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HSC 부정시험 1).jpg

2021년 NSW 주의 HSC 시험에서 평가 대상자의 부정행위 적발이 이전에 비해 27%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은 이 같은 원인에 대해 전염병 사태에 의한 스트레스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HSC 시험을 치르는 하이스쿨 학생들. 사진 : Waverley College

 

표절, 승인되지 않은 메모지 사용 등 216개 학교서 734명 이상 ‘위법’ 기록

 

NSW 주의 대학입학을 가름하는 2021년도 HSC(Higher School Certificate) 평가대상 학생 수백 명이 부정행위로 적발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이전 해에 비해 27%가 증가한 수치이다.

NSW 교육 당국인 ‘NSW Education Standards Authority’(NESA)가 최근 내놓은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HSC 시험이 치러진 216개 학교에서 734명 이상의 학생이 관련된 854건의 학교 기반 평가 부정행위가 기록됐다.

NESA는 이 같은 부정행위 증가에 대해 12학년 학생들의 정신적 압박감 증가 및 COVID-19 스트레스 때문인 것으로 진단했다.

2021년도의 부정행위 적발은 2019년 대비 27%, 2018년과 비교하면 14% 늘어난 것이다.

부문별로 보면 표절(plagiarism)은 2018년 대비 30%가 늘어난 545건으로 가장 흔한 형태의 부정행위였으며, 다른 학생과의 공모, 평가제출 지연, 인정되지 않은 노트 사용이 뒤를 이었다.

평가 과목 가운데 ‘English Advanced’에서는 88건의 위반이 기록돼 가장 많은 학생이 범한 부정행위였으며 ‘English Standard’ 과목에서는 86건이 기록됐다. ‘사회 문화’(Society and culture)에서도 학생 1,000명당 5.5건의 부정행위가 적발됐다.

디킨대학교(Deakin University) ‘Centre for Research in Assessment and Digital Learning’ 책임자인 필립 도슨(Phillip Dawson) 교수는 높은 비율의 시험 부정 기록에 대해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는 게 합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슨 교수는 “일부 연구원들은 교사와 학생간 관계 및 상호 작용으로 부정행위 방지가 가능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전하며 “(학생들 입장에서는) 매우 힘든 시간이었고, 관련 연구를 보면 사람들이 절망적 상황에 처했을 때 속임수의 유혹에 대항하는 게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NSW 하이스쿨 교장협의회(NSW Secondary Principals’ Council)의 크레이그 피터슨(Craig Petersen) 회장은 “부정행위를 적발한 것은 잘한 일이지만, 이 적발 수치는 중요한 평가시험이 학생들에게 얼마나 큰 압박을 주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피터슨 회장은 이어 “HSC 평가를 잘 받아야 한다는 정신적 부담은 부정행위가 발생하는 환경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반면 우리는 평가시험에서의 위법을 적발하는 능력을 향상시켰고, 그 감지 기술도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NESA의 이번 데이터는 HSC 지원자가 있는 모든 학교에서 학교기반 평가 작업을 위해 유지해야 하는 과실등록을 기반으로 한다. 이 등록부는 독립 부패방지위원회(Independent Commission Against Corruption)가 시험에서의 부정행위 조사 시작, 7년 후인 지난 2014년 설정된 것이다.

2021년도 부정행위는 216개 학교에서 기록되었으며 2020년에는 220개 학교, 2019년 222개 학교였다.

 

종합(HSC 부정시험 2).jpg

NSW대학교 학문윤리(academic integrity) 연구원인 캐스 엘리스(Cath Ellis. 사진) 교수는 시험에서의 부정행위 증가에 대해 “주로 고등교육 부문에서 온라인 평가로 더 많이 전환되어 학생들에게 부정행위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을 전했다. 사진 : UNSW eLearning이 업로드한 유투브 동영상 캡쳐

   

또한 지난해 41명의 학생이 43건의 부정행위로 당국의 시험규칙위원회에 출석하는 등 HSC 평가와 관련된 위법이 늘어났다. 2020년, 동 위원회에 출석해야 했던 학생은 28명, 2019년 35명, 2018년에는 26명이었다. 2021년 위법 적발에는 인정되지 않은 노트를 참고하다 적발되거나 휴대전화 사용, 이어폰을 끼고 있던 응시자도 있었다.

응시 학생들이 제출한 답안에 외설적 내용을 적었거나 객관식 질문에만 답하는 등 시험에 진지하게 응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학생도 215명에 달했다.

NSW대학교 학문윤리(academic integrity) 연구원이자 ‘School of the Arts and Media’ 학부의 캐스 엘리스(Cath Ellis) 교수는 “일화적으로(anecdotally),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후로 교등교육 부문에서 부정행위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엘리스 교수는 “주로 이 부문에서 더 많이 온라인 평가로 전환되어 학생들에게 부정행위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라며 “심지어 부정행위를 지원하는 치팅 서비스(cheating services) 회사는 종종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격적으로 학생들을 표적화 함은 물론 고등교육뿐 아니라 하이스쿨 학생을 대상으로 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여기에다 COVID-19 대유행은 학생들에게 추가로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하지만 NESA 대변인은 2021년 NSW 주의 HSC 평가대상 학생 중 부정행위 적발은 “믿을 수 없을 만큼 적은 수치”라고 주장하면서 “대다수 HSC 응시 학생들은 이 시험과 학교기반 평가 규칙을 따르기에 이런 작은 실수 사례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전했다.

디킨대학교 도슨 교수가 진행한 호주 고등교육 부문 연구에 따르면 호주 하이스쿨 학생 10명 중 1명은 ‘자신의 학습 과제를 다른 사람에게 위탁했다’는 답변이었다.

도슨 교수는 “전염병 사태가 시작된 이후 해외에서도 온라인 치팅 사례가 증가했다는 증거가 있다”며 “시험 부정행위를 위한 계산기나 숨겨둔 이어폰 등 다양하고 전문적인 부정행위 기술 도구들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런 제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음은 물론 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케팅 되고 있다는 게 도슨 교수의 지적이다.

 

■ 부정행위 다수 적발 과목

(과목 : 적발 수 / 1천 명당 위반자)

-English Advanced : 88명 / 3.6명

-English Standard : 86명 / 2.7명

-Personal Development,Health & PE : 49명 / 3.0명

-Biology : 40명 / 2.1명

-English Studies : 40명 / 4.5명

-Modern History : 39명 / 3.6명

-Legal Studies : 38명 / 3.6명

-Community & Family Studies : 34명 / 3.8명

-Ancient History : 31명 / 4.9명

-Chemistry : 31명 / 3.1명

Source: NSW Education Standards Authority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HSC 부정시험 1).jpg (File Size:135.0KB/Download:14)
  2. 종합(HSC 부정시험 2).jpg (File Size:36.8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7 호주 6월 호주 실업률 3.5%로 하락... 거의 9만 개 일자리 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6 호주 서부호주 항구도시 프리맨틀, ‘World's top 50 travel destinations’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 호주 2021년도 HSC 시험대상 학생들 부정행위, 이전년도 비해 27%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4 호주 호주의 문화적 다양성 상위 10개 교외지역 중 8개는 빅토리아 주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3 호주 호주 상위기업 CEO들은 어떻게, 얼마나 많은 급여와 보너스를 챙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852 호주 올해 5월까지 지난 1년 사이, 시드니 전역 주택 17채 가운데 1채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51 호주 NSW 주 기술-훈련부, 100만 명 이상 대상 TAFE 기술교육 제공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50 호주 Northern Territory 원주민 기대수명 증가했지만... “더 많은 노력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9 호주 인슐린 주사 필요성 없을 수도... 당뇨 환자들에게 ‘희소식 가능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8 호주 COVID-19 감염자 확산... 정부, 재감염 시기 관련 조언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7 호주 여행자 수요에 한정됐던 캐러밴, ‘임대 위기’ 상황 해결책 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6 호주 재택근무자들, “더 긴 시간 일하고 효율성 떨어지며 체중 증가 경험” 토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5 호주 15년 만의 정신건강 관련 국가 조사, 젊은 여성층에서 ‘가장 위험’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4 호주 지원 연장된 COVID 병가 보조금, 지급 대상과 신청 방법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3 호주 올 하반기의 호한경제협력위원회 회의, 핵심은 ‘녹색 에너지’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2 호주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인한 한 개인의 ‘잔혹하게 현실적인’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1 호주 전례 없은 ‘주거 위기’ 속, 호주 전역의 빈 주택 수 100만 채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840 호주 6월 분기 시드니-멜번 중간 주택가격, 2019년 초반 이후 처음으로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9 호주 호주 물가상승률 6.1%로 치솟았지만... “최고점 지나고 있다”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838 호주 NSW 교육부, 초등학교 내 방과 전후 돌봄 서비스 확충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