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탄소세 2).jpg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대비, 케빈 러드 정부 당시 발의돼 길라드 정부 시절 시작된 탄소세가 실시 2년 만에 폐지가 결정됐다. 영국은 지난 2002년 세계에서 가장 처음 ETS(emissions trading scheme)를 채택한 바 있다. 사진은 기업의 탄소배출을 보여주는 공장 굴뚝 모습.

 

호주 현대 정치사의 가장 치열한 논쟁 중 하나

 


오랜 논란 끝에 탄소세(Carbon Tax) 폐지 법안이 상원 의결을 통과했다. 지난 2012년 노동당 정부에서 시작된 탄소세 폐지 문제는 호주 현대 정치에서 가장 치열한 논쟁을 벌인 사안 중 하나이기도 하다. 탄소세와 관련된 Timeline을 알아본다.

 


■ 1997년- 호주, 교토 의정서(Kyoto Protocol) 비준 거부

호주와 미국은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협약 제3차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된 ‘교토 의정서’(Kyoto Protocol) 즉,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관한 의정서 비준을 거부했다. 교통의정서는 지구온난화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 이행 방안으로,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규정한 것이다.

 


■ 2002년- 영국, ETS 채택

5년 뒤인 2002년, 영국은 전 세계 최초로 탄소 배출량 거래제도(emissions trading scheme)를 채택했다.

 


■ 2007년 7월17일- 하워드 수상, ETS 제안

자유당의 존 하워드(John Howard) 수상은 그 해 연방 총선에서 승리할 경우 탄소 거래 제도를 실시하겠다고 공포했다. 하워드 수상은 당시 ABC 방송을 통해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하면서 ETS를 구현하고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장기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호주가 향후 10년을 구상하는 가장 중요한 경제적 결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2007년 12월3일- 케빈 러드 수상, 도쿄 의정서 비준

2007년 연방 총선에서 승리, 집권당이 된 노동당의 케빈 러드(Kevin Rudd) 수상은 집권 이후 가장 먼저 교토 의정서에 비준했다.

 


■ 2008년 말- 러드, 탄소오염 감소 계획 발표

집권당인 노동당이 2010년 7월부터 생태계 보호를 위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으로 탄소배출권 거래제(cap-and-trade)인 탄소오염 감소 계획(Carbon Pollution Reduction Scheme. CPRS)을 공표했다.

러드 수상은 “호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까지 2000년도의 5% 수준으로 줄이겠다”고 말했다.

 


■ 2009년 8월- CPRS 법안, 의회서 부결

러드 수상이 발표한 탄소오염 감소 계획(CPRS) 법안이 의회에서 부결됐다.

 


■ 2009년 11월24일- 러드 정부, CPRS 수정

러드 정부는 의회에서 CPRS가 부결되자 이 법안을 일부 수정했다. 하지만 호주의 주요 기업들, 특히 호주 광물위원회(Minerals Council)는 이 계획이 실행될 경우 대규모 실업사태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반대 캠페인을 전개했다.

 


■ 2009년 11월-12월- 러드 정부, 야당과 거래

러드 정부는 기업들의 이 같은 캠페인에 맞서 야당(자유당) 말콤 턴불(Malcolm Turnbull) 대표와 협상을 시작했으며, 말콤 대표는 노동당의 CPRS 수정안에 대해 자유당 소속 의원들이 지원해줄 것을 설득했다.

이런 가운데 그해 12월1일 자유당 대표 경선에서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의원이 당선되고, 애보트 대표는 노동당의 이 계획에 대한 자유-국민 연립의 지원을 철회했다.

CPRS 수정안은 다시 의회에서 부결됐다.

 


■ 2009년 12월- 코펜하겐 협상 결렬

전 세계 온난화를 제한하기 위해 코펜하겐(Copenhagen)에서 열린 2주간의 유엔 회의에서 이에 대한 법적 구속력 합의가 결렬됐다.

각국 환경장관들은 이 논의에서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제외하면 안 된다며 반발, 합의가 결렬됐다.

 


■ 2010년 2월2일- 야당 애보트 대표, 배출가스 감축 정책 발표

야당인 자유당의 애보트 대표는 배출가스를 줄이는 농업 및 산업계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25억 달러 규모를 지원하는 배출감축 정책을 발표했다.

애보트 대표는 “자유당의 제안은 현 집권당의 배출가스 감축과 같은 맥락이지만 집권당 계획과 달리 이로 인한 세금부담은 없는 안”이라고 말했다.

 


■ 2010년 4월27일- 노동당, ETS 계획 보류

러드 수상은 배출거래 계획을 2013년까지 보류하기로 했다. 이로 인해 노동당은 여론조사 결과 인기가 하락했다.

 


■ 2010년 6월24일- 줄리아 길라드, 노동당 대표로

노동당 지지도 하락을 틈타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 부수상이 노동당 원로 의원들을 규합, 러드 대표(집권당 수상)를 규탄하며 새 대표 선출을 종용. 길라드가 대표에 선출되면서 집권당 수상에 올랐다.

며칠 후 길라드 수상은 연방 총선 이전 배출거래에 대한 노동당의 정책을 수정할 것을 암시했다.

녹색당의 밥 브라운(Bob Brown) 대표는 “만약 노동당이 연방 총선에서 승리, 재집권할 경우 녹색당은 탄소세 법안이 상원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 2010년 7월8일- 길라드, 탄소세 배제

줄리아 길라드 수상, 임시조치로 탄소세를 배제했다. 그녀는 “정부가 배출거래 계획을 계속 진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전, 2012년 말까지 전 세계 진행 과정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2010년 7월18일- 애보트 대표, 탄소세 및 ETS 반대의사 표명

야당인 자유당 애보트 대표는 “자유-국민 연립이 연방 총선에서 승리할 경우 호주에서 탄소 가격은 없을 것”이라고 탄소세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그는 “ETS 도한 없을 것이며 다음 선거가 이뤄지기까지 이로 인한 세금부과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2011년 2월24일- 길라드, 탄소세 계획 발표

줄리아 길라드 수상이 2012년 7월부터 탄소세 부과를 실시하겠다는 비밀스런 계획을 발표했다.

야당의 애보트 대표는 이에 대해 “길라드는 연방 총선 전에 현 정부가 재집권할 경우 탄소세를 구현하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했었다”면서 “역사적인 배반”이라고 비난했다. 애보트 대표는 이어 “이에 대해 호주 국민들은 ‘시민 봉기’로 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몇 달 후 자유-국민 연립은 다음 연방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탄소세를 폐지할 것을 공식화했다. 애보트 대표는 “자유당이 집권할 경우 더 이상 탄소세와 광산세는 없다는 점을 완전히 신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2011년 11월8일- 탄소세, 상원 가결

길라드 정부의 탄소세가 상원에서 찬성 36, 반대 32로 가결됐다. 길라드 수상은 이에 대해 “호주 어린이들을 위한 승리”라고 말했다.

노동당은 이로써 탄소를 배출하는 기업에 1톤(tone)의 탄소배출에 대해 23달러의 세금을 부과하게 됐다. 유럽 기업의 탄소세는 1톤당 8~13달러 선이었다.

 


■ 2012년 7월1일- 탄소세 시작

새 회계연도가 시작된 7월1일부터 탄소세 부과가 시작됐다. 이로써 정부는 2013년 2월까지 첫 6개월 동안 38억 달러의 세수를 확대할 것으로 전망됐다.

 


■ 2013년 4-5월- 유럽 탄소가격 붕괴

4월, 경제성장 둔화로 유럽의 탄소 가격이 톤당 3.34달러로 내려갔다. 하지만 호주의 톤당 탄소배출 비용은 23달러로 고정됐다.

5월, 재무부는 향후 4년간 탄소배출에 따른 세수가 60억 달러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탄소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예측 하에 계획된 28억 달러의 세금감면 방침을 연기했다.

 


■ 2013년 7월14일- 러드 수상, ‘탄소세 변경 계획’ 발표

2013년 6월 길라드 수상의 인기도가 하락한 가운데 진행된 노동당 대표 선출에서 승리, 집권당 대표로 수상 자리에 복귀한 러드 수상은 탄소 배출에 대한 정부 입장을 변경했다. 그는 탄소세를 종료하는 대신 2014년 초부터 배출거래 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당시 배출탄소 가격이 톤당 24.15달러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톤당 6-12달러의 변동가격으로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야당의 애보트 대표는 “정부는 탄소세를 폐지하는 것이 아니라 이름만 변경하는 것”이라고 비난하면서 “연방 총선은 ‘탄소세에 대한 국민투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2013년 9월7일- 자유-국민 연립, 총선 승리

연방 총선에서 노동당을 누른 자유당(자유-국민당 연립)의 애보트 대표는 “탄소세를 폐지하는 법안이 100일 이내 의회에 상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탄소세가 폐지될 경우) 가구당 연간 550달러가량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애보트 정부는 탄소세와 함께 2020년까지 탄소배출을 5% 이내로 감축하는 ‘Direct Action’ 정책도 다른 계획으로 대체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는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위한 기업 지원, 토양탄소 보충을 위한 자금 및 2천만 그루의 식목 등이 포함되어 있다.

2010년 정책 문서에 따르면 이 계획에는 향후 4년간 32억 달러의 자금이 예정되어 있다.

 


■ 2013년 9월9일- 애보트 정부, 탄소세 폐지절차 시작

집권에 성공한 애보트 수상은 2013년 크리스마스 전까지 탄소세가 폐지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동당과 녹색당은 탄소가격 계획 폐지를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2013년 11월1일- 노동당, 탄소세 폐지 반대 입장 확인

노동당 간부들은 자체 투표를 통해 탄소세 폐지 반대 입장을 확인했다.

빌 쇼튼(Bill Shorten) 대표는 노동당 간부들이 이를 지지할 것임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 2013년 11월13일- 애보트 정부, 탄소세 폐지 법안 상정

애보트 수상은 연방 의회에 탄소가격 계획을 폐지하는 법안을 상정했다. 이 법안은 11월21일 하원을 통과했지만 상원에서 부결됐다.

 


■ 2014년 3월20일- 상원에서 또 부결

탄소세 폐지 법안이 다시 상원에서 논의됐으나 찬반 투표에서 노동당과 녹색당이 연합, 이 법안에 반대 의사를 밝힘으로써 찬성 29, 반대 33표로 부결됐다.

노동당은 “‘Direct Action’으로 불리는, 자유-국민 연립의 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대안 정책은 아무런 효과가 없으며 비용은 너무 많이 소요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녹색당의 크리스틴 밀른 대표 또한 “애보트 정부는 지구 온난화에 아무런 대책이 없기 때문에 현재의 법은 그대로 존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2014년 6월25일- 팔머연합당(PUP), 폐지안 지원 밝혀

팔머연합당(Palmer United Party. PUP)의 클리브 팔머(Clive Palmer) 대표는 법으로 소비자에 대한 저렴한 전기사용료가 보장될 경우 집권당의 탄소세 폐지 계획을 (상원에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팔머 대표는 사실 전 노동당 대표인 케빈 러드 수상이 제안한 배출거래 계획과 유사한 방안을 원한 바 있다. 하지만 그는 “주요 호주 무역 상대국 또한 이와 같은 계획을 실행할 때에만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었다.

다음 날, 애보트 수상은 “팔머 대표의 제안을 받아들이겠다”고 말했다.

 


■ 2014년 7월1일- 새 회계연도 상원 의회 시작

탄소세 폐지에 대해 노동당과 녹색당이 반대할 경우 자유-국민 연립은 상원에서 ‘크로스벤치’(crossbench. 중립의 입장에 있는) 의원 8명 중 6명의 지지를 받아야 했다.

 


■ 2014년 7월10일- 탄소세 폐지 법안 부결

집권당의 탄소세 폐지 법안을 지지하겠다고 밝힌 팔머연합당이 막판 반대 입장으로 돌아섬으로써 이 법안은 찬성 35, 반대 37로 상원 의결에서 다시 거부됐다.

클리브 팔머 대표는 법안 개정을 놓고 정부가 자기 당을 배반했다고 비난했다.

 


■ 2014년 7월17일- 탄소세 폐지 법안, 상원 통과

오랜 논쟁 끝에 상원 의원 투표에서 찬성 39, 반대 32로 탄소세 폐지 법안이 가결됐다. 법안은 노동당과 녹색당을 제외한 모든 군소 중립정당 소속 의원들이 팔머연합당의 주도로 집권당을 지지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1 호주 여행자 수요에 한정됐던 캐러밴, ‘임대 위기’ 상황 해결책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50 호주 재택근무자들, “더 긴 시간 일하고 효율성 떨어지며 체중 증가 경험” 토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9 호주 15년 만의 정신건강 관련 국가 조사, 젊은 여성층에서 ‘가장 위험’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8 호주 지원 연장된 COVID 병가 보조금, 지급 대상과 신청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7 호주 올 하반기의 호한경제협력위원회 회의, 핵심은 ‘녹색 에너지’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6 호주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인한 한 개인의 ‘잔혹하게 현실적인’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5 호주 전례 없은 ‘주거 위기’ 속, 호주 전역의 빈 주택 수 100만 채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4 호주 6월 분기 시드니-멜번 중간 주택가격, 2019년 초반 이후 처음으로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43 호주 호주 물가상승률 6.1%로 치솟았지만... “최고점 지나고 있다”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42 호주 NSW 교육부, 초등학교 내 방과 전후 돌봄 서비스 확충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41 호주 항체 관련 혈액검사... 호주 성인 COVID-19 감염 비율 최소 46%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40 호주 가계생활비 부담 크게 증가... 호주 중앙은행은 이를 어떻게 대처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9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50베이시스포인트 또 인상, 4개월 연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8 호주 호주 어린이들의 새 영웅으로 부상한 원주민 소녀 전사 ‘와일라’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7 호주 알바니스 총리, ‘Indigenous Voice to Parliament’ 관련 ‘국민투표’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6 호주 캔터베리 뱅스타운 카운슬, 일반 및 재활용 폐기물 분리 수거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35 호주 NSW 주 정부, 일선 가정-성폭력 지원 단체에 추가 기금지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34 호주 호주, “비자발급 지연으로 해외 재정 관련 전문인력 유치 실패...”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33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위축됐지만... NSW 주 지방 지역 주택가격 ‘지속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32 호주 전염병 대유행 이후 진단 지연됐던 말기환자 치료 수요,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31 호주 인플레이션 상승-실질임금 하락했으나 일부 기업 이익은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30 호주 NSW 주의 ‘포커머신’ 도박자들, 지난 30년간 1,350억 달러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9 호주 생후 6개월-5세 사이 취약 영유아 대상으로 COVID-19 백신 제공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8 호주 호주 최고의 엔터테이너 중 하나인 주디스 더엄씨, 7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7 호주 전염병 대유행 이후 ‘온라인 시험 부정행위’ 돕는 인터넷 사이트,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826 호주 ‘쉐어하우스’ 세입자들, 겨울 시즌 하루 17시간 ‘최저 건강온도’에서 보내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25 호주 라이드 지역구 빅터 도미넬로 의원, 은퇴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24 호주 NSW 주 법무부, 일선 비상상황 서비스 종사자 ‘법적 보호’ 강화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23 호주 파라마타에서 카툼바까지... ‘Great West Walk’ 산책로, 80km 연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22 호주 홍수로 인한 주거지 피해-임대료 관련, “보조금 신청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21 호주 은밀히 진행되는 대동맥 협착증, 향후 5년 내 5만 명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20 호주 정부, 첫 주택구입자 지원으로 205억 달러 지출했으나 그 효과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9 호주 5세 미만 영유아에 COVID-19 백신접종 승인 및 권장, 6개월 미만 신생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8 호주 호주 최고 소득자들, 퍼스에 거주... 연소득 최저는 NSW 주 일부 지방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7 호주 NSW 주 의회 업무 환경 조사- 성추행 및 폭행, 광범위한 ‘괴롭힘’ 만연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6 호주 NSW 주 의회 업무 환경 조사- 조사 대상자들, “It's a boys' club...”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815 호주 부동산 시장 최고의 ‘핫스폿’ 바이런 베이, 6월 분기 성장률 둔화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14 호주 3년 만에 개최된 ‘Ferragosto Festival’, 이전의 활기 다시 살아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13 호주 ‘JobTrainer’ 기금 지원, 2022-23년도 말까지 연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12 호주 NSW 주 정부, 심장병 환자 보호 위한 새 ‘앰뷸런스 패키지’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11 호주 시드니 센트럴 기차역, 바랑가루 이은 또 하나의 ‘문화 허브’로 재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10 호주 코카인, 시드니사이더들의 ‘메뉴’에 다시 등장... 적발 건수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9 호주 아직 COVID-19에 감염된 적이 없다? ‘운이 좋아서’ 만은 결코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8 호주 ‘클럽 비즈니스’ 쇠퇴... 호주 밀레니엄 세대의 밤 문화 트렌드 변화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7 호주 태양광 에너지, 특정 순간 호주 전역의 가장 큰 전력 공급원 되기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6 호주 실업률, 다시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하락 원인, 좋은 소식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5 호주 전 세계 최고의 현역 사이클링 선수들, 다음달 울릉공에 집결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4 호주 호주 커플들의 이혼 신청 급증... ‘divorce coach’, 새 직업으로 떠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3 호주 9월 예정된 ‘Jobs Summit’, 호주의 숙련기술 인력 수용에 변화 있을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802 호주 NSW 주 정부, 메도뱅크 TAFE NSW에 ‘Multi-Trades Hub’ 개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