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불안정 직업).jpg

한 광산회사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엘리 란다조(Ellie Randazzo. 사진)씨. 그녀는 만성통증에 시달리지만 높은 생활비 부담으로 일을 쉴 수 없는 상황이다. 한 노동경제 학자는 압박을 받는 우리 경제에 건강한 노동력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임시직, 긱 이코노미 등 '불안정 직업'에 종사하는 이들의 사례에 강한 우려를 표했다. 사진은 Ellie Randazzo씨가 ABC 방송에 제공한 것을 발췌했음.

 

호주 노동조합협의회 조사... 계약직-파트타임 직종, 부상 상태에도 ‘휴직 불가’ 호소

 

한 광산회사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엘리 란다조(Ellie Randazzo, 23)씨는 만성통증을 앓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그녀는 자궁내막증 치료를 위해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고, 신경 손상을 입었다. 그녀는 “매일 구토가 심하고, 직장에서의 업무 중에도 그런 상황이 일어나곤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일을 쉬고 몸을 돌보아 하지만 그럴 수 없는 상황이어서 정말 힘들다”고 토로했다.

 

몸이 아픈 상태에서도

일을 쉴 수 없는 이유는

 

매주 생활비를 감당해야 하는 부담으로 인해 몸이 아프거나 부상을 입은 상태에서도 일을 쉴 수 없는 상황, 또는 해고될 수 있다는 두려움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회사에 나가야 한다는 것은 매우 암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최근 호주 노동조합협의회(Australian Council of Trade Unions. ACTU)가 각 부문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불안정 직종’에 있는 수천 명의 근로자들이 부상 또는 휴식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매일 일을 하고 있다. 계약직, 임시직, 파트타임, ‘긱 경제’(gig-economy) 등 불안정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37%가 부상 상태에서도 일을 쉬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노동시장 경제학자 레오노라 라이제(Leonora Risse) 박사는 “이는 매우 우려되는 문제”라는 데 동의한다. 라이제 박사는 “우리의 노동시장에는 언제나 불안정 상태의 근로자가 있어 왔지만 이번 조사 결과는 이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면서 “고용주는 (회사 운영을 위해) 직원을 필요로 하지만 그들의 건강을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괜찮은 날이 거의 없다”

 

란다조씨는 ‘생활비를 벌어야 한다’고 스스로를 부추기며 아픈 상태에서도 직장으로 출근을 한다고 말했다.

“자궁내막증이 시작된 이후 하루도 아프지 않은 날이 없을 것”이라는 그녀는 “현재 전기사용료를 비롯해 모든 공과금 납부가 연체된 상태여서 정말 고군분투하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그녀는 회사에서 어느 정도 병가(sick leave)를 얻을 수 있지만 몸 상태를 위해 너무 많은 시간 동안 휴직을 하게 되면 일자리를 잃을까 우려돼 회사를 쉴 수도 없는 처지이다.

 

“우리 경제에는

건강한 노동력이 필요하다”

 

라이제 박사는 “특히 우리 경제가 압박을 받는 지금, 각 산업계는 완벽하게 적합한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경제적 관점에서 뿐 아니라 건강 측면에서도, 이는(부상 상태에서도 출근해야 하는 상황) 근로자들이 가진 잠재적 생산성을 온전히 회복할 수 있도록 최상의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엘리 란다조씨는 자신의 건강이 온전한 상태로 돌아가기를 원하고 있다. 사실 생활비 압박이 커지고 새로운 COVID 감염 파동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불완전 직업’ 부문에 종사하는 이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라이제 박사는 몸이 아픈 경우에도 재정상의 문제로 인해 근로자들이 노동 현장을 떠날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될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우려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불안정 직업).jpg (File Size:85.5KB/Download: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23 호주 올 1월 호주 실업률, 전월 3.5%에서 계절조정기준 3.7%로 소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2 호주 하루 약 100만 달러에 이르는 SMS 사기, 방지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1 호주 “학교 내 휴대전화 전면 금지, 학업 측면에서 학생에게 불이익 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20 호주 올해 ‘Sydney Children's Festival’, 달링하버서 개최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19 호주 “더 오래도록 보고 싶게 만드는 흥미롭고 매력적인 공연... 아름답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4718 호주 시드니 각 교외지역, 파트너 없이 홀로 거주하는 인구 비율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7 호주 인터넷-자본주의-왜곡된 진실... 이 시대에서 ‘풍자’는 어떻게 변하고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6 호주 호주 현지에서 태어난 이들, 대부분 이민자 그룹 비해 ‘만성질환’ 가능성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5 호주 임금상승 계속되고 있지만... “향후 몇 개월간은 인플레이션에 묻힐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4 호주 NSW 주 2022-23 회계연도 전반기 예산 검토... 적자 규모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3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은 이성간 데이트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2 호주 심각한 교사부족 상황... 사립학교들, 높은 연봉 내세워 공립 교사들 ‘유혹’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1 호주 NSW 주 경찰의 마약 관련 수색 대상, 청소년-원주민 비율 더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10 호주 모든 성인에 5차 COVID-19 접종 제공... 감염사례 없는 이들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09 호주 런던 자연사박물관 주관, 팬들이 뽑은 ‘올해 최고의 야생동물’ 이미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08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하락-상승한 광역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4707 호주 시드니 거주자들, ‘삶의 만족도’ 회복 중... 생활비 고통은 ‘uncharted waters’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706 호주 시드니 학부모들, 자녀의 공립 Boys' High School 등록 기피 ‘뚜렷’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705 호주 COVID-19의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 선포 3년... 향후 바이러스 예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4704 호주 NSW 주 정부, 도박 산업 개혁 위해 향후 3억4천만 달러 투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