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Wildlife Photographer 1).jpg

독일 사진작가 사스카 폰세카(Sascha Fonseca)씨의 ‘World of the snow leopard’. 해가 질 무렵, 라다크(Ladakh) 산악지대에서 어딘가를 응시하는 눈 표범을 담은 이 사진은 가장 많은 사진 팬들이 최고의 사진으로 꼽았다. 사진 : 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 / Sascha Fonseca

 

인도 북부의 눈 표범 포착한 작가 Sascha Fonseca씨, ‘People's Choice Award’에

 

인도 북부, 라다크(Ladakh) 산악지대에서 해질 무렵 어딘가를 응시하고 있는 눈 표범(snow leopard)을 카메라에 담은 자연-야생동물 사진작가가 런던 소재 자연사박물관(Natural History Museum) 주관의 올해 ‘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에서 사진 팬들이 뽑은 최고의 작가(People's Choice Award) 수상자로 결정됐다.

독일 기반의 사진작가 사스카 폰세카(Sascha Fonseca)가 찍은 이 눈 표범 이미지는 올해로 58회가 되는 자연사박물관의 올해 야생동물 사진 공모에 출품된 약 3만9,000건 중 최종 후보 목록에 오른 25개의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올해 ‘People's Choice Award’에는 총 6만466명의 자연사진 팬들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이 가운데 가장 많은 이들이 독일 사진작가 폰세카씨의 ‘World of the snow leopard’를 최고의 이미지로 꼽았다.

 

종합(Wildlife Photographer 2).jpg

캐나다 헛슨 베이(Hudson Bay, Canada)의 한 야생화 사이에서 꽃의 아름다움에 취한 듯 흐뭇한 미소를 짓고 있는 이 북극곰 이미지(‘Among the flowers’)는 마틴 그레너스(Martin Gregus)씨의 작품이다. 사진 : 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 / Martin Gregus

 

종합(Wildlife Photographer 3).jpg

잠비아 남부, 루앙와 국립공원(Luangwa National Park, Zambia)의 표범. 새끼를 안고 있는 어미 개코원숭이를 사냥한 장면(‘Holding on’)은 스페인 작가 이고르 알투나(Igor Altuna)씨의 작품으로, 어미가 죽은 줄도 모르고 여전히 어미 품에 매달린 새끼의 모습이 애처롭다. 사진 : 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 / Igor Altuna, Spain

 

종합(Wildlife Photographer 4).jpg

스페인 자연사진 작가 마리나 카누(Marina Cano)의 이 작품(‘Portrait of Olobor’)은 늦은 오후에 촬영된 것이다. 사진 : 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 / Marina Cano

 

종합(Wildlife Photographer 5).jpg

캐나다 프린스 에드워드 섬(Prince Edward Island, Canada)에서 애정을 과시하는 한 쌍의 여우(‘Fox affection’). 사진 : 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 / Brittany Crossman

   

폰세카씨는 팬들이 꼽은 사진가로 선정된 후 “사진은 사람들을 야생동물과 연결하고 보이지 않는 자연 세계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의 눈표범 사진은 인도 북부 라다크의 히말라야 산악지대에서 3년간 미끼 없는 카메라 트랩 프로젝트(bait-free camera trap project)를 진행하는 동안 캡쳐된 것이다.

‘산의 유령’(ghost of the mountains)으로 알려진 눈 표범은 험준한 산악의 외딴 곳 또는 울퉁불퉁한 지형을 서식지로 삼고 있으며, 개체수가 적고 위장술에 능해 카메라에 담아내는 것이 매우 어려운 동물이다.

현재 히말라야 산악 지대에 약 6,500마리의 성체가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이 큰 고양이과 동물은 밀렵, 서식지 손실, 인간과의 갈등으로 인해 멸종 위험에 직면해 있다.

올해 ‘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에서 수상작으로 선정된 작품들은 7월 말까지 런던 소재 자연사박물관에서 전시된다.

(주의 : 이 페이지에 소개한 사진 가운데는 죽은 동물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음)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Wildlife Photographer 1).jpg (File Size:100.6KB/Download:5)
  2. 종합(Wildlife Photographer 2).jpg (File Size:105.7KB/Download:5)
  3. 종합(Wildlife Photographer 3).jpg (File Size:87.5KB/Download:4)
  4. 종합(Wildlife Photographer 4).jpg (File Size:102.3KB/Download:4)
  5. 종합(Wildlife Photographer 5).jpg (File Size:54.5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88 호주 시드니 평균 수입자의 주택구입 가능한 교외지역, 20% 이상 줄어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7 호주 기준금리 상승 불구, 5월 호주 주택가격 반등... 시드니가 시장 회복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6 호주 퀸즐랜드 아웃백 여행자 11% 감소... 4년 만에 맞는 최악의 관광시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5 호주 정신건강-자살예방 시스템 변화 구축, “실제 경험 뒷받침되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4 호주 CB 카운슬의 폐기물 처리 기술, ‘Excellence in Innovation Award’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3 호주 그라탄연구소, 정부 비자개혁 앞두고 이주노동자 착취 차단 방안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82 호주 호주 가정의 변화... 자녀 가진 부부의 ‘정규직 근무’, 새로운 표준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81 호주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 이후 부동산 투자자들의 세금공제 신청,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80 호주 NSW 정부의 첫 주택구입자 지원 계획... 인지세 절약 가능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9 호주 기준금리 상승의 실질적 여파... 인플레이션 더해져 소비자들, 지갑 닫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8 호주 블루마운틴의 Zig Zag Railway 기관차, ‘관광 상품’으로 운행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7 호주 “WA 주, 대마초 합법화하면 연간 2억5천만 달러의 세금수익 가능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6 호주 NSW-VIC-SA 및 QLD 남동부 지역 전기사용 소비자 부담, 불가피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5 호주 SA ‘Riddoch Wines’ 사의 카베르네 소비뇽 제품, ‘세계 최고 와인’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4 호주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 속, 호주인의 소비 방식에 ‘극단적 차이’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4873 호주 학생들의 ‘읽기 능력’... 국제 평가에서 영국이 호주를 능가한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4872 호주 “향후 호주 일자리, 에너지-방위산업-의약품 부문에서 크게 늘어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4871 호주 호주 겨울 시즌, 최대 규모 빛의 축제... Your A-Z guide to ‘Vivid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4870 호주 종교재단 학교 선호 힘입어 지난 10년 사이, 사립학교 등록 35%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4869 호주 시드니 이너웨스트 주택 10채 중 1채는 ‘빈집’... 지방의회, 세금부과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