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이유 극단).jpg

여성들을 위한 무대 마련에 혼신을 다하고 있는 EU극단의 여섯 남자들. 사진 왼쪽부터 무대장치 조영덕, 기획팀장 손수용, 조연출 신보현, 스테이지매니저 손채환, 음향 남호현, 총괄매니저 장진우씨.


‘오직 여성들을 위한 콘서트’ 준비한 EU극단 남자들



“어느 날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의 한 카페에 앉아 있는데, 세련된 여성 몇이 테이블에 앉아 아이들 학교 이야기, 한국에서 나오는 드라마 이야기를 나누며 즐겁게 웃는 장면이 눈에 보이더군요. 그 장면을 보면서 3D 영상이 떠올랐습니다. 저 장면을 극장으로 옮겨 놓고 음악을 하는 이들의 공연을 보면서, 커피를 마시며 여성들로 하여금 바람직한 수다를 떨게 만든다면...? 아, 괜찮은 문화예술 콘텐츠가 될 수 있겠다 싶은 생각이 강하게 드는 겁니다.”


한인 문화예술 극단인 ‘EU Production & EU Theatre’(이하 ‘EU 극단’으로 약칭)가 다음 주(5월1일-3일 3회) 마련하는 ‘FFM Concert’는 이런 생각에서 시작됐다. FFM Concert는 오직 여자들을 위한 콘서트(For Female Concert)라는 콘셉트. ‘금기를 깨자! 행복한 날을 정하여 쉬자! 시드니에서 여자로 살아가는 법을 제대로 보여주자!’는 게 이 콘서트의 기본 취지이다.


이유 극단은 기획, 마케팅, 무대디자인, 기술팀 및 감독을 포함한 연출부, 배우들이 모여 체계적으로 문화상품을 생산하겠다는 각오로 출범한 예술단체로 ‘아줌마 시대’ 등 이미 몇 편의 연극을 선보인 바 있다.


이번에 여성을 위한 콘서트를 마련한 이들은 EU극단 내의 여섯 사내들. 주위사람을 다 자기사람으로 만드는 장진우(총괄 매니저), 여자보다 여자를 더 잘 아는 손수용(기획팀장), 말 보다 행동이 앞서는 손채환(스테이지 매니저), 현실보다 무대가 잘 어울리는 신보현(조연출),주위 환경을 Art로 만드는 기막힌 재주를 가진 조영덕(대디자인), 사람보다 기계랑 더 친한 남호현(기술팀장)씨 등이 바로 이들이다.


“나를 위한, 오직 나를 위한 공연이라 생각하면 될 듯합니다.” 이들은 여성들을 위한 공연을 여성이 아닌, 남성들이 만든다는 점, 즉 여성에 대한 이해도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지 않겠냐는 질문에 “무대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간단하게 말한다. 그야말로 리미트(limit)가 없다는 얘기인데, “여성들을 위한 허구의 공간이야말로 여성들이 바라고 원하는 것을 느낄 수가 있지 않겠냐”는 것이다.


이번 공연에 출연하는 김민호와 김창환은 누구보다도 여성들을 이해한다고 자부하는 남성들. 여성들을 웃기고 울릴 수 있는 천부적인 음악적 재질을 선보이겠다는 각오다. 한 마디로 말해 ‘여성들의 마음을 음악으로 다루겠다는 것’이라고.


이민자 사회에서 이 같은 공연의 필요성에 대해 이들 여섯 남자는 “공연은 다양하고 다채롭기에 어떤 공연이든 우후죽순처럼 있어야만 한다”면서 “프로덕션과 극단 입장에서 무대를 만드는 일은 늘 갈증을 느끼게 한다”고 말한다.


“돈과 실력, 시간이 있는 대형 엔터테이먼트 회사나 프로덕션 제작팀들은 이런 고민을 안 할 것이라 보지만 저희는 교민사회 예술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예술인들을 위한, 문화인들을 위한 무대나 행사들이 수없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노력들이 쌓여 시드니 출신 예술문화인들이 한국으로 공연을 가고 세계 무대로 진출하며, 또 좋은 작품의 연극, 영화가 시드니에서 만들어진다면 이민자 사회의 큰 위상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겠냐는 얘기다.


이번 공연을 통해 이들은 작음 문화예술 활동이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는 게 이들의 바람이다. 이번 5월 공연은 여성을 위한 장으로 마련하지만 다음 달 행사는 남성을 위한 자리를 만들고 또 시니어를 위한 무대도 마련하겠다는 생각이다.


이런 계획을 세울 만큼 좋은, 그야말로 우레와 같은 박수를 받는 무대를 만들 자신도 있다고. “이번 공연을 관람한 이들이 다음에 EU극단에서 올린 무대라면 다시 관람하는데 주저함이 없도록 하겠다”는 것.


이들은 무대 배우 관객이라는 연극의 3대 요소를 언급하면서 “EU극단에는 무대와 배우가 확실하게 있지만 관객이 없다”고 호소했다. 공연 때마다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이 바로 관객이라는 것. “호주인들은 자기 주급에 문화예술비를 별도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하는 이들은 “문화예술을 즐기며 자기들이 구입한 티켓 비용을 문화예술 후원금으로 생각한다”는 얘기다.


이런 가운데 지난 주 한국에서 발생한 여객선 침몰과 안타까운 학생들의 죽음과 관련, “공연을 연기하거나 취소할까 고민도 했었다”면서 “해외 동포로서 한국의 일을 같이 아파한다는 의미에서 ‘위로의 콘서트’로 진행키로 했다”고 전했다. 관람객 모두가 노란 리본을 가슴에 달고 슬픔을 함께 하는 자리가 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EU’라는 이름에 대해 “말 그대로 이유가 있다”고 말하는 이들은 “공연무대를 만드는 스태프나 배우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공연과 작품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나 결과물이 온전히 그들 삶의 ‘이유’가 되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굳이 ‘이유’를 EU로 표기한 것은 이런 배경 외에 ‘Entertainment Unique’라는 뜻도 포함하고 싶어서라고.


문화예술을 키우는 일이야말로 장기적 안목에서 동포사회의 위상을 높이는 일이 될 것이라는 이들은 시드니 한인 예술인들이 지속적으로 무대에 설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 것이 그 일의 시작이 될 듯 하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2 호주 케언즈 순회영사 및 한인 워홀러 안전 강좌 호주한국신문 14.06.05.
181 호주 ATO, ‘분기별 사업활동 보고서’ 빠른 제출 당부 호주한국신문 14.06.05.
180 호주 2013년 APSA 최고배우 선정 이병헌, 뒤늦게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6.05.
179 호주 한국문화원, ‘캠시 푸드 페스티벌’ 주역으로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6.05.
178 호주 재외동포재단, 인터넷 사이트 ‘한상넷’ 보완 개편 호주한국신문 14.06.05.
177 호주 대한민국 금속공예 조성준 명장, 시드니서 전시회 호주한국신문 14.06.05.
176 호주 본다이 정션 아파트, 분양 4시간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05.
175 호주 “정부의 200억 달러 의료연구 기금은 과장된 것” 호주한국신문 14.05.29.
174 호주 호주 비만율 급증, 지난 33년간 80% 늘어나 호주한국신문 14.05.29.
173 호주 시드니 도심 유흥업소 대상 주류 판매 규정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5.29.
172 호주 경찰 불명예... 전 수사관 살인혐의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171 호주 가짜 경찰, 10대 소녀 성추행 및 절도 행각 호주한국신문 14.05.29.
170 호주 호주 남성, 마약소지 협의로 인도네시아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169 호주 실업수당 수령자들, ‘생존’ 문제 절박하다 호주한국신문 14.05.29.
168 호주 테드 베일류 전 VIC 수상, “결혼지참금 금지”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5.29.
167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166 호주 시드니 도심 ‘달링스퀘어’ 재개발 건설 계획 승인 호주한국신문 14.05.29.
165 호주 ‘2015 AFC 아시안컵 대회’ 티켓 판매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5.29.
164 호주 시드니, 2031년까지 1인 가구 비율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29.
163 호주 ‘2014 캠시 푸드 페스티벌’, 금주 토요일(31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9.
162 호주 ‘인보케어’사, 한인 추모공원 조성 계획‘ 설명회 호주한국신문 14.05.29.
161 호주 총영사관, ‘찾아가는 범죄예방 홍보 활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9.
160 호주 카나본 골프클럽서 선보이는 한국 현대미술 호주한국신문 14.05.29.
159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79.3%로 다시 반등 호주한국신문 14.05.29.
158 뉴질랜드 한눈에 보는 '2014 NZ정부 예산안' file 굿데이뉴질랜.. 14.05.23.
157 뉴질랜드 [Voice of Community - 굿데이신문 교민 설문조사 결과] 굿데이뉴질랜.. 14.05.23.
156 호주 와해된 아시리아계 폭력조직 ‘Dlasthr’는... 호주한국신문 14.05.22.
155 호주 NATSEM, “이번 예산안은 ‘공정-고통분담’과는 거리 멀어” 호주한국신문 14.05.22.
154 호주 머레이강, 지난 10년간 최다 익사사고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5.22.
153 호주 배우자 이민 프로그램, 인신매매 수단으로 악용 호주한국신문 14.05.22.
152 호주 NSW 정부, 연방 예산감축으로 병실 축소 불가피 호주한국신문 14.05.22.
151 호주 호주 크리켓의 전설 돈 브래드먼의 배트, 6만 달러에 호주한국신문 14.05.22.
150 호주 애보트 정부의 초긴축 예산안, ‘지지율 급락’으로 호주한국신문 14.05.22.
149 호주 대학생 수천 명 ‘예산안 반대’ 가두행진 벌여 호주한국신문 14.05.22.
148 호주 구세군 ‘2014 레드쉴드 어필’ 모금운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2.
147 호주 재외동포재단, 두 번째 사진 공모전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2.
146 호주 ‘북한인권주간’ 개막... 다양한 행사 펼쳐져 호주한국신문 14.05.22.
145 호주 한국 근•현대 사진전, ‘Korea: Then and Now’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5.22.
144 호주 시드니 고급 부동산 시장, 거래량 증가로 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5.22.
143 호주 렌 브라운 “2021년까지 오클랜드 관광 소득 72억 달러로 끌어올리겠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5.22.
142 호주 에어뉴질랜드 항공기 납치범, 뉴질랜드 영주권 취득 사실 알려져 file 굿데이뉴질랜.. 14.05.22.
141 호주 Korean Food Show in Wellington file 굿데이뉴질랜.. 14.05.17.
140 호주 4월 주택 판매가는 상승, 거래량은 대폭 감소 file 굿데이뉴질랜.. 14.05.17.
139 호주 동해안 지역, 대량의 수중메탄가스 저장발견 file 굿데이뉴질랜.. 14.05.17.
138 호주 Budget 2014... 애보트 정부, “국민 기만한 것” 호주한국신문 14.05.15.
137 호주 Budget 2014... 새로운 예산안이 미치는 부문별 영향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136 호주 Budget 2014... 애보트, “세금 인상은 없을 것” 선거공약 파기 호주한국신문 14.05.15.
135 호주 결혼생활의 스트레스가 조기 사망 부를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5.15.
134 호주 연방 경찰, NAB 직원에 자료 유출시킨 ABS 직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15.
133 호주 제임스 패커-데이빗 긴젤, 각 500달러 벌금 호주한국신문 1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