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플라스틱 금지).jpg

지난 6월 1일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을 금지한 NSW 주 정부의 조치가 이달 1일부터 보다 많은 품목으로 확대됐다. 사진은 NSW 주 정부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 금지 캠페인 차원에서 지난 9월부터 시작한 ‘Stop it and Swap it’이라는 이름의 시리즈 광고 중 하나. 사진 : NSW Government

 

3개월 전 사전 공지... 접시-수저-미세 스티로폼 함유 위생용품 등

 

각 업체 및 지역사회가 ‘문제성 플라스틱 제품’의 대대적인 활용 전환을 수용함에 따라 이달 1일부터 NSW 전역에서 추가적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이 금지됐다.

이미 일회용 플라스틱 봉투 사용을 금지한 NSW 주 정부는 추가 품목을 설정, 주 전역의 스몰 비즈니스 및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이에 대한 교육과 함께 15개 다문화 언어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해 왔다.

NSW 주 환경부 제임스 그리핀(James Griffin) 장관은 이에 대해 “우리의 환경을 보호하고 다음 세대를 위한 보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단계”라고 강조했다.

장관은 “11월 1일부터 우리는 플라스틱 빨대나 젓가락, 수저, 그릇, 면봉을 포함해 가장 많이 버려지는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금지함으로써 장기적인 변화를 제공한다”며 “주 정부는 이미 제안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 금지’에 대해 주 전역 거주민들로부터 1만6,000여 건의 응답을 받은 지난 2020년 이후 이 여정을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NSW 환경부에 따르면 당시 피드백을 제공한 거주민의 98%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 금지를 지지했다.

NSW 주 의회는 지난해 관련 법안인 ‘Plastics Reduction and Circular Economy Act 2021’을 통과시켰으며, 이후 각 지역사회 및 업체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참여 및 교육,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통해 변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앞서 주 정부는 지난 6월 1일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봉투 사용을 금지한 바 있다. 이날(11월 1일)부터 추가로 사용이 금지된 플라스틱 제품은 △빨대, 젓가락, 수저, 접시, 그릇, 면봉, △발포 스티렌 수지(expanded polystyrene)로 만든 식기나 컵, △미세 플라스틱(plastic microbead)이 포함된 개인위생 용품이다.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및 포장재는 NSW 주 전역에서 배출되는 전체 폐기물의 60%를 차지한다. 이런 가운데 특정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금지함으로써 향후 20년 동안 NSW 주 전역에서 나오는 거의 27억 개에 달하는 폐기물을 방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NSW 주 환경부는 지난 2월부터 전국 소매업협회(National Retail Association. NRA)와 협력, 주 전역 4만 개 이상의 업체 및 지역사회 단체를 대상으로 플라스틱 제품 사용 금지에 대한 교육 및 지원을 제공해 왔다.

아울러 지난 9월에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인한 해양 오염과 플라스틱 포장재로 인해 목이 감겨 질식해 가는 거북이의 충격적인 이미지를 담은 ‘Stop it and Swap it’이라는 이름의 캠페인성 시리즈 광고를 시작한 바 있다.

주 정부의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 금지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주 정부 웹사이트 관련 페이지(www.dpie.nsw.gov.au/plastics-ban)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영어 외 한국어를 포함한 15개 언어로도 정보가 제공된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플라스틱 금지).jpg (File Size:115.5KB/Download: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32 호주 Shouldering a heavy burden... 호주 학생들의 등교가방 ‘무게’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4731 호주 AFP, 다문화 커뮤니티 대상으로 ‘외국 간섭 신고’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4730 호주 대학 졸업 신입 연봉 6자릿수 직종은... 치과 전공자 초봉 1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9 호주 2022년도 NAPLAN 결과... 학업성취 높은 NSW 주 소재 학교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8 호주 배우 휴 잭맨, “호주의 공화제 전환, 불가피하다고 본다” 개인 의견 피력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7 호주 NSW 주 학부모들, 자녀 공립학교 등록 기피... 15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6 호주 Google-Microsoft가 내놓은 AI 검색 챗봇, 아직 ‘완벽’하지 않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5 호주 블루마운틴의 인기 여행 명소 중 하나 Zig Zag Railway, 조만간 재개통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4 호주 팬데믹 이후의 가격 성장, 지난해 시장 침체로 상당 부분 사라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3 호주 올 1월 호주 실업률, 전월 3.5%에서 계절조정기준 3.7%로 소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2 호주 하루 약 100만 달러에 이르는 SMS 사기, 방지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1 호주 “학교 내 휴대전화 전면 금지, 학업 측면에서 학생에게 불이익 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0 호주 올해 ‘Sydney Children's Festival’, 달링하버서 개최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19 호주 “더 오래도록 보고 싶게 만드는 흥미롭고 매력적인 공연... 아름답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18 호주 시드니 각 교외지역, 파트너 없이 홀로 거주하는 인구 비율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7 호주 인터넷-자본주의-왜곡된 진실... 이 시대에서 ‘풍자’는 어떻게 변하고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6 호주 호주 현지에서 태어난 이들, 대부분 이민자 그룹 비해 ‘만성질환’ 가능성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5 호주 임금상승 계속되고 있지만... “향후 몇 개월간은 인플레이션에 묻힐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4 호주 NSW 주 2022-23 회계연도 전반기 예산 검토... 적자 규모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3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은 이성간 데이트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