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5차 접종 1).jpg

보건당국이 COVID 감염자 증가 위험이 있는 겨울시즌을 대비하는 가운데 백신자문 전문가 패널 ATAGI는 보다 폭넓은 성인을 대상으로 5차 부스터 권장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 : Musculoskeletal Australia

 

보다 폭넓은 성인 대상... “계절적 상황보다 새 하위 변이 주목 필요성” 제기도

 

다가오는 겨울 시즌을 대비해 연방 보건당국이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 최상의 보건 상태를 준비하고 있다. 여기에는 COVID-19 백신 5차 추가접종(3차 부스터)에 관한 백신자문 전문가 그룹 ‘Australian Technical Advisory Group on Immunisation’(ATAGI)으로부터의 관련 조언이 포함된다.

현재 호주에서는 면역력이 심하게 저하된 성인을 비롯해 일부 계층을 대상으로 5차 추가접종이 가능하지만 ATAGI는 이를 더 많은 성인에게 권장할 것인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 현재 호주의 COVID-19 백신 접종은= 연방 보건부 데이터에 따르면 첫 번째 백신접종을 받은 이는 약 2천 만 명에 이른다. 적격 인구 대부분이 접종을 받은 셈이다. 그리고 2차 접종을 완료한 수는 1,980만 명이다.

COVID-19 백신을 완료(1, 2차 접종)한 이들 가운데 첫 부스터(3차 접종)를 받은 이들은 1,430만 명이며 이중 540만 명이 네 번째 추가접종을 완료했다.

적격 인구의 접종 비율을 보면 16세 이상 성인 중 1차 97.4%, 2차 96%, 3차 추가접종 72.4%, 그리고 4차 추가접종률은 44.4%이다. 또 5세에서 15세 미만 어린이 및 청소년의 비율은 1차 60.3%, 2차 접종완료 52%이다.

이를 보면 3차 추가접종에 비해 4차 접종을 완료한 성인 비율은 크게 낮은 수치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추가접종을 받은 이들의 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조언이다. 모나시대학교 전염병 전문가인 제임스 트라우어(James Trauer) 부교수는 접종을 완료한 총 횟수보다 마지막으로 백신을 투여받은 후 얼마나 오래 되었는지를 보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ATAGI는 추가접종 사이, 최소 3개월을 기다릴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그 기간의 상한은 없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백신 효과가 약해진다고 설명한다.

트라우어 부교수에 따르면 접종 후 첫 달 이후부터 백신 효과가 약해지기 시작하며 이후 3, 6, 9개월 뒤, 그 효과는 더욱 줄어든다. 이 때문에 새로운 감염 물결(예상)에 앞서 추가로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가장 먼저 백신접종을 받은 고령자 및 취약계층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

트라우어 부교수는 “백신 부스터와 관련한 공공보건 메시지의 초점은 백신접종과 항바이러스제를 투여받을 수 있는 취약계층의 조기 발견에 맞추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향후 정부 계획은= 마크 버틀러(Mark Butler) 연방 보건부 장관은 이달 셋째 주 ABC 방송 뉴스프로그램인 ‘7.30’와의 인터뷰에서 “정부는 올해 초 5차 추가접종에 대해 ATAGI로부터 조언을 받을 것으로 본다”며 “감염자 증가가 예상되는 시기(4, 5, 6월)가 다가옴에 따라 우리는 추가접종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브리즈번 메이터 병원(Mater Hospital)의 전염병 책임자인 폴 그리핀(Paul Griffin) 박사는 “정부의 이 같은 검토(5차 추가접종)는 올바른 조치”라고 말했다.

 

종합(5차 접종 2).jpg

일부 전문가들은 계절적 상황보다 새로운 변이에 의해 최근 감염자 파동이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진 : ABC 방송 뉴스 화면 캡쳐

   

그런 반면 트라우어 부교수는 “겨울시즌 COVID 전염병 패턴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지만 호주가 그 단계에 도달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의견이다. 그 이유로 그는 최근 일어났던 감염 파동이 계절성이기보다는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에 의해 주도되었다는 점을 들었다. 이어 “이 변이는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라우어 부교수는 감염자가 증가할 수 있는 겨울철 기상보다는 현재 미국 전역에서 번지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종인 ‘XBB.1.5’을 주시하고 있다. “호주에서도 우려스러운 변이이며 전염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 추가접종은= 첫 두 차례의 접종 후 3개월이 경과한 16세 이상 모든 성인에게는 세 번째 추가접종(1차 부스터)이 권장된다.

5세에서 15세 미만 어린이 및 청소년의 세 번째 접종(1차 부스터)은 면역력이 심하게 저하되었거나 장애가 있는 이들, 복잡한 건강상 요구 사항이 있으며, 심각한 COVID 위험을 증기시키는 상태에 있을 경우에 권장된다.

2차 부스터(네 번째 접종)는 50세 이상 연령층, 노인 및 장애인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16세 이상 사람들, COVID 위험과 영향을 증가시키는 건강 상태 또는 장애가 있는 이들에게 권고된다.

30세에서 49세 사이 연령층 또한 2차 부스터를 받을 수 있지만 그 혜택은 확실하지 않기에 보건당국은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5세 미만 어린이 또는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 5세에서 15세 미만 어린이 및 청소년에게는 현재 부스터가 권장되지 않는다.

 

▲ 접종받을 수 있는 백신은= 60세 미만 성인의 경우 ATAGI는 첫 2회 접종 백신으로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보다는 화이자(Pfizer), 모더나(Moderna) 또는 노바백스(Novavax)를 선호하지만 60세 이상 연령층에는 특정 백신을 구분하지 않는다.

임산부에게는 화이자나 모더나를 추천하며, 노바백스 옵션이 있지만 아스트라제네카는 선호되지 않는다. 또 생후 6개월에서 5세 사이 어린이의 경우, COVID 백신은 면역력이 심하게 저하된 이들, 장애를 가진 경우 또는 중증 COVID-19의 심각한 위험이 있는 이들에게만 권장된다.

5세에서 17세 사이 어린이 및 청소년에게는 화이자가 유일하게 승인된 백신이다. 성인에게는 더 많은 선택이 있어 ‘Pfizer original’, ‘Pfizer bivalent’, ‘Moderna original’, ‘Moderna bivalent’ 등 모두 접종받을 수 있다.

선호되는 옵션은 아니지만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는 특정 상황에서 성인 대상의 부스터로 사용할 수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5차 접종 1).jpg (File Size:72.8KB/Download:2)
  2. 종합(5차 접종 2).jpg (File Size:33.2KB/Download: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59 호주 ‘베이비부머’보다 많아진 젊은이들, NSW 주 선거 결과는 청년 유권자 손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8 호주 WHO의 ‘팬데믹 선포’ 3년... COVID-19가 호주에 남긴 타격과 향후 대처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7 호주 NSW State Election... 무소속 후보 ‘약진’ 속, 양대 정당 힘겨운 접전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6 호주 여성 작가 대상의 ‘스텔라 문학상’, 호주인의 독서 습관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5 호주 Housing affordability crisis... 임대 스트레스 벗어나려면 얼마를 벌어야 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4 호주 시간당 10달러? 광역시드니의 노상주차 비용이 가장 비싼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3 호주 “물가지수 정점 불구하고 내년 말까지는 실질임금 혜택 얻지 못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2 호주 QLD의 Bundaberg-Fraser Coast, 지난해 ‘new kids on the block’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1 호주 주택담보대출 상환금 증가율, 임금상승 크게 앞서... 가계 재정 압박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50 호주 ‘tree-sea change’ 바람으로 호황 누렸던 지방 지역 주택가격, 큰 폭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49 호주 Bankstown Arts Centre, 차세대 아티스트 육성 프로그램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3.16.
4748 호주 2022년 연방 선거 이어 2023 NSW 주 선거에서도 ‘Teals’ 바람, 이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7 호주 Cost-of-living crisis... 10대 청소년들을 취업 전선으로 내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6 호주 NSW 주 선거... 유권자들의 ‘표심’을 지배하는 한 가지는 ‘생활비 부담’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5 호주 2022년 호주 사망 인구, 예상보다 거의 2만 명 늘어... 절반이 COVID 원인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4 호주 long COVID 증상, 지속적 보고... 백신 접종한 이들에게도 흔하게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3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임금, 남성 동료에 비해 연간 약 13,200달러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2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3.6%로 11년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1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매물 공급 감소-경매 낙찰률 상승으로 가격 하락 ‘주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4740 호주 예술을 통한 고통의 치유... 행동주의 작가가 선보이는 ‘Devotion’ 메시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