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탄산음료 1).jpg

시드니대학교 찰스 퍼킨스 센터(Charles Perkins Centre)에서 안식년을 보내고 있는 매리언 네슬(Marion Nestle) 뉴욕대학교 교수(영양학과). 그녀는 “비만의 원인이 되는 탄산음료에 대해 호주 소비자들의 목소리는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지적했다.

 

미 뉴욕대학교 영양학자 주장... 호주 사회단체들, 목소리 높여야

 

전 세계 각국에 비교해 비만 인구가 적지 않은 호주인들은 탄산음료 소비에 대해 미국인들보다 덜 불만을 표출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금주 월요일(29일) 영양학자 매리언 네슬(Marion Nestl) 교수의 언급을 인용한 ABC 방송은 “비만 확산을 막기 위한 정책으로 미국 의료단체들은 정크푸드와 탄산음료 회사의 광고 행위에 대한 정책 변경 등을 요구하며 적극적으로 로비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고 전했다.

네슬 교수에 따르면, 하지만 호주의 경우 이 같은 활동은 극히 일각에서만 나타나고 있을 뿐이다. 그녀는 “이 같은 활동을 하는 사회단체가 있기는 하지만 충분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고 못박았다.

현재 미국에서는 학교, 직장 내 탄산음료 섭취 반대활동을 하는 단체들이 상당수에 달하며 최근에는 작업장에서의 탄산음료 퇴출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미국 뉴욕대학교 영양학과에 재직 중으로, 시드니대학교 찰스 퍼킨스 센터(Charles Perkins Centre)에서 안식년을 보내고 있는 네슬 교수는 금주 화요일(1일) 미국 식품업계 관련 정책에 대한 강연을 가졌다.

이에 앞서 네슬 교수는 A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호주인들의 경우 본인의 건강에 관해서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반면, 정크푸드 산업의 변화를 촉구하는 대정부 압력 활동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녀는 “현재 호주는 개인적으로 건강에 대한 높은 의식을 갖고 있지만 정치적으로는 아니다”면서 “개개인의 건강 의식이 식품환경으로까지 범위를 넓혀가지는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네슬 교수는 이어 호주인들의 식습관 변화를 위한 첫 단계로 “정크푸드 및 탄산음료 생산 기업들이 전개하는 어린이 대상의 광고행위 금지 등과 같은 제재를 가하는 것”을 꼽았다

그녀는 탄산음료 및 정크푸드 업계의 요식업 및 의료 관련 산업 후원 배경과 함께, 탄산음료 섭취 관련 연구를 왜곡하기 위해 이 업계가 어떻게 ‘담배회사 전략’을 사용하는지를 털어놓았다.

“탄산음료 업계는 자기들이 찾는 답(기업에 유리한 결과)을 제공하는 기관에 합법적으로 지원금을 제공하는 한편 사회단체 로비를 위해서도 은밀하게 활동하고 있다”고 언급한 네슬 교수는 “이는 기존 담배회사들이 구사한 전략으로 널리 알려진 부분이며, 탄산음료 업계 또한 같은 행위를 반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뉴욕타임즈는 세계적 탄산음료 회사인 코카콜라가 비만의 원인 가운데 △해로운 식습관, 그리고 △설탕 음료를 제외시킨 과학자들에게 연구자금을 지원했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의료 전문가들은 당시 당분 음료가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판적 여론을 막기 위해 코카콜라 회사 측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호주에서도 거대 음료기업들이 호주인의 비만 문제를 식습관이 아닌 운동부족이라는 데 초점을 맞추기 위한 홍보 활동에 재정 지원을 해 왔다는 점을, 시드니 모닝헤럴드가 지적한 바 있다.

네슬 교수는 “탄산음료 기업의 경우 대중 앞에서는 ‘비만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고객의 건강을 진심으로 걱정하며 또한 우리도 비만 문제 해결 방안을 찾는 데 일조하고 싶다’고 말하지만 뒤로는 탄산음료 세금 발의에 반대하거나 발의된 법안을 무력화하기 위해 엄청난 로비활동을 전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이어 “지난 15년간 미국의 탄산음료 판매율이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에 대해 “정치계 압력과 함께 의료 관련 사회단체들의 탄산음료 반대 홍보 활동의 결과”라고 진단했다.

 

강세영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탄산음료 1).jpg (File Size:38.9KB/Download:3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대 화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516 호주 The books that changed 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5 호주 NSW, VIC에 비해 주정차위반 벌금액 3배 비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4 호주 전 세계 ‘Powerful Passports’ 순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3 호주 다량 유통 50달러 위조지폐, 은행도 속을 만큼 정교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2 호주 원주민 출신 정치인 린다 버니의 ‘역사 만들기’는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1 호주 의료 목적의 대마초 재배 법안, 연방의회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10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9 호주 AFP, 향후 10년 내 경찰 인력 절반 ‘여성’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8 호주 고령자 케어-보건 분야, 향후 새 직업군 창출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7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둔화, “성급한 전망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 호주 “호주인들, 비만 관련해 탄산음료 업계에 불만 제기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5 호주 주말 시드니 경매, 일부 지역 낙찰가 폭등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504 호주 호주 프리랜서 보도사진가, ‘세계 보도사진 대전’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503 호주 “100달러 고액권, 범죄자들의 탈세로 이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502 호주 동성애자 탄압... NSW 정부, 38년만에 공식 사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501 호주 ‘앵무새 죽이기’ 저자 하퍼 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500 호주 ‘Sydney, 1788-2014, Taken before its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99 호주 “시드니 ‘Lockout Laws’, ‘라이브 업소’에도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498 호주 호주 젊은이들에게 ‘평생 직업’ 개념 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