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나플란).jpg

올해 치러진 나플란(NAPLAN)의 쓰기 문제가 너무 어렵다는 학생, 교사 및 교육 전문가들의 비판이 이어지면서 나플란을 주관하고 있는 ACARA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질문 선택권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시험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나플란 시험을 치루고 있는 학생들.

 

주관 기관인 ACARA, “여러 질문 제시해 선택권 갖도록 할 것” 밝혀

 


학생들의 학업평가 시험인 나플란(NAPLAN) 시험 가운데 올해 ‘쓰기(작문)’ 과목이 너무 혼란스러웠다는 지적이 나온 뒤 시험을 치루는 초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여러 질문을 제시해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검토될 전망이다.

 

나플란 시험을 시행하고 있는 ‘호주 교육평가 및 보고기관(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ACARA)은 “이미 많은 주와 준주에서 이런 지적이 제기되었으며 일부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설득력 있는 글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질문을 바꿔야 한다는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ACARA는 “단일 질문에서 벗어나 학생들 나이에 적합한 여러 질문(문제)을 만들어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등의 다른 의견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쓰기 시험은 2011년에 비해 모든 연령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NSW 주에서는 문학 및 수리 부분의 쓰기 시험에서 0점을 받은 학생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신의 관점에서 어떤 법률이나 규칙이 당신을 더 좋게 만드는가?’라는 질문은 어린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너무 어렵다는 비판을 받았다. 교사들은 학생에게 서술적 글쓰기를 가르치지만 시험의 질문이 설득적인 글을 요구할 경우 학생들은 당황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ACARA는 올해 처음으로 시행되는 새로운 쓰기 시험 스타일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NSW 교육부의 전 초등교육 담당 앤-매리 케네디(Ann-Marie Kennedy) 부국장은 “올해 쓰기 시험 문제를 봤을 때 충격을 받았다”고 전하며 “여덟 살 어린 아이들에게 규칙이나 법률에 대해 평가하라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녀는 “포트 매콰리(Port Macquarie)의 3학년 영재반인 손자 찰리(Charlie)도 쓰기 시험에서 0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찰리가 이러한 질문에 대해 한 번도 글을 써본 경험이 없기 때문”이라는 그녀는 “찰리는 시험지에 자신의 이름만을 썼기 때문에 최소 점수인 1점을 간신히 받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케네디 전 부국장은 이어 “찰리가 부모에게 ‘내가 모든 법에 대해 생각했을 때 나는 법이 다 좋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그것에 대해서 말할 게 없었다’고 말했다”고 전하며 “아이들이 법을 준수하는 가정에서 양육됐을 때 아이들은 법이 중요하다고 이야기 하는데, 이런 것을 물어보는 것은 너무나 터무니없다”고 지적했다.

 

미드-노스 코스트(mid-north coast) 지역에 있는 한 사립학교의 영어 교사는 “학교의 3학년 학생 중 적어도 6명은 시험 문제를 보았을 때 눈물을 흘렸다”면서 “문제를 풀려는 시도도 못했고, 대부분의 5학년 학생들 역시 질문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내가 질문을 접했을 때 5학년 학생들을 위한 문제가 아니지만 내 학생들이 나플란 시험을 치르고 있다는 것에 마음이 내려앉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쓰기 시험이 학생들을 혼랍스럽게 만든 것은 처음이 아니다. 2년 전 9학년 남학생들 역시 ‘요리’ 관련 질문에 매우 당황했었다.

 

2012년 쓰기 문제의 제시 문장은 ‘모든 사람들은 요리를 배워야 한다’ 였다. ACARA의 대변인은 “당시 문제는 질문의 주제뿐 아니라 질문과 함께 제시된 삽화였는데, 이 삽화가 너무 만화스럽고 어린 아이들을 위한 그림책에 나올 법한 그림이어서 문제다 됐다”고 말하며 “이런 이유로 그 다음 시험 문제부터는 질문의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을 넣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한편 NSW 초등학교 교장단(NSW Primary Principals' Association)의 제프 스콧(Geoff Scott) 회장은 “최근 나플란에 대한 비판은 이 시험이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51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치명적 질환에 시달렸던 역대 군주들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750 호주 The British Monarchy- ‘여왕의 생일’ 명칭, 언제 ‘King's Birthday’로 바뀌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749 호주 전염병 방역 차원의 호주 국경 폐쇄로 현재 19만 명의 ‘이민 인력’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748 호주 ‘COVID-19 종식 단계’ 진단에 호주 전염병 학자들, ‘대체적으로 동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747 호주 TGA, 생후 6개월 이상 유아에 ‘Pfizer COVID 백신’ 접종 승인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46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 자녀 ‘수영강습’ 지원하는 두 번째 바우처 사용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45 호주 ‘네거티브 기어링’ 혜택 감안, “투자자가 제공하는 임대주택 표준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44 호주 “제1형 당뇨 환자의 질병에 따른 ‘심적 부담’ 문제에도 주의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43 호주 UniSA 연구팀, 신진대사와 치매 관련 뇌 측정 사이 연관성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42 호주 이전 정부에 제출된 ‘비밀’ 보고서, “5년 이내 간병인 10만 명 부족” 예측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41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40 호주 대형 트럭 운전기사 부족... 일부 회사들, 연봉 15만 달러까지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9 호주 1천만 달러 이상 호화주택 거래, 지난 2년 사이 두 배로 늘었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8 호주 호주 연간 인플레이션 상승률, 7월 7%에서 8월 6.8%로 소폭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7 호주 가계생활비 압박 가중 지속... 슈퍼마켓 물품 절도행각도 빠르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6 호주 정부, ‘COVID 의무 격리’ 해제... ‘팬데믹 병가 지원금’ 제공도 종료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5 호주 팬데믹 사태에서 직종별 근무 상황 제각각... ‘주 4일 근무제’ 관심도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4 호주 임시비자 상태의 호주 내 숙련 기술자들, ‘스폰서’ 회사 내에서의 문제 털어놓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733 호주 빅토리아 자유당, 주 선거 앞두고 ‘대중교통 요금 극적 할인’ 파격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32 호주 냉각된 부동산 시장... 주택판매 수가 급격히 감소한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31 호주 2022년도 NSW 주 HSC 시험 시작.. 18일간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30 호주 NSW 주, 인지세 개혁 단계서 ‘online calculator’까지 선보였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9 호주 호주, 첫 ‘복합 COVID 부스터’ 프로그램 시작... ‘모더나’ 오미크론 백신 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8 호주 호주 가정이 겪는 높은 생활비 압박감, ‘COVID-19로 인한 스트레스’ 능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7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6 호주 Work has changed... NSW 노동당, ‘긱 경제’ 노동자에게도 보상-휴가 약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5 호주 내년 1월 1일부터 NSW 주 전역서 모바일 과속 단속 경고판 다시 등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4 호주 광역시드니 각 지방의회, 규제당국 설정 이상의 카운슬 비용 인상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3 호주 ‘COVID 기원’ 국제 조사팀, “동물성 전염병일 가능성 가장 높다” 결론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2 호주 NSW 법무부, ‘Coercive control’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새 법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1 호주 George Street 상의 ‘차 없는 거리’, 서큘러키 인근까지 연장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720 호주 NSW Ambulance-GoodSAM 협업으로 심장병 환자 위한 ‘앱’ 개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719 호주 아파트 구입 후 판매에서 손실을 본 시드니-멜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718 호주 COVID-19 병가 보조금 중단... 비정규 ‘감염’ 근로자들, 압박감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717 호주 ‘Times Higher Education’의 세계 대학 분석... 호주 대학들 순위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716 호주 Year 9 학생들 ‘쓰기 능력’, 지난 7년 사이 크게 감소... AERO 보고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715 호주 호주에 거주 중인 해외 엔지니어들 절반, 실업 상태이거나 다른 분야에 종사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714 호주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올해 처음으로 ‘Favourite K-Pop Artist’ 카테고리 신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713 호주 ‘6개월에 이르는 유급 육아 휴가’... 노동당, 점진적 확대 계획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712 호주 현금 보너스-미용비 제공... 고용주들, 다양한 복지로 기술인력 ‘유혹’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711 호주 인구조사 데이터... “신기술과 인구 고령화가 호주 노동력 재편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710 호주 ‘쉰들러 리스트’ 원작자 토마스 케닐리, ‘ARA Historical Novel Priz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
709 호주 NSW 보건부 브래드 하자드 장관, “정계에서 물러나겠다”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
708 호주 지난달 일자리 창출 고갈되었지만... 공식 실업률은 ‘안정적’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
707 호주 단독주택 가격 성장, 지난 수년 사이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 크게 앞질러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
706 호주 ‘정부 COVID-19 대책’에 대한 민간 검토 보고서, “중대한 실수...” 평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
705 호주 ‘컨트리 음악의 전설’ 슬림 더스티, 최근 검색엔진 ‘Google's doodle’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
704 호주 해외 출생 호주 이민자들, 높은 학력 불구하고 ‘구직’의 어려움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
703 호주 광역시드니의 주요 식량 공급처, 서부 지역의 농지가 사라지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
702 호주 Budget 2022- 호주인들, 향후 수년간의 어려운 재정 시기 견뎌내야 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