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기후변화 지지 감소 1).jpg

지난 2년여,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생활비 압박이 가중된 가운데 기후 변화에 대한 시급한 대처보다 가계 재정을 걱정하는 호주인 비율이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최근 캐나다 예로나이프(Yellownife)에서 발생한 산불 상황을 보여주는 뉴스 화면. 사진 : Nine Network 뉴스 화면 캡쳐

 

Resolve Political Monitor, ‘즉각적 조치 필요한 시급한 문제’ 응답은 절반 이하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생활비 압박이 지속되면서 대개의 호주인이 다양한 사회 문제, 특히 급변한 기후변화보다도 ‘일용할 양식’을 우선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조사 결과, 전 세계적 사안인 기후변화에 대해 “비용이 소요되더라도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시급한 문제”로 간주하는 호주인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계 재정 압박이 다수 유권자들의 우려를 지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Resolve Strategic’과 손잡고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여론조사 ‘Resolve Political Monitor’의 최근 결과에 따르면 호주 전역 유권자의 12%만이 ‘환경과 기후’ 문제를 ‘보건 및 노인 간병’과 함께 ‘최우선 사안’으로 지목했으며 생활비 부담을 중요하게 보는 이들은 48%에 달했다.

이는 지난 2년여 사이, 강력한 기후 행동에 대한 지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실제로 가장 최근인 이달 둘째 주 주말의 Resolve Political Monitor는 유권자의 45%만이 기후 변화를 “심각하고 긴급한 문제”이며 “상당한 비용과 희생을 수반하더라도 행동이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이다. 이는 이전 연립(자유-국민당) 정부 당시 절반이 넘는 51% ‘동의’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또한 29%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정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반응이었으며 “기후 변화가 진정한 문제라는 것을 확신할 때까지 큰 비용이 발생하지 않을 기후 회의적 접근 방식”을 지지한 이들은 16%, 모르겠다는 답변은 10%였다. 지난 3월, “살기에 적합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이 빠르게 닫히고 있다”고 선언한 유엔의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을 포함해 기후 전문가들이 보다 서둘러 탄소배출량을 감축해야 한다는 긴급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호주인의 정서는 점차 침체되고 있는 것이다.

올해 7월은 아시아와 유럽 및 북미 전역에 엄청난 폭염이 이어지면서 기록상 가장 무더운 계절이 됐다. 과학자들은 폭염과 함께 심각한 산불 위험을 증가시킬 호주 여름의 엘니뇨 시작에 대한 경보를 울리는 실정이다.

하지만 2년 가까이 이어진 높은 인플레이션, 여기에다 에너지 사용료의 급격한 상승이라는 가계재정 압박은 유권자들의 기후 변화 인식을 능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종합(기후변화 지지 감소 2).jpg

기후 행동에 대한 호주 유권자들의 생각을 보여주는 설문 결과. 질문은 ‘기후 변화에 대응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였다. Source: Resolve Political Monitor

   

전체적으로 유권자들에게 우선적인 문제의 중요성을 평가하도록 요청한 부분에 대해 91%는 ‘높은 생활비’ 문제를 지목한 반면 ‘기후 변화’를 꼽은 이들은 66%였다.

이는 연방정부가 2025년까지 전기요금을 275달러 절감하겠다는 선거공약에 대해 야당으로부터 강한 압박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기후변화 문제를 담당하는 크리스 보웬(Chris Bowen) 장관의 ‘탄소배출 감소 정책에 대한 추가 투자 주장’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전 세계 에너지 경색이 전력가격 급등을 불러온 가운데 많은 전문가들은 현재 연방정부가 추진하는 재생 에너지 출시가 정부의 기후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는 너무 느리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달 Resolve Political Monitor 조사는 지난 8월 9일(수)에서 13일(일)까지 호주 전역 1.60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2.4%이다.

이 조사를 진행하는 Resolve Strategic의 짐 리드(Jim Reed) 대표는 “기후 행동에 대한 대중의 긴급성이 약화되는 것은 다수 유권자들이 직면한, 어려운 경제 환경을 반영한다”면서 “연립정부 시대를 지배했던 고도의 양극화된 에너지 정책 쇠퇴로 인해 지난해 연방선거를 기점으로 서서히 무관심을 드러낼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현재의 높은 인플레이션 시기에 사람들은 자유롭고 쉬우며 효과적인 조치를 기꺼이 받아들이지만 비용이 소요되거나 입증되지 않은 정책의 경우 더 많은 반발이 있을 것”이라며 “태양열 에너지, 배터리, 전기 자동차(EV) 등 장기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부문에서의 선행투자가 친환경으로 가는 데 큰 장벽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조사에서 다수의 유권자(59%)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43% 감축하겠다는 정부의 ‘법적 구속력 있는 목표’를 지지한 반면 2년 전 같은 조사 결과와 비교할 때, 배출량 감소라는 국가 전략에 도움이 되는 여러 잠재적 정책에 대한 지지는 뒷걸음질 쳤다.

예를 들어 신규 주택에 가스보일러 설치를 금지하는 것에 대한 지지는 2021년 10월 조사 당시 38%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33%로 하락했다.

 

종합(기후변화 지지 감소 3).jpg

연방정부가 제시한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43% 감축에 대한 유권자 지지 결과. Source: Resolve Political Monitor

   

새 전기자동차에 대한 정부 보조금 지지는 2021년 조사에 비해 5%포인트 하락한 56%였으며 2030년까지 모든 석탄 채굴 및 수출을 금지하겠다는 녹색당의 정책은 29%의 유권자들만이 지지를 표했다. 이 또한 2년 전의 37%에서 감소한 것이다.

반면 호주의 여러 에너지 정책 가운데 일부가 될 원자력에 대한 지지는 40%로 꾸준히 유지된 가운데 33%는 결정을 미루었고 27%만이 반대를 표했다.

야당의 피터 더튼(Peter Dutton) 대표는 이미 원자력을 연립 야당의 정책 플랫폼으로 설정했다. 지난 달 의회 연설에서 그는 노후화된 석탄 화력발전소 부지에 소형 원자로를 건설함으로써 호주의 에너지 수요를 비용 효율적으로 충족시켜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보웬 장관은 원자력에 대한 연립 야당의 제안을 반복적으로 조롱하면서 “비용이 많이 들고 호주의 노후화된 석탄 화력발전소를 대체하기에는 건설 속도가 너무 더디다”고 반박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기후변화 지지 감소 1).jpg (File Size:50.5KB/Download:8)
  2. 종합(기후변화 지지 감소 2).jpg (File Size:55.1KB/Download:10)
  3. 종합(기후변화 지지 감소 3).jpg (File Size:36.1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01 호주 NSW 주 정부, 전력망의 49% 민간에 임대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0 호주 NSW 교통부장관, “시드니 고속철도 건설, 3년 내 착수”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9 호주 ‘Y 세대’ 수요증가로 시드니 지역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8 호주 한인회, 일본 및 중국정원 탐방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7 호주 지난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5.6%, 다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6 호주 한국현대미술전, 카나본 골프클럽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5 호주 NSW 주 고교연합, 세월호 피해자 ‘위로 메시지 북’ 제작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4 호주 ‘행복을 전하는 한국민화’, 이번엔 어번 시에서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3 호주 텔스트라(Telstra), ‘홈 번들-글로벌’ 상품 출시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2 호주 “전 세계 시민단체와 논의, ‘G20’ 의제 결정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1 호주 신종 마약 ‘스냅챗’ 복용으로 병원 치료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0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및 다윈, 실업률 가장 낮아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9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8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7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6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5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4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3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2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6581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80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9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8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7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6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5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4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3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2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1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0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9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8 호주 항우울제 등 신경치료제 복용 아동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7 호주 서방국가들, 아랍계 자국민의 ISIS 합류로 ‘골치’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6 호주 ISIS는 어떤 세력인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5 호주 호주인들, 수명 길어진 반면 만성질환도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4 호주 시드니, 새 아파트 수요 높아... 주택시장 활기 입증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3 호주 6월 마지막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4.1%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2 호주 “한인 동포를 비롯한 은행 고객들에게 감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1 호주 ‘코윈’ 호주지회, ‘건강’ 주제의 정기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0 호주 한인회, ‘문화 예술의 전당’ 순조로운 진행 기원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9 호주 한국문화원, ‘Good Food & Wine Show 2014’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8 호주 인종차별법을 둘러싼 조지 브랜디스와 ‘IPA’의 오류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7 호주 UTS, 최신 영어교육 프로그램 한국 보급키로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6 호주 퀸즐랜드 한인회, 영사관 민원업무 대행 협약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5 호주 캠시 주민들과 만난 봅 카 전 NSW 주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4 호주 NSW 공정거래부, 비승인 USB 충전기 판매 조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3 호주 “다민족 사업자 지원 위한 산업자문관 임명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2 호주 어번타운센터, 업그레이드 공사 마치고 공식 ‘오픈’ 호주한국신문 14.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