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매 1).jpg

11월 첫 주말인 지난 6일(토) 시드니 경매에는 900채 넘는 주택이 매물로 등록됐다. 부동산 관계자들에 따르면 주택시장에 공급되는 매물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735만 달러에 매매된 맨리(Manly) 소재 3개 침실 유닛. 사진 : Clarke & Humel Property

 

11월 첫 주 949채의 매물 등록, 확인된 708채의 낙찰률 75.4%

 

북부 시드니, 노스브릿지(Northbridge)에 거주하는 한 가족이 휴가지 숙소로 사용할 맨리(Manly) 소재 유닛에 735만 달러를 지불했다. 이 거래 금액은 지난 주말(6일) 시드니 경매에서 벤더(vendor)가 제시한 잠정가격(650만 달러)보다 85만 달러 높아진 가격이다.

노스브릿지 가족뿐 아니라 보워 스트리트(Bower Street) 상의 이 3개 침실 유닛에 관심을 보인 5명의 입찰자들 모두 휴가용 숙소를 마련하고자 한 이들이었다.

내부면적 161스퀘어미터의 이 유닛 경매는 575만 달러에서 시작됐다. 이후 헌터스힐(Hunters Hill), 카머레이(Cammeray), 웨스트 핌블(West Pymble) 등 각 지역에서 온 입찰자들이 적극적으로 가격을 제시하면서 입찰가가 빠르게 올랐다. 이후 잠정가격을 넘기면서 입찰자는 2명으로 좁혀졌고, 마지막으로 735만 달러를 제시한 노스브릿지 거주 가족에게 낙찰됐다.

무려 85만 달러가 높아진 가격에 거래가 성사된 이 유닛은 지난 주말 시드니 전역에서 진행된 949채의 주택 중 하나로, 이날 저녁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이 집계한 708채의 낙찰률은 75.4%였다.

경매 매물로 등록한 뒤 캠페인 기간 중 잠정가격을 650만 달러로 높게 책정한 부동산 회사 ‘Clarke & Humel Property’ 사의 체리 허멜(Cherie Humel) 에이전트는 이날 거래 결과에 대해 “매우 놀랍다”는 반응이었다.

부동산 회사에 따르면, 이 유닛은 40년 전 18만 달러에 매매된 바 있다. 이 유닛의 거래 결과는 지난해 405만 달러에 매매된, 같은 거리(Bower Street)에 자리한 비슷한 조건의 유닛과 비교해 크게 높은 금액이다.

시드니 동부, 본다이비치(Bondi Beach)에서는 이 지역에 거주하는 한 부부가 성인 자녀를 위해 노츠 애비뉴(Notts Avenue) 상의 2개 침실 아파트를 구매했다. 이들이 지불한 금액은 552만 달러였다.

본다이 비치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Bondi Icebergs’ 뒤쪽에 자리해 빼어난 전망을 자랑하는 95스퀘어미터 넓이의 이 아파트에는 6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 가격 경쟁을 이어갔다.

400만 달러에서 시작된 경매는 약 15분 동안 입찰자들의 가격 제시가 빠르게 이어졌으며, 벤더가 원한 잠정가격에서 2만 달러 더 오른 금액에 낙찰이 이루어졌다.

 

부동산(경매 3).jpg

552만 달러에 낙찰된 본다이 비치의 2개 침실 아파트. 거래 가격을 전체 넓이(95스퀘어미터)와 비교하면 1스퀘어미터 당 가격은 5만8천 달러에 달한다. 사진 : Ray White Woollahra and Paddington

   

전체 면적과 낙찰가를 감안할 때 이 아파트의 1스퀘어미터 당 가격은 무려 5만8천 달러에 달한다. 매매를 진행한 ‘Ray White Woollahra and Paddington’의 다니카 제스(Danika Jess) 에이전트는 “이 결과에 대해 판매자도 만족한다”면서 “현재 시드니 주택시장은 여전히 판매자 주도이지만 점차 매물로 나오는 주택이 많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약 반세기가량 이곳에 거주해 온 소유자는 50년 전 당시 6만5천 달러에 구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레인코브의 피닉스 스트리트(Phoenix Street, Lane Cove) 상에 자리한 5개 침실의 주택 또한 잠정가격에서 85만 달러 높아진 575만 달러에 낙찰됐다. 1,587스퀘어미터의 넓은 부지를 가진 이 주택은 450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됐으며, 7명의 예비 구매자가 큰 관심을 보여 입찰가가 빠르게 높아졌다.

‘Atlas Lower North Shore’ 사를 통해 매매가 진행된 이 주택에 대해 니콜라스 크리스토(Nicholas Christou) 에이전트는 “이 지역에서 가장 넓은 부지를 가진 주택 중 하나라는 점에서 예비 구매자들이 큰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다.

‘도메인’의 9월 분기 주택가격 자료를 보면 현재 레인코브의 주택가격은 12개월 전에 비해 14.4%가 올라 중간 가격은 246만 달러에 달한다.

시드니 도심 인근, 포레스트 롯지(Forest Lodge)에 있는 4개 침실 테라스 주택은 업사이징(upsizing)을 원하던 이 지역 젊은 부부에게 낙찰됐다. 이들이 지불한 금액은 400만3천 달러였다.

5명의 예비 구매자가 입찰한 이 주택은 320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된 후 느린 속도이지만 입찰가가 지속적으로 높아졌고 400만 달러를 넘어선 후 잠시 주춤하는 사이 3천 달러를 더 제시한 부부에게 돌아갔다. 이 주택의 잠정가격은 330만 달러였다.

매매를 맡은 부동산 회사 ‘BresicWhitney’의 섀넌 위트니(Shannan Whitney) 에이전트는 “좋은 거래 결과”라고 언급한 뒤 “최근 몇 개월 동안 이어졌던 시드니 주택가격 상승이 둔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면서 “하지만 예비 구매자들이 좋아할 만한 조건을 가진 주택 경매는 여전히 높은 가격을 낙찰 결과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록에 의하면 이 부동산이 가장 최근 거래된 것은 2017년으로, 당시 매매가는 225만 달러였다.

노스 에핑(North Epping)에서는 이 지역에 거주하는 한 투자자가 227만 달러에 바운더리 로드(Boundary Road) 상의 3개 침실 주택을 차지했다. 매매를 진행한 ‘Agency North’의 캐서린 머피(Catherine Murphy) 에이전트에 따르면 이 투자자는 새로 건축해 재판매하고자 이 주택에 투자한 사람이다. 이 주택의 잠정가격은 200만 달러였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경매 1).jpg (File Size:68.0KB/Download:36)
  2. 부동산(경매 3).jpg (File Size:116.0KB/Download:3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51 호주 “높은 기준금리-인플레이션 수치에 불구, 호주 가계들 ‘탄력적’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450 호주 RBA 로우 총재 임기, 9월 종료 예정... 호주 첫 중앙은행 여성 총재 나올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9 호주 Uni. of Sydney-Uni. of NSW, 처음으로 세계 대학 20위권에 진입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8 호주 연방정부, 비자조건 위반 강요를 ‘형사 범죄’로 규정하는 새 법안 상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7 호주 시드니 제2공항 ‘Western Sydney Airport’, 예비 비행경로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6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상승 전환... 부동산 시장 반등 이끄는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5 호주 겨울 시즌에 추천하는 블루마운틴 지역의 테마별 여행자 숙소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4 호주 ‘전 세계 살기 좋은 도시’ 목록에 호주 4개 도시, 12위권 이내에 포함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3 호주 호주의 winter solstice, 한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이기는 하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2 호주 정치적 논쟁 속에서 임차인 어려움 ‘지속’... ACT의 관련 규정 ‘주목’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1 호주 연방 노동당 정부, 야당의 강한 경고 불구하고 ‘Voice 국민투표’ 시행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40 호주 생활비 압박 속, 소비자 신뢰도 최저치... 고용시장도 점차 활력 잃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39 호주 최악의 임대위기... 낮은 공실률 불구, 일부 교외지역 단기 휴가용 주택 ‘넉넉’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38 호주 규칙적인 낮잠, 건강한 뇌의 핵심 될 수 있다?... 뇌 건강 관련 새 연구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437 호주 Like living in ‘an echo chamber’... 소음 극심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6 호주 시드니 주택 위기 ‘우려’... 신규공급 예측, 연간 2만5,000채로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5 호주 스트라스필드 등 다수 동포거주 일부 지방의회, 카운슬 비용 인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4 호주 공립 5학년 학생들 사립학교 전학 ‘증가’... 시드니 동부-북부 지역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3 호주 850년 이후 전 대륙으로 퍼진 커피의 ‘deep, rich and problematic history’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2 호주 COVID-19와 함께 독감-RSV까지... 건강 경고하는 올 겨울 ‘트리플 위협’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1 호주 올 3월 분기까지, 지난 5년간 주택가격 폭등한 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30 호주 높은 금리로 인한 가계재정 압박은 언제까지?... 이를 결정하는 5가지 요인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29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NSW 주... 실업률은 지난 40여 년 이래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28 호주 전례 없는 생활비 압박... 젊은 가족-임차인들의 재정 스트레스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27 호주 거의 7만6천 개 일자리 생성으로 5월 실업률 하락... 기준금리 인상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26 호주 대마초 관련 정당, NSW-빅토리아-서부호주 주에서 ‘합법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2.
6425 호주 대학졸업자 취업 3년 후의 임금 상승 규모, 직종에 따라 크게 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24 호주 최고의 부유층들, 대부분 시드니 동부 지역에 거주... 억만장자들, 납세기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23 호주 호주 국민가수 슬림 더스티의 히트곡 ‘A Pub with No Beer’의 그 펍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22 호주 연금 정보- 새 회계연도부터 고령연금 지급, 일부 변경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21 호주 지난해 NSW 등서 매매된 부동산의 25%, 고령의 구매자가 모기지 없이 구입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20 호주 NSW 노동당 정부의 첫 예산계획, ‘70억 달러 블랙홀’ 직면... 삭감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19 호주 그래프로 보는 호주 노동시장... 경제학자들, “전환점에 가까워졌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18 호주 3월 분기 호주 경제성장률 0.2% 그쳐... 현저한 GDP 둔화 신호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17 호주 호주 전체 근로자 거의 절반, 부채에 ‘허덕’... 정신건강 전문가들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16 호주 4만 명에 달하는 범법 행위자 자녀들이 겪는 고통-복합적 불이익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415 호주 최저임금 8.6%-근로자 일반급여 5.75% 인상, 향후 금리상승 압박 ‘가중’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14 호주 NSW 주 소재 공립대학들, 등록학생 감소로 2022년 4억 달러 재정 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13 호주 프랑스 식민지가 될 뻔했던 호주... 영국의 죄수 유배지 결정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12 호주 악화되는 주택구입 능력... 가격 완화 위해 부유 지역 고밀도 주거지 늘려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11 호주 시드니 평균 수입자의 주택구입 가능한 교외지역, 20% 이상 줄어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10 호주 기준금리 상승 불구, 5월 호주 주택가격 반등... 시드니가 시장 회복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09 호주 퀸즐랜드 아웃백 여행자 11% 감소... 4년 만에 맞는 최악의 관광시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08 호주 정신건강-자살예방 시스템 변화 구축, “실제 경험 뒷받침되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07 호주 CB 카운슬의 폐기물 처리 기술, ‘Excellence in Innovation Award’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406 호주 그라탄연구소, 정부 비자개혁 앞두고 이주노동자 착취 차단 방안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6405 호주 호주 가정의 변화... 자녀 가진 부부의 ‘정규직 근무’, 새로운 표준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6404 호주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 이후 부동산 투자자들의 세금공제 신청,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6403 호주 NSW 정부의 첫 주택구입자 지원 계획... 인지세 절약 가능 시드니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6402 호주 기준금리 상승의 실질적 여파... 인플레이션 더해져 소비자들, 지갑 닫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