간을 일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남성 중심의 정규직 업무...

여성들, 파트타임 배정

 

우드릿지 위원장은 “많은 경우 이는 진정한 선택(여성들 본인의 자발적 선택)이 아니다”고 말했다. “아이를 돌보는 보육시설을 이용할 수 없거나 직장으로 복귀하려 해도 선택권 행사에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어 그녀는 “우리가 원하는 것은, 여성의 재능을 활용하는 차원에서 그들이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은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고위 경영진의 파트타임 역할에 대해서도 진정으로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0년 빅토리아(Victoria) 주 테드 베일류(Ted Baillieu) 정부 당시 정신건강 및 여성부 장관직을 맡은 바 있는 우드릿지 위원장은 당시 자유당 주 정부 내 주요 요직에 일정 비율의 여성 의원을 할당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이제 그녀는 호주 기업들이 젠더 기반 목표들 달성하고 그 자료를 공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종합(gender pay gap 2).jpg

성별 임금격차 보고서를 내놓은 호주 직장 내 성 평등 기구인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의 매리 우드릿지(Mary Wooldridge) 위원장은 여성의 고위직 보장을 위해서는 직업 공유와 같은 유연한 근무 옵션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사진 : Nine Network 뉴스 화면 캡쳐

   

우드릿지 위원장은 “각 기업은 성별 임금격차가 어디에서 시작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며, 지속적으로 그 성과를 확인하여 이를 이사회에 보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Philips Electronics’ 사에서 서비스 광고 관리자로 일하는 코니 크라파로타(Connie Craparotta)씨는 30대 초반의 나이가 되었을 때 선택의 갈림길에 서게 됐다. 모든 여성들처럼 육아와 경력 가운데 하나를 택해야 했던 것이다.

“가족과 직업 모두를 가질 수 없다는 사회적 압박이 있다”는 그녀는 “나는 내 경력을 소중하게 생각했고, 그래서 회사에 남고 싶었다”고 털어놓았다. 그녀가 회사로부터 더 높은 임금을 보장받는 고위 관리직 제안을 받았을 때, 그 고민은 더욱 혹독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그 업무는 세 자녀를 키우면서 감당하기에 너무 벅찬 정규직이었다.

대부분의 여성들이 경력을 포기했을 터이지만 크라파로타씨는 나름의 계획을 세웠다. 그것은 동료와 역할을 공유하는 것이었고, 이런 제안에 회사는 6개월간의 시범적 시행에 동의했다. 그리고 그 기간 안에 이들은 목표를 초과 달성했고, 그 직책을 정식으로 인정받았다.

 

최고 소득능력 연령에서

임금 격차 가장 두드러져

 

WGEA의 이번 보고서는 호주 전역 300만 명 이상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나온 것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여성은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에 비해 적은 임금을 받지만 특히 최고 소득능력에 이르는 45세-64세 사이에서 가장 큰 임금격차를 드러냈다. 이 연령대의 임금격차는 약 40%, 연간 4만1,000달러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이 계층의 관리자 10명 가운데 6명 이상이 남성이었다. 55세 이상 고위직이나 최고경영자(CEO) 역할에서의 임금격차는 더욱 벌어져 평균적으로 남성보다 약 9만3,000달러가 적었다.

우드릿지 위원장은 “고위직에서 더욱 크게 벌어지는 남녀간 임금격차는 여성에 대한 뿌리 깊은 편견의 또 다른 증거”라고 말했다. “이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게 평가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우드릿지 위원장은 여성이 고위 직책으로 승진하기 위해서는 직업 공유와 같은 유연한 근무 옵션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또한 남녀(부모)에게 동일하게 제공되는 유급 육아휴직, 저렴한 보육시설 이용 지원 등 성별 임금격차 해결을 위한 일련의 정책 중 하나라는 것이다.

 

■ 성별 임금격차

(남성 임금 10달러 대비 여성 소득)

24세 미만 : 9.75

25-34세 : 8.75

35-44세 : 7.78

45-54세 : 6.98

55-64세 : 6.81

65세 이상 : 7.47

Source: Workplace Gender Equality Agency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gender pay gap 1).jpg (File Size:138.7KB/Download:13)
  2. 종합(gender pay gap 2).jpg (File Size:72.6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901 호주 배우 겸 코미디언 하미시 블레이크씨, 호주 방송대상(‘Gold Logi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900 호주 NSW budget 2022- 주 정부 예산적자, 113억 달러로 3배 이상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9 호주 NSW budget 2022- 다문화 커뮤니티 문화 행사 지원 예산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8 호주 NSW budget 2022- 새 예산 계획의 Winner and Loser는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7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국가 최저임금 5.2% 인상 결정... 주 $40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896 호주 ‘Shared Equity Scheme’으로 일부 계층의 주택구매, 한결 수월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5 호주 NSW 주 정부의 토지세 개혁, 광범위한 이점은 아직 부족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4 호주 NSW 주, 스몰비즈니스 관련 이벤트 개최 단체에 보조금 제공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3 호주 세금신고 준비... “직종에 따라 법적으로 청구 가능한 항목들 많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2 호주 NSW 주, 불법 파업단체에 대한 처벌 강화... 노사관계법 개정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1 호주 호주의 첫 ‘오미크론’(Omicron) 변이 파동, “드러난 것보다 더 컷을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90 호주 Census 2021... 호주, 무종교 인구 증가-문화적 다양성은 더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9 호주 호주의 비공식 국가 이념 ‘mateship’,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888 호주 NSW 주, 7월 17일까지 무료 독감 예방접종 ‘연장’ 제공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7 호주 NSW 주의 도로 통행료 경감 프로그램, 이달 1일부터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6 호주 독감 또는 COVID-19 증상이 느껴진다면... ‘복합 바이러스 검사’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5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4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실생활에 미칠 영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3 호주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호주의 빈 주택, 전체의 10% 달하는 100만 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2 호주 호주의 COVID-19 사망자, 1만 명 넘어서... 다른 국가와의 비교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1 호주 기후변화 심각... 2030년까지 25가구 중 1가구, 주택보험 가입 불가능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80 호주 2022-23 회계연도, 변경되는 규정은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9 호주 Sydney's gangland... ‘범죄도시’라는 오명을 얻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8 호주 Census 2021- ‘이너 시드니’ 경제 수준, 호주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877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지방 지역 이주, 지난 5년 사이 최고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76 호주 시드니-멜번 부동산 시장 위축 불구, 12개월 사이 가격 상승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75 호주 2019-20년도 호주 전역 ‘여분의 침실’ 1,300만 개... 더 나은 용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74 호주 IT 분야의 빠른 기술 발전 불구, NSW 주는 19년 전 강의 계획 ‘그대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73 호주 COVID-19 4차 접종, 7월 11일부터 가능... 알아야 할 사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72 호주 ACMA, 이동통신사에 ‘문자메시지’ 관련 새 규정 적용... 사기행각 차단 위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71 호주 호주 소비자들의 ‘Buy now, Pay later’ 지출, 119억 달러로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 호주 국가 성별 임금격차 분석... 여성 근로자에 ‘암울한 그림’ 보여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69 호주 NSW 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중 가장 많은 인구 순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68 호주 호주인들, 이전보다 더 장수하지만 만성질환 안고 있는 이들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14.
867 호주 시드니 지역 주택 임대료,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후 19%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66 호주 NSW 주 정부, 스몰비즈니스-NFP 단체 대상으로 홍수피해 지원금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65 호주 COVID-19 감염자 다시 확산... 정부, 실내 마스크 착용 강력 ‘권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64 호주 NSW 주 정부, 취약 지역사회 대상 RAT 키트 무료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63 호주 6월 종료된 COVID-19 병가 보조금 지급, 9월 말까지 연장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62 호주 하루 필요한 양의 야채 섭취하는 호주 성인, 10명 가운데 1명도 안 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61 호주 6월 호주 실업률 3.5%로 하락... 거의 9만 개 일자리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60 호주 서부호주 항구도시 프리맨틀, ‘World's top 50 travel destinations’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9 호주 2021년도 HSC 시험대상 학생들 부정행위, 이전년도 비해 27%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8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7 호주 호주 상위기업 CEO들은 어떻게, 얼마나 많은 급여와 보너스를 챙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6 호주 올해 5월까지 지난 1년 사이, 시드니 전역 주택 17채 가운데 1채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55 호주 NSW 주 기술-훈련부, 100만 명 이상 대상 TAFE 기술교육 제공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54 호주 Northern Territory 원주민 기대수명 증가했지만... “더 많은 노력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53 호주 인슐린 주사 필요성 없을 수도... 당뇨 환자들에게 ‘희소식 가능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52 호주 COVID-19 감염자 확산... 정부, 재감염 시기 관련 조언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