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hildren’s Festival 1).JPG

다문화 커뮤니티의 조화라는 취지로 열리는 올해 ‘Sydney Children's Festival’의 구체적인 일정이 공개됐다. 사진은 지난해 각 단체 소속 어린이들의 댄스 경연. 사진 : Childrens Festival Organisation lnc 제공

 

3월 12일 Tumbalong Park서... 프로그램 핵심은 다문화 의상 퍼레이드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3년간 중단되었다가 지난해 소규모로 개최됐던 시드니 어린이 축제가 올해에는 팬데믹 이전의 온전한 페스티벌로 다시 시작된다.

이벤트 창립자이자 ‘Children’s Festival Organisation Inc.’의 투아트 응엔(Thuat Nguyen) 회장은 이달 셋째 주 성명을 통해 올해 계획을 밝히면서 시드니 지역 모든 다문화 커뮤니티와 어린이 축제를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오는 3월 12일(일) 달링하버 소재 텀발롱 파크(Tumbalong Park, Darling Harbour)에서 열리는 이 축제는 다문화 어린이들의 노래와 댄스, 게임으로 구성되며, 전 세계 각국의 전통 의상을 입은 어린이들의 퍼레이드는 올해 프로그램의 하이라이트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이어지는 올해 ‘Children's Festival’은 호주 사회를 구성하는 다문화 배경의 어린이들이 메인 무대에서 선보이는 각국 전통 공연을 포함하며 현장을 찾은 어린이들이 직접 참여하는 게임과 액티비티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다.

이 축제 준비위원회의 투아트 응엔 회장은 “우리는 이미 뱅스타운(Bankstown), 캔터베리(Canterbury), 매릭빌(Marrickville), 캠벨타운(Campbelltown) 및 시드니 시티 등에서 37회의 이벤트를 진행, 25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끌어들인 바 있다”고 소개한 뒤 “전염병 사태로 인해 여러 이벤트를 마련하지 못했지만 지난해에는 시드니(Darling Harbour 소재 Pyrmont Bay Park)와 리버스비(Revesby)에서 두 건의 이벤트를 통해 보다 나은 내용으로 돌아왔다”고 말했다.

 

종합(Children’s Festival 2).JPG

3월 12일(일) 달링하버 소재 텀발롱 파크(Tumbalong Park, Darling Harbour)에서 열리는 이벤트에는 축제 참가자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사진은 지난해 이벤트에서의 어린이 패션쇼. 사진 : Childrens Festival Organisation lnc 제공

   

이어 “최악의 전염병 대유행 이후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많은 학교와 청소년 그룹의 참여, 그리고 현재의 복잡한 국제 상황에서도 여러 그룹의 지속적, 열정적인 참여는 어린이 축제가 지역사회의 조화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면서 “올해는 어린이 축제를 통해 다문화 사회의 화합을 도모한 지 25년이 되는 해로, 그 성과를 축하하는 데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올해 축제 개막은 NSW 주 다문화부 마크 쿠어(Mark Coure) 장관이 맡는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hildren’s Festival 1).JPG (File Size:149.3KB/Download:5)
  2. 종합(Children’s Festival 2).JPG (File Size:163.7KB/Download: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888 호주 시드니 평균 수입자의 주택구입 가능한 교외지역, 20% 이상 줄어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7 호주 기준금리 상승 불구, 5월 호주 주택가격 반등... 시드니가 시장 회복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6 호주 퀸즐랜드 아웃백 여행자 11% 감소... 4년 만에 맞는 최악의 관광시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5 호주 정신건강-자살예방 시스템 변화 구축, “실제 경험 뒷받침되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4 호주 CB 카운슬의 폐기물 처리 기술, ‘Excellence in Innovation Award’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4883 호주 그라탄연구소, 정부 비자개혁 앞두고 이주노동자 착취 차단 방안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82 호주 호주 가정의 변화... 자녀 가진 부부의 ‘정규직 근무’, 새로운 표준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81 호주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 이후 부동산 투자자들의 세금공제 신청,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80 호주 NSW 정부의 첫 주택구입자 지원 계획... 인지세 절약 가능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9 호주 기준금리 상승의 실질적 여파... 인플레이션 더해져 소비자들, 지갑 닫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8 호주 블루마운틴의 Zig Zag Railway 기관차, ‘관광 상품’으로 운행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7 호주 “WA 주, 대마초 합법화하면 연간 2억5천만 달러의 세금수익 가능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6 호주 NSW-VIC-SA 및 QLD 남동부 지역 전기사용 소비자 부담, 불가피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5 호주 SA ‘Riddoch Wines’ 사의 카베르네 소비뇽 제품, ‘세계 최고 와인’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4874 호주 높은 인플레이션 상황 속, 호주인의 소비 방식에 ‘극단적 차이’ 나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4873 호주 학생들의 ‘읽기 능력’... 국제 평가에서 영국이 호주를 능가한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4872 호주 “향후 호주 일자리, 에너지-방위산업-의약품 부문에서 크게 늘어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4871 호주 호주 겨울 시즌, 최대 규모 빛의 축제... Your A-Z guide to ‘Vivid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4870 호주 종교재단 학교 선호 힘입어 지난 10년 사이, 사립학교 등록 35%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4869 호주 시드니 이너웨스트 주택 10채 중 1채는 ‘빈집’... 지방의회, 세금부과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